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안
해변
연안
물가
연해
해변가
연해변
d라이브러리
"
바닷가
"(으)로 총 34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방사능에서 벗어나는 법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떨어지길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바다로 흘러간 방사성 물질은
바닷가
에서 30km만 나가도 농도가 1/1000 수준으로 낮아진다고 한다.한편 사고 난 일본 원전 내부에는 바다로 흘려보내기 어려울 만큼 높은 농도로 오염된 물이 6만t이나 있다. 일본은 이 물을 큰 탱크로 옮겨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계산하는 거대한 계산기인지도 모른다. 뉴턴이 “나는 진리의 대해(大海)를 앞에 둔
바닷가
에서 한 개의 조개를 주운 것에 불과하다”라고 말했다지만, 우주가 우리에게 보여주는 경이로움이 언제 끝날지는 알 수 없다.물리학자 제임스 클락 맥스웰은 영국의 변방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났다.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흰개미 선생에 비하면 초보적인 수준입니다만 농사짓기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저희는
바닷가
에 사는 풀에 상처를 냅니다. 그리고 여기에 곰팡이가 들어 있는 배설물을 바릅니다. 상처 부위로 침입한 곰팡이가 영양분을 섭취해 자라면 저희가 곰팡이를 거둬들이지요. [암브로시아딱정벌레 ... ...
살아 있는 지질박물관, 일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진원지로 일어난 고베 대지진으로 가로등이 좌우로 기울어진 모습을 볼 수 있다.
바닷가
근처의 땅이 갈라져 부서진 모습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지금까지 ‘꿈틀꿈틀’ 살아 있는 지질박물관, 일본의 신비한 지질에 대해 잘 보았나요? 이밖에도 일본에는 바로 눈앞에서 1200마리의 사슴을 볼 수 있는 ... ...
엄지공주도 깜짝 놀란 마이크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버터●제7회 바이오현미경 사진전 바이오공학상●중고등부● 전소희●배율 180배
바닷가
에서 채집한 해초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 표면에 공모양의 공기주머니가 수축해 베이글처럼 보인다. 버섯 피자●2010 니콘 스몰월드 13등●제임스 니콜슨●미국 산호문화협력 연구소●배율 16 ... ...
나는야 기름 먹는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9호
유조선이 충돌하거나
바닷가
의 건물이 폭발해 바다에 기름이 유출되는 사고가 많이 일어나고 있어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카를로 라티 교수팀이 기름먹는 로봇 ‘씨스왐’을 개발했답니다.씨스왐은 폭 2.1m에 총 길이 4.9m의 크기로, 몸체에 길고 넓은 꼬리가 달려 있어요. ... ...
특명 사라진 가을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7호
함께 왔어. 해파리 떼가 몰려온다!미안미안~. 내 친구 해파리 때문에 고생이 많지?
바닷가
에서 사람을 쏘거나 그물을 망쳐 놓으며 여름에 기승을 부리던 해파리들이 이제는 가을에도 찾아오고 있어.모든 해파리들이 독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한국 바다에 찾아오는 ‘노무라입깃해파리’나 ... ...
폭풍우를 뚫고 웨이크 섬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7호
해안에서 밧줄을 가지고 배로 다가왔다. 수십 대의 구조 차량과 구급차, 소방차가
바닷가
를 가득 메우고 있었다.옆으로 측은하게 누워 있는 배를 보니 마음이 아팠다. 지난 밤 생사를 넘나들며 죽을 고생을 했지만 서둘러 배를 고쳐 다시 바다로 나가자고 마음을 다잡았다. 대서양에서는 장보고 호를 ... ...
공기타이어 발명가는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6호
뛰쳐나왔다. 목적지는 철썩이는 시원한 파도소리와 끼룩끼룩 갈매기 소리가 어우러진
바닷가
. 더위를 식혀 줄 아름다운 해변으로 가기 위해서 썰렁발명카를 타고 집을 나섰다. 얼마나 갔을까? 갑자기 차가 심하게 덜컹거렸다.“어? 도대체 왜 이러지?”차에서 내려 바퀴를 살펴보니, 이게 웬일? ... ...
고슴도치 섬에는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어디서나 살 수 있어요!천연기념물인 수달은 보통 민물에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바닷가
에서도 살 수 있다. 물에 들어갈 땐 입을 다물고, 특별한 근육으로 코와 귀를 꼭 틀어 막기 때문에 바닷물이나 강물에 관계 없이 물 속에서 생활할 수 있다. 바다에서 발견되는 수달은 종종 해달로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