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과서
교본
d라이브러리
"
교재
"(으)로 총 262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소나노튜브 속에는 온도가 없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시간에 따라 탄소나노튜브의 온도가 다르게 측정되는 것이다.이 결과에 대해 대학화학
교재
저자로 유명한 영국 옥스퍼드대 물리화학자 피터 아트킨스 박사는 “온도를 알 수 없다는 것은 계의 물리적 성질을 예측할 수 없다는 뜻”이라며 “이는 나노튜브가 전자소자로 쓰일 때 문제를 일으킬 수 ... ...
우리 역사에서 찾아낸 나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하며 고개가 끄덕여진다.원래 ‘궁궐의 우리나무’ 는 박 교수가 대학에서 수목학
교재
로 쓰기 위해 정리한 내용이었다고 한다. 임산공학과를 택한 학생들조차 나무에 대한 기초지식은 물론이고 관심조차 부족한 실정에서, 생소한 수목학을 일상생활 가까이에 있는 익숙한 나무와 연관시켜 ... ...
북한, 멀티미디어 과학
교재
만들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것으로 추측되는 생물들의 먹이사슬을 흥미진진하게 재현해준다고 통신은 보도했다.이
교재
는 지난 10월 평양에서 열린 ‘제14차 전국프로그람경연 및 전시회’에 출품돼 당시 금메달을 수상했던 것으로 알려졌다.하지만 흥미 유발을 위해 프로그램 안에 포함시킨 가상수족관이 사람들로부터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독학의 길을 걸었다. 다행히 담임선생님이 그에게 특별한 관심을 보여 대학생용 물리학
교재
를 권했는데, 혼자 읽고 소화해내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당시 상대성이론에 대한 글을 읽었는데 도무지 이해가 안돼 대학에서 물리학을 공부하기로 마음먹었다.대학 졸업 후 공군사관학교에서 물리학 ... ...
달걀 삶는 기구의 패러독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물리영재교육을 위한 ‘이달의 문제’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IYPT에 참가하는 독일팀의
교재
로 활용되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이 책은 일차적으로 IYPT나 KYPT와 같은 대회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유용할 것이다. 하지만 물리학에 흥미를 갖고 좀더 심층적인 연구에 몰두하고 싶은 많은 학생들에게도 ... ...
2. 네이처·사이언스 권위에 금이 간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서교수의 이론이 소개돼 있지 않다. 그러나 올해 미국에서 발간된 분자생물학
교재
‘GENOMES’의 2002년 개정판에 서교수의 연구논문이 참고문헌으로 소개됐다. 서교수의 땀과 노력이 드디어 결실을 맺기 시작한 것이다.서연수 교수 vs 네이처서교수가 자신의 연구 결과를 네이처에 보낸 것은 지난 200 ... ...
1. 과학영재학교 첫 선발 총정리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높았다.향후 과학 영재학교에 진학 하려는 학생은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정해진 몇권의
교재
로 단기간에 반복학습하거나 획일적인 표준 풀이법을 숙달해 문제를 푸는 방식으로 준비해선 절대 안된다고 심사위원들과 응시자들은 말한다. 이보다는 어릴 적부터 자연과 친숙하 ... ...
공학적 직관과 응용의 조화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강의 시간에 칠판에 판서 하는 내용과 매 수업 시간마다 나눠주는 핸드 아웃(수업 보충
교재
)을 통해 진행된다. 이같은 방식을 통해 일반 교과서에 나오는 내용을 좀더 체계적이고 심도있게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것이다.이런 모습은 수업을 준비하는 담당 교수의 자신감의 표현이다. 이는 핸드 아웃의 ... ...
개미의 작가 베르나르 베르베르 와의 만남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내 소설을 읽고 과학을 전공하게 된 젊은이들도 있다. 또 내 소설이 고등학교
교재
로 쓰이기도 한다. 교사는 나에게 자문을 구하기도 하고, 학생들은 과제를 하기 위해 이메일을 보내기도 한다. 이때 학생들과 나는 토론을 벌이기도 한다.▶ 평소의 하루 일과는 어떠한가.오전 8시부터 12시 30분까지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명현상 생물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반대의 상황인 물리내용일 때도 마찬가지다. 사실 생물물리를 가르치기에 적절한
교재
도 없는 상황이다.이처럼 생물물리가 해결해야 할 문제는 많다. 현재 이 분야는 완전한 틀을 갖춘 상태가 아니다. 워낙에 서로 다른 두 분야가 만나서인지 통합이 쉽지만은 않은 듯하다. 통일성과 일반성을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