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리어] 3화.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STEM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논문과 학술지를 읽었습니다. 그 논문들에 실린 실험들을 어떻게 재현할지, 또는 어떻게 방향을 바꿔서 다른 실험을 할 수 있을지 등을 고민했죠. 이런 경험들이 쌓여 지금 학교에서 학생들과 다양하고 흥미로운 실험들을 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Q.강동고는 2018년부터 한국과학창의재단 ... ...
- Part4. 가장 먼 곳의 붉은 은하를 찾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붉은지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번에 발견된 12개의 붉은 은하 대부분은 원반이 누워있는 방향으로 관측되므로, 그만큼 별빛이 먼지를 더 많이 통과했을테니 더욱 극단적으로 붉어졌을 것이다. 초기 은하들, 기존 우주론의 예측과 어긋난다? 한편 제임스 웹으로 연이어 확인되는 먼 우주의 초기 ... ...
- [최신 이슈] 신약 개발에 불어온 새 바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무궁무진할 수밖에 없다. 남 교수는 “앞으로 mRNA 백신은 예방용 백신과 치료용 백신 두 방향으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특히 환자의 암 발병 양상에 따라 발생하는 암 특이적 돌연변이(신생항원)를 타겟으로 암백신을 개발하면 되니 개인 맞춤형 암치료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 ...
- [5년 후, 과학은] 탄소중립으로 가는 확실한 지름길 수전해 수소 생산 기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수소는 단위 무게 1g당 에너지가 120.7kJ(킬로줄줄은 1N(뉴턴)의 힘이 작용해 그 방향으로 1m 움직일 때 한 일과 에너지의 단위)로 다른 연료보다 높고, 태웠을 때 이산화탄소 등 오염물질이 전혀 나오지 않아서 주목받는 청정 연료입니다. 또한 한국의 산업 부문 탄소 배출량 중 39%, 전체 탄소 배출량의 ... ...
- [가상인터뷰] 가위개미 들 수 있을 만큼만 오린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나뭇잎 가장자리를 잡아요. 이때 나뭇잎의 두께를 감지하죠. 그다음 머리 감각털로 방향을 파악하며 몸을 회전해요. 거의 180도를 회전해야 하다보니 절반 정도 가서는 가장자리에 고정하고 있던 뒷다리를 슬쩍 다른 발로 바꿉니다. 그런 다음 계속 오려요. 몸을 ‘컴퍼스’로 쓰면서 오리고 있는 ... ...
- 따오기, 판다, 기린… 동물 외교가 남긴 것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동물 외교’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들의 발자취를 따라가보며 동물 외교가 나아갈 방향을 짚어본다. ‘한중 정상회담’과 따오기 외교 동대구역에서 차를 타고 1시간쯤 달려 도착한 따오기복원센터. 따오기 관리 총괄 업무를 맡고 있는 박언기 팀장과 한영인 주무관은 기자를 건물 2층으로 ... ...
- [수학연구] 수학을 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8호
- 저와 제 동료들 모두 큰 유기체 속 세포 하나로서 작용하는 듯해요. 이 유기체가 새로운 방향으로 계속 함께 나아간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지요. 집단의 일원으로서 살던 옛날에 비하면 현대인은 개개인이 짊어지고 있는 무게가 굉장히 커졌잖아요. 하지만 수학 연구를 열심히 하고 있다 보면, 제가 ... ...
- 작전명 : 블록을 맞춰 줄을 없애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8호
- 놓을지 정할 수 있어요. 블록이 일단 줄에 닿으면 모양을 바꿀 수 없지요. 블록은 시계 방향으로 90씩 회전할 수 있어서, 내가 채우고 싶은 빈틈에 맞게 돌리면 돼요. 위에서 내려오는 블록의 순서는 정해져 있지 않아요. 다음에 나올 블록이 무엇인지 보여주는 작은 칸을 보며 전략을 짜야 하지요 ... ...
- 가짜 세상을 만드는 기술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방식이 될 것”이라며 “아주 먼 미래에는 미각뿐만 아니라 오감을 BCI기술로 재현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Brain Computer Interface) 기술은 뇌와 컴퓨터를 연결해 상호작용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영화 ‘매트릭스’에는 신경계에 전극을 꽂아 ... ...
- 창원대학교 국립대학 육성사업, 300평의 스마트 팩토리에서 글로컬 인재 키운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미세 패턴 필름은 대부분 가로세로 10cm 크기로 제작됐다. 가로 방향으로는 12개, 세로 방향으로는 9개, 그래서 총 108개의 필름을 이어 붙여야 했다. 그 과정이 숙련된 연구원들에게도 고되어 불교에서 행해지는 108배에 비유한 것이다. 연구팀은 이런 108배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스스로 개발했다.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