d라이브러리
"영상"(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08
- 부상 당해서 정상과 다른 패턴을 보이는 제비 새끼의 움직임을 인식하면, 우리는 그 영상을 눈으로 살펴 보았다. 직접 살펴 보고 부상인 것이 확실하면 우리는 대기 중인 수의사 팀을 출동시켰다. 그러면 수의사팀은 다친 제비 새끼를 재빨리 치료해 주는 것이다.118마리의 제비 새끼 중 다리를 다친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608
- 출품된 글과 그림, 창의적 사고력대회에서 발표된 구조물 탐구 설명서, 그리고 영상물로 제작된 UCC를 한글 파일로 옮깁니다.둘째, 선생님은 각종 교내외 체험활동을 한 학생들이 소감문을 쓸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셋째, 편집위원은 학생들이 평소에 궁금해 하는 부분을 조사합니다. 아이디어 팀은 ... ...
- [News & Issue] 올 여름, 진화한 공포가 몰려온다!과학동아 l201608
- 즐길 수 있도록 다이나믹 스트리밍 기술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최 이사는 “공포 영상은 VR로 구현하기에 아주 좋은 콘텐츠”라며 “현실감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보는 사람이 느끼는 공포감이 천차만별일뿐더러, 콘텐츠 자체에 어두운 부분이 많아 (해상도를 경제적으로 높여주는) 두 기술을 ... ...
- Part 2. 생활에서도 스포츠 컨디셔닝하라과학동아 l201608
- 컨디셔닝이 선수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나 양궁팀의 심리전문가, 필드하키팀의 영상분석가 등 일부 연구원들이 선수들과 함께 브라질에 가서 도움을 줄 예정이다. 아직 그 효과가 100%라고 확신하지는 못하지만 100%를 향해서 노력하고 있다. 스포츠 과학의 역할은 선수들의 능력이나 상태를 ... ...
- [과학뉴스] 페이스북 읽는 새 인공지능 ‘딥텍스트’과학동아 l201607
- 이와 함께 딥텍스트가 사용자의 의도와 정서를 파악하는 것을 시험한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에서 딥텍스트는 ‘나 좀 태워줘(I need a ride)’와 ‘나는 당나귀 타는 걸 좋아해(I like to ride donkeys)’의 차이를 구분해 ‘나 좀 태워줘’라는 메시지에 ‘탈 것 요청’이라는 꼬리표를 달았다.개발팀은 ...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07
- 물방울이 에어로졸을 만들어 내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135쪽 사진).연구팀이 촬영한 영상을 보면 물방울이 토양에 닿을 때 물방울 안에 커다란 공기 방울이 만들어진다. 공기 방울이 터지면서 얇은 물 기둥이 뿜어져 나오고, 이것이 작은 방울로 흩어지면서 에어로졸이 만들어진다. 이 과정에서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07
- 말을 이어갔다.“영상 중에 푸른 산호초로 1위하고 우는 척 하는 영상 봤어요? 진짜 그 영상이 대박인데. 눈물은 한 방울도 안 나는데 막 우는 척 하잖아요. 봤어요? 기쁨의 눈물을 흘린다고 MC가 말하는데 카메라가 줌을 해서 보면 안 울고 있거든요. 제가 그런 걸 정말 좋아해요. 사람들이 잘 울고 ... ...
- [과학뉴스] IS 온라인 선전 활동 분석 첫 공개과학동아 l201607
- IS)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잘 활용하는 테러집단이다. 테러를 SNS로 예고하고, 홍보영상을 올려 새로운 단원을 모집하기도 한다. 최근 미국 연구팀이 IS의 이런 온라인 선전활동을 분석해 ‘사이언스 어드밴스’ 6월 10일자에 발표했다.미국 마이애미대 닐 존슨 교수팀은 IS 대원들이 주로 ... ...
- [Career] ‘빅데이터 재료’ 다듬어 일류 연구 이끈다과학동아 l201607
- 관측하고, 수온, 바람, 해류, 파랑 등의 정보를 얻는다.GOCI 같은 해색센서로 촬영한 영상은 용량이 엄청나게 크다. 사진 한 장이 1GB(기가바이트)에 이른다. 한 달 동안 얻은 자료를 합치면 용량이 1TB(테라바이트)에 이른다. 그런데 만약 적조현상만 관찰한다면 모든 파장의 정보를 볼 필요가 없다.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07
- 이 사진을 작은 픽셀 단위로 분석해요. 그 다음에는 사진에 나온 물체의 형태를 찾고, 영상 속에 나오는 고양이의 얼굴을 이루는 특징들을 컴퓨터가 알아서 하나하나 분류해 가요.이렇게 분류한 정보들 중 고양이라는 답과 연관되는 정보들은 중요해져요. 답과 정보 사이의 연결이 강해지는 거지요.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