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세계"(으)로 총 5,53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지금도 발견되고 있는 신종어린이과학동아 l201622
- 우리가 아는 생물은 전체의 1%?!알고 있는 동물의 이름을 대어 보세요. 사자, 늑대, 개, 고양이, 박쥐…. 하루 종일 동물 이름만 말해도 시간이 부족할 정도로 많은 동물을 기억하는 친구들이 있을 거예요. 그렇다면 과학자들은 얼마나 많은 동물을 알고 있을까요?현재 우리가 존재를 알고, 분류해서 ... ...
- [헷갈린 과학] 밤 vs 말밤어린이과학동아 l201622
- 엄마와 길을 걷다가 밤처럼 생긴 열매를 발견했어요. 그런데 껍질이 조금 이상해서 엄마께 여쭤 보니 밤이 아니라고 하셨어요. 밤이랑 정말 똑같이 생긴 이 열매의 정체는 뭐죠? 박은비(홈스쿨링 3) [밤]9~10월 가을이 되면 산길에 떨어져 있는 밤을 쉽게 볼 수 있어요. 전세계 밤 생산량의 약 7%가 우 ... ...
- [출동! 섭섭박사] 지진의 원인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지난 9월 12일 저녁 8시 32분, 경북 경주 지역에 우리나라 지진 관측이 시작된 1978년 이후 최대 규모인 .8의 지진이 일어났어요. 지진 발생 이후에도 수백 회의 여진이 일어나면서 사람들은 더 이상 우리나라도 지진에서 안전하지 않다는 위기의식을 느끼기 시작했죠.지진은 땅이 흔들리는 자연재해예 ... ...
- [쇼킹 사이언스] 거대한 보석들이 반짝반짝 나이카 결정 동굴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사람이 개미처럼 보일 만큼 어마어마하게 큰 광물 결정들이 꽉 차 있는 이곳은 멕시코 북부에 있는 나이카(Naica) 광산의 동굴이에요. 납과 아연, 은을 캐는 광산을 개발하다가 우연히 거대한 결정들이 있는 동굴을 발견하게 됐지요. 이곳에 있는 가장 큰 결정은 너비 1.2m에 높이가 무려 15m나 된답니다 ... ...
- [도전! 코드마스터] 내 컴퓨터로 복잡한 뇌 구조를 밝힐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컴퓨터, 그리고 이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의 발달은 ‘집단지성’이라는 개념을 만들었어요. 한 개인의 뇌는 생각이나 기억에 한계가 있어요. 하지만 큰 집단에 속한 개인들이 집단의 목표를 위해 각각 알고 있는 지식이나 갖고 있는 능력을 모으면 어떻게 될까요? 마치 개인이 하나의 뉴 ... ...
- Part 4. 도시를 바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20
- 어린이를 위한 도시를 만든 네덜란드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은 세계 최고의 자전거 도시로 유명해요. 네덜란드는 자전거를 교통수단으로 이용하는 비율인 *자전거 교통분담률이 36%로 전세계에서 가장 높아요. 고작 2%인 우리나라는 물론, 23%로 2위인 덴마크나 17%인 일본에 비해서도 월등히 높 ... ...
- [비주얼 과학교과서]피에로의 특별 미션어린이과학동아 l201619
- 스토리 따라잡기교장 선생님이 두 명?피에로는 자신을 경비 아저씨라고 소개했어요. 하지만 이리보고 저리 봐도 교장선생님과 똑같은 외모에 시원이와 친구들은 피에로의 말을 믿기 어려웠지요.“교장 선생님과 너무 닮아서 쌍둥이라고 해도 믿겠어요.”“허허허~, 어떻게 알았지? 난 교장 선생 ... ...
- [헷갈린 과학] 가재 VS 랍스터어린이과학동아 l201618
- 얼마 전에 가족이랑 같이 랍스터를 먹으러 갔어요. 가재라고 불렀더니, 엄마가 가재와 랍스터는 다르다고 하시더라고요. 가재의 영어 이름이 랍스터 아닌가요?오현수(안양 래미안유치원) 가재가재는 십각목 가잿과에 속하는 갑각류 동물이에요. 갑각류는 탄산칼슘이 포함된 딱딱한 껍데기로 둘 ... ...
- Part 1. 친환경 건축 재료, 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1617
- 초고층 건물이 탄생한 배경에는 콘크리트와 철 같은 강한 건축자재의 개발이 있었어요. 하지만 최근 전세계 곳곳에서 나무로 고층 건물을 지으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지요. 왜 예전 건축 재료인 나무를 다시 사용하려는 건지, 그 이유를 알아볼까요?나무로 런던에서 두 번째 높은 건물을 짓는다고? ... ...
- Part 3. 나무 건축, 과연 안전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17
- 나무는 친환경 건축재료라는 장점이 있지만, 인공적으로 만든 다른 재료와 비교하면 약점도 가지고 있어요. 건축가들 역시 이런 나무의 단점을 보강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했답니다.➊ 강도가 약하지 않을까?살아 있는 나무에는 공기와 물 등이 포함돼 있는데, 이런 물질은 나무의 강도를 약하게 해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