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술
저작
쓰기
작문
글
저서
d라이브러리
"
집필
"(으)로 총 180건 검색되었습니다.
'교사 목소리 담긴 정책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201
들을 수밖에 없게 된다.우리 현실에 맞는 교재개발은 제대로 될지, 새로운 방향으로
집필
된 교과서가 현장 교사들의 따돌림으로 사장되지는 않을지 모르겠다. 중학교 과학교사들이 교과를 가르칠 때 자기 전공부분은 어느 정도 자신을 갖고 가르치지만 다른 부분은 결과중심의 지식을 주입하고 ... ...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110
동일과정설의 「맹점」'과학동아'(1991년 8월호)의 '진화냐? 창조냐?' 논쟁에서 진화론측
집필
자는 "동일 과정설과 급변설은 오래전 지질학 초창기에 이미 논란되고 걸러진 문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마치 동일과정설이 지구과학과 지형학의 모든 문제와 현상을 다 설명할 수 있는 것처럼 말하면서 ... ...
비전문가의 아전인수식 해석은 곤란
과학동아
l
199108
읽고 나는 우리나라 학계의 후진성을 실감했다. '화석이 창조론을 지지한다'라는 제목은
집필
자의 전공을 고려해 차라리 '핵공학은 창조론을 지지한다'로 바꾸었으면 어떠했을까. 지질학이나 고생물학에 관한 이야기를 핵공학자가 공개적으로 논단하는 현실이 안타깝다.'10문10답'에 있어서도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06
받아 자연과학 방면의 대학으로 진학하고 전공분야의 학위를 취득하면서 과학소설의
집필
을 시작하게 된 이른바 '과학자 작가의 제2세대'들이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이들은 새로운 흐름이라기 보다는 건즈백-캠벨-아시모프-클라크로 이어지는 정통 과학소설의 맥을 ... ...
이태규 박사
과학동아
l
199011
미수(米壽, 88세를 일컫는 말)를 기념해 국내에 있는 제자들이 전기편찬위원회를 구성해
집필
한 것이다.제자들이라고는 하지만 면면을 살펴보면 이들 역시 국내 과학계의 원로급 인사들이다. 최상업(서강대 명예교수) 장세헌(서울대 명예교수) 한상준(한양대 명예총장) 김완규(전 숭실대교수) 이용태 ... ...
양자중력이론으로 우주의 실체에 접근
과학동아
l
199010
주었다.그가 우주론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돕기위해 수식이라고는 E=mc² 하나만을 써
집필
한 '시간의 역사'가 미국에서만 1백만부 이상 팔렸지만 실제로 내용을 읽어본 사람은 2%에 불과하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놓고 볼 때도 양자이론이 가미된 우주론의 이해가 쉽지않음을 알 수 있다.하지만 ... ...
담수어표본 50만점 기증한 생물학의 큰 스승 최기철 박사
과학동아
l
199006
4시간을 맡고 있다. 강의과목은 동물생태학과 동물생리학.책도 참 많이 남겼다. 정년후에
집필
한 서적만도 23권. 최근에는 자신의 일생을 돌이켜 본 수상록을 탈고, 곧 출판될 예정이다. 원고지 1천7백매 분량인 이 책의 서명은 '푸른꿈 하얀꿈'이다.두시간여에 걸친 대화가 끝날 즈음 그는 자신의 집을 ... ...
유리인가, 슬래그인가?
과학동아
l
199005
이 팀의 주축인 이철(李撤)교수는 작년에 간행(한국상고사학회 공동연구)된 '한국상고사'
집필
팀이 실행한 '고대유물 산지의 연구'에도 참가했다. 그는 여기서 최몽룡 강형태 이성주씨 등 고고학·보존과학 전공학자들과 함께 주목할만한 연구결과를 내놓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에서 기술고고학 ... ...
「과학교과서는 재미없다」는 통념 불변
과학동아
l
199004
공부한 학문내용을 교과서에 많이 쏟아부으려는 성향이 있다. 진정한 의미에서 공동
집필
이 되려면 교수와 교사비율이 50대 50은 돼야 한다는 주장이다.「컬러」교과서가 필요 새과학교과서에는 재미있는 삽화가 전보다는 많이 실려 '교과서는 딱딱하다'는 고정관념을 조금은 해소하고 있으나 ... ...
대중적 관심 끌어내는 데는 성공
과학동아
l
198912
소사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총문항수는 2백46개.빛(물리교사모임 엮음, 이응신 대표
집필
, 사계절)빛의 개념, 빛연구의 역사, 빛과 관련된 자연현상, 실제 학생들이 빛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등을 현장 교육의 경험을 살려 서술했다. 학생 및 교사들의 보조교재로 적합.산수 100가지 난문·기문(나카무라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