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정
공평무사
불편부당
공명 정대
공명정대
정직
d라이브러리
"
공평
"(으)로 총 192건 검색되었습니다.
2. 태초에 수소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전체적으로 전자의 수는 늘어난게 아닌데도 말이다. 그야말로 하나를 주고 하나를 받는
공평
한 거래다. 후일 미국의 랭뮤어는 이런 결합방식에 ‘공유결합’이라는 이름을 붙여서 전세계의 중·고등학생이 빅뱅 우주에서 처음 시도된 지혜로운 결합의 원리를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다.이런 상생의 ... ...
뷰티풀 마인드 vs 굿 윌 헌팅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천재를 부러운 눈으로 바라보며 그들 때문에 절망할 수밖에 없다. 세상은 참으로 불
공평
하다."넌 우리한테 없는 재능을 가졌어. 내 생에 최고의 날은 내가 너희 집 문을 두드려도 아무런 대답이 없을 때야. 네가 떠났을 때라고, 적어도 그 순간만큼은 행복할거야.”우리 대부분은 떠나는 친구를 ... ...
구장산술 (九章算術)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입방체에 대한 부피를 계산한다(28문제).■ 6장 - 균륜(均輪) : 백성에 대한 부역을 어떻게
공평
하게 부과할 것인가를 다룬 내용으로, 운반거리의 멀고 가까움을 고려해 비용을 동등하게 정하는 계산법을 다룬다(28문제).■ 7장 - 영부족(盈不足) : 대수적으로 2원 1차 방정식을 푸는 법을 다루며, ... ...
'몸이 재산' 프로선수 독특한 체격 진화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무겁고 단단하다는 의미다. 사람을 몸무게로만 비교하면 신장이 큰 사람과 작은 사람이
공평
하게 비교될 수 없기 때문에 신체질량지수는 키를 평준화시킨 후에 몸무게를 비교하는 척도인 것이다.그래프를 보면 지난 1백년 동안 달리기 거리가 길어질수록 신체질량지수가 줄어드는 점을 볼 수 있다. ... ...
시공을 넘나드는 무인도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떠 밀려온 몇개의 소포 꾸러미였다. 이렇듯 로빈슨 크루소와 척 놀랜드 두 주인공은 불
공평
한 조건에서 무인도 생존을 시작한다.과연 이곳이 무인도일까?해안선을 따라 한바퀴 돈다 vs. 높은 곳으로 올라간다해변에서 눈을 떴다고 해서 무인도라는 섣부른 판단을 내리는 것은 금물이다. 당신이 ... ...
Ⅲ 사람이 주인 되는 인터페이스 꿈꾼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장애가 있음을 전제로 했다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UD는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이들에게
공평
한 설계를 하자는 발상이다. 장애인에게 이롭다면 그것은 모든 이들에게 이로운 것이기에.보편적이기를 원했던 GUI 인터페이스는 젊고 건강한 평균적인 일반인들에게는 편리했지만, 그 반대급부가 있었음은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우리나라나 구분 없이 같은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자연은 발견의 기회를 모두에게
공평
하게 나눠주고 있다. 보이지 않는 당신을 찾아서당신은 누구십니까?차디차게 식어버린 태초의 빛에서당신의 존재를 어렴풋이 짐작합니다.당신은 어디에 계시나요?은하수의 무수한 별들이제각기 자기 ...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않고, 자연의 일부로서 세상을 바라본다면 이 말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피조물에게
공평
하게 적용된다. 어떤 동물이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다른 색깔, 다른 모양으로 존재하는 세상. 동물마다 간직하고 있는 그들의 눈에 비친 세상을 접해보자.뇌에서 최종영상 만들어져동물의 눈에 비친 세상을 알기 ... ...
우리민족 산학의 뿌리 '구장산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형태의 입체에 관한 문제가 포함돼 있으며, 여섯째 장 ‘균수’(均輸)에는 고대국가가
공평
과세를 어떻게 실현하려고 했는지를 엿볼 수 있는 문제가 등장한다. 일곱째 장 ‘영부족’(盈不足)과 여덟째 장 ‘방정’(方程)은 모두 연립방정식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장 ‘구고’(句股)는 ... ...
2. 가속기가 열어온 입자물리학 50년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연구팀은 입자의 붕괴하는 모양을 본따 프사이(ψ)라고 이름붙였다. 양쪽의 발견을
공평
하게 인정하기 위해 이 입자는 J/ψ라는 이름을 갖게 된다. 1974년 11월에 이루어진 이 발견은 흔히 입자물리학자들에 의해 ‘11월 혁명’이라고 불린다.그로부터 3년 후에 미국 페르미연구소에서 레더만교수가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