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첨예
d라이브러리
"
예리
"(으)로 총 162건 검색되었습니다.
극한의 과학
과학동아
l
198710
종래의 광원에 비해 수만배까지의 강도를 가지며, 스펙트럼은 적외선 X선에 이르는
예리
한 지향성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이 방사광의 X선을 이용하면 지표 밑 수백 km의 맨틀과 같은 고압·고온 상태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지구 중심부의 수수께끼를 풀 단서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
바다의 약탈자 상어
과학동아
l
198708
'흰색의 죽음' 등의 무시무시한 별명을 가진 거대한 상어로 보통 6~7m의 길이를 갖는다.
예리
한 세모꼴 이빨이 내보이도록 입을 조금 벌리고 원추형의 코를 삐죽 내민채 헤엄치는 백상아리의 주요 먹이는 물고기 다른 상어 바다거북 돌고래 물개 바다사자 등이다. 학자들은 백상아리가 사람을 ... ...
바닷속 신비 산호초
과학동아
l
198707
산호의 최대의 천적은 도깨비 불가사리이다. 이 불가사리는 13~16개의 맹독을 지닌
예리
한 가시를 갖추고있으며 낮에는 햇빛을 싫어하여 산호밑이나 바위그늘에 숨어있다. 그러다가 밤이 되면 기어다니면서 산호를 뒤덮는다. 그리고 위의 점막을 직접 산호에 밀착시켜 녹여서 빨아먹는다. 도깨비 ... ...
에너지 소모와 폐기물이 만든 현대의 암세포 도시
과학동아
l
198705
문명이란것을 인간의 입장에서만 보아 왔으나 이제 부터는 전 생태계와의 관계속에서
예리
하게 고쳐 보아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인류 문명의 시작은 불의 발견에서 부터라 한다. 인간은 불이라는 문명을 손에 넣으므로써 다른 세포보다 우월할수 있는 힘을 지니게 되었다. 거기다 돌이나 쇠붙이로 ... ...
고교생을 위한 과학공부 요령 물리 원리 이해와 문제풀이 힘써야
과학동아
l
198704
맛보자어떻게 하면 물리공부를 보다 쉽게 할 수 있을까. 무엇보다 먼저 필요한 것은
예리
한 눈으로 관찰하고 치밀한 자료정리를 통해 올바른 분석을 하는 일이다. 이러한 안목에서 실험에 임하여 보면 물리적인 숨소리를 듣게 될 것이다.예를 들면 역학 실험용 수레 고무줄 기록 테이프를 잘라 ... ...
파괴돼가는 철새도래지 을숙도
과학동아
l
198702
이룬다. 퇴적이 더욱 진전되면 자연제방 및 사취사이는 큰 모래섬으로 등장되며 전방의
예리
한 부분은 강한 연안류에 의해 침식, 삼각주의 해안선은 활모양을 갖게 된다. 이것이 원호상(円弧狀)삼각주로 나일강 하구에 발달한 나일강삼각주가 그 좋은 예다. 그런데, 삼각주의 전면에 있어서 ... ...
주사형 터널링 전자현미경(STM) 육안으로 원자를 본다
과학동아
l
198612
폭을 기계적으로 안전하게 유지하는 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 된다.탐색침의 끝을
예리
하게 하는 것은 측방향 해상도를 결정하는 요소이며, 터널 간극의 안정 유지는 수직 방향 해상도를 높이는데 중요하다.탐색침의 재질은 예전에는 스테인레스 스틸, 금, 이리듐 등이 쓰였으나 현재는 보통 텅스텐, ... ...
소련, 우주에서 약품도 만들어내다
과학동아
l
198609
공장으로 사용하게 될것" 이라고 자신했으며 모스크바 고등기술학교 교장인 우주인 '
예리
세예프'는 "사람이 우주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더 많은것을 알게되고 더많은것을 할수 있으며 체공비용도 싸지게 된다." 고 말했다. 이처럼 우주공간의 활용이 활발해지면서 소련은 이미 크리스탈과 ... ...
나비의 멋과 신비
과학동아
l
198607
근래 이 나비를 찾기가 매우 힘들다. 지느러미엉겅퀴에 앉아있는 모습을 보면 모양이
예리
하게 보이기도 하나 다정하고 조용한 모습으로 보이기도 한다. 황색과 흑갈색의 날개에는 시맥(翅脈·곤충의 날개에 무늬처럼 있는 맥)이 뚜렷하게 보인다. 약 15mm의 꿋꿋하게 세워져있는 앞날개는 옆으로 ... ...
머리칼로 건강상태를 안다
과학동아
l
198604
있는 것은 성인병의 대부분이 식원병(食源病)이고 모발의 미네랄값은 식사의 잘못을
예리
하게 반영하기 때문이다.세포레벨에서의 영양대사장애가 질병을 유발하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오늘날 영양대사의 균형이 발생하는 질환의 수는 당뇨병이나 통풍을 ... ...
이전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