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휴
공중 장애
아이들링
운행
헛돌기
대기잡음
잡음
d라이브러리
"
공전
"(으)로 총 79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태양계 밖 - 외계행성의 비밀을 풀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행성이랍니다. 질량은 지구의 3.2배 무거우며 중심별인 바너드 항성을 233일 주기로
공전
하고 있지요. 행성의 기온은 영하 170℃로, 아쉽게도 사람이 살기엔 너무 추워요. 다만 대기가 존재할 경우, 기온은 영하 170℃보다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외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전혀 없진 않답니다 ... ...
Part 4. 美 민간 기업과 손잡고 2026년 달 정거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화성이 생명이 살 수 있는 환경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라고 답했다. 그는 “화성의
공전
주기인 2년마다 화성을 탐사할 계획들이 이미 다 수립돼 있다”며 “차세대 화성 탐사선들의 미션은 화성의 샘플을 지구로 가져오는 임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화성도 유인 우주 탐사의 영원한 최종 ... ...
Part 5. 우리은하 - 미지의 세계를 향해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결과는 이렇지 않아요. 중심에서 먼 천체들과 중심에 있는 천체들이 모두 비슷한 속도로
공전
을 하고 있지요. 이에 과학자들은 ‘미지의 물체가 천체들이 빨리 움직이도록 힘을 가하고 있다’고 추측했어요. 그리고 이 물질에 ‘암흑물질’이라는 이름을 붙였지요. 아직까지 암흑물질에 대해선 ... ...
Part 1. 몸풀기 게임 진실 혹은 거짓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비슷한 실험을 2~3회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로 돌아갔답니다. *정지 궤도 : 위성의
공전
주기와 지구의 자전 주기가 같아서 지구에서 봤을 때 위성이 항상 같은 자리에 머무는 것처럼 보아는 궤도. 일부 과학자들은 인공 달이 지구의 야간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어요. 이에 ... ...
[과학뉴스] ‘행성 사냥꾼’ 케플러, 임무 종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2호
2009년 발사한 첫 번째 외계 행성 탐사용 우주망원경이에요. 케플러는 행성이
공전
하면서 별 앞을 지나갈 때 생기는 미세한 밝기 차이를 측정해 외계 행성을 찾아요. 별의 밝기 차이에 따라 행성의 크기도 측정하지요. 케플러는 지난 9년 동안 태양 궤도를 돌며 태양계 바깥에 있는 외계 행성을 266 ... ...
달나라 여행 주의사항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9호
공전
주기가 모두 약 27.3일로 같아요. 달이 스스로 한 바퀴 도는 동안 지구도 한 바퀴
공전
하지요. 그래서 지구에서는 늘 달의 앞면밖에 볼 수 없답니다. 이 때문에 달의 뒷면은 늘 지구에서 먼 쪽에 있어요. 그래서 달의 뒷면과 지구 사이를 직진하는 전파를 쏘는 일은 불가능했지요. 그런데 올해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후속 연구를 하기에는 너무 희미하다는 한계가 있다”며 “테스는 지구를 13.7일마다
공전
하며 이보다 20배가량 넓은, 우주의 약 85%를 스캔할 수 있어 허블이나 스피처 등 우주망원경과 함께 활용해 30~300광년으로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외계행성을 탐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테스는 올해 8월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연자의 ‘아모르파티’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분야에 4가지 문제를 냈습니다. 그중 하나는 ‘태양계의 행성들은 서로 잡아당기면서
공전
하는데 과연 태양계는 영원히 안정적인 궤도로 도는가?’에 대한 문제로 태양계의 운명을 다루는 내용이었습니다. 프랑스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는 ‘3체문제’의 일반해를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 ...
[과학뉴스] 강력한 레이저를 내뿜는 개미 성운 포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2호
토대로 개미 성운이 원래 쌍성계였을 것이라고 추정했어요. 즉, 두 개의 별이 서로를
공전
하고 있었는데 한 별이 먼저 수명을 다해 행성상 성운을 만들고 백색왜성이 됐어요. 이후 수명을 다한 동반자 별이 방출한 기체가 백색왜성의 중력에 잡혔어요. 그리고 이 기체가 별의 빛을 증폭시켜 강력한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있었습니다.‘호핑’ 기법으로 소행성 돌아다녀이후 하야부사2는 수십~수백m 상공에서
공전
하며 류구를 관측하고 많은 자료를 보내줬습니다. 그리고 지난 9월 21일, 세계 최초로 ‘미네르바(MINERVA)-Ⅱ1’이라는 소형 탐사 로버를 소행성 표면에 착륙시키는 데 성공했죠. 지금까지 소행성을 스쳐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