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뼈
등골
척추골
등골뼈
척수골
척수
등심대
d라이브러리
"
척추
"(으)로 총 641건 검색되었습니다.
제2회 과학일러스트공모전 수상작 - 스마트 그린, 스마트 그리드
과학동아
l
201110
생명의 나무를 가꾸자! | 서승환지구에 뿌리를 둔 생명의 나무는 원핵생물부터 시작해
척추
동물을 거쳐 인간에 도착한다. 인간이 생명의 나무에 물을 주는 모습을 통해 생물종의 다양성을 지켜야 하는 의무를 표현했다.우수상 Faces 6th Mass Extinction? | 이하정6번째 대멸종이 인간의 손에 의해 ... ...
Part1. 동물 1만 종 게놈 해독한다
과학동아
l
201109
식물보다 사람과 비슷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더 많은 동물의 게놈을 분석하고 싶어하죠.
척추
동물 1만 종의 게놈을 모두 분석하겠다는 ‘10K 프로젝트’가 대표적입니다. 호주에만 사는 코알라, 캥거루와 애완용으로 인기있는 게코 도마뱀 같은 동물이 포함됩니다. 세계 43개 게놈 연구소가 이 ... ...
시조새는 공룡이다?
과학동아
l
201109
‘공룡’일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였다. 시조새와 깃털공룡을 연구해 온 중국학술원
척추
고생물 및 고인류학과 수싱 박사가 새로 발굴한 깃털공룡 화석을 조사한 끝에 내린 결론이다. 물론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게 학계의 반응이다. 과연 150년 동안 ‘새의 조상’ 지위를 누려 온 시조새는 ... ...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09
10월 미국의 한 병원에서는 의학사에 남을 시술이 행해졌다. 미국의 바이오기업 제론사가
척추
가 손상된 환자에게 인간배아줄기세포에서 분화시킨 신경전구세포를 주사하는 임상시험이 시작된 것이다. 지난 7월 14일 역시 미국의 바이오기업인 어드밴스드셀테크놀로지(ACT)사가 배아줄기세포로 만든 ... ...
각기 다른 ‘헤어스타일’
과학동아
l
201108
그들이 가진 뚜렷한 특징, 즉 숨구멍(기문)과 털을 이용해 분류한다.혈관으로 호흡하는
척추
동물이나 피부로 호흡하는 환형 동물처럼 곤충도 물론 숨을 쉰다. 곤충은 기관계라는 독립된 호흡계를 갖고 있다. 곤충은 외부와 직접 통하는 숨구멍으로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몸 밖으로 ... ...
죽은 세포 되살리는 기적의 주사?
과학동아
l
201108
말 임상 3상을 마치고 2013년쯤에 상용화 될 예정이다. 또 서울 아산병원에서는 손상된
척추
를 되살리는 줄기세포치료제를 개발해 2008년 3월부터 임상시험을 하고 있다.일각에서는 줄기세포치료제에 대해 우려하기도 한다. 환자마다 자기 몸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해 고유한 치료제를 만들어 가격이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07
발생과정을 보면 눈은 초기 배의 외배엽 즉, 바깥쪽 투명한 피부로부터 분화됐다. 원시
척추
동물의 피부 중에 빛에 민감한 세포들이 눈으로 발달했다고 보는 것이다. 이 세포들은 신체의 조직으로 발달되고 혈관과 신경들이 연결돼 현재의 눈으로 형성됐을 것이다. 수억 년이 흐른 오늘에도 빛은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07
취약한가‘경이로운 꿀벌의 세계’를 쓴 독일의 곤충학자 위르겐 타우츠는 꿀벌에게
척추
동물, 그 중에서도 포유동물의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꿀벌 군락은 포유동물처럼 번식률이 낮다. 여왕벌이 하루에 많게는 3000개나 되는 알을 낳지만, 생식능력이 있어서 실질적인 자손이라 할 수 ... ...
인류가 만든 최악의 독, 고엽제
과학동아
l
201107
나타날 경우만 인정하고 있다. 한국은 아버지가 고엽제후유증 환자이고, 자녀도
척추
이분증, 말초신경질환을 겪는 극히 제한적 경우에만 2세 피해를 인정하고 있다.임종한 교수는 “베트남에서 발견된 많은 사례를 연구한 결과 고엽제가 2세들에게 다양한 피해를 일으킨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04
자리를 넘어 발현된 결과였던 것. 즉 두 번째 가슴체절이 중복된 형태다.이런 패턴은
척추
동물의 호메오유전자 묶음에서도 그대로 재현된다. 오랜 진화과정에서도 잘 보존된 셈이다. 특히 묶음에서 같은 위치에 있는 호메오유전자의 호메오박스 서열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초파리의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