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복
복원
만회
재건
복귀
부흥
수복
d라이브러리
"
복구
"(으)로 총 397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을 빛낸 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산자르교수는 자외선을 받고 망가진 DNA를 알아서 잘라내 버리는 ‘뉴클레오티드 절단
복구
’과정을 확인해 상을 받았답니다. 노벨상에 숨겨진 과학의 두 얼굴노벨상을 받았다고 해서 모두 좋은 연구로 평가를 받지는 않아. 과학이란 누가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약이 되기도 독이 되기도 하거든 ... ...
세계 최고의 재난대응로봇 휴보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다르파 로보틱스 챌린지는 가상의 원자력발전소 사고 현장에 사람 대신 로봇이 들어가
복구
작업을 하고 빠져나오는 과정을 겨루는 대회예요.로봇에게 주어진 임무는 총 8개예요. 사고 현장까지 운전을 하고(➊) 차에서 내려(➋) 문을 열고(➌) 밸브를 잠근 뒤(➍), 벽에 구멍을 뚫고(➎) 깜짝 과제를 ... ...
암세포 골라 잡는 ‘표적 기술’ 꿈꾼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현재 UC샌디에이고 교수)예요.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의 업적 중 하나인 ‘DNA 불일치
복구
’가 대장암의 발병 원인이라는 것을 처음 밝힌 분이죠. 연구를 할 때 가설을 세우고, 실험의 방향을 설정하는 부분에 대해 많은 조언을 해 주셨어요. 후배 연구자들을 보면 박사학위를 가지고 있는데도 가설과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큰 가치가 있다. DNA의 손상·
복구
는 암 발생 및 노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DNA 손상·
복구
에 관련된 여러 유전자의 결핍이나 변형이 다양한 질병과 관련 있다는 연구결과도 수없이 발표되고 있다. 수상자들의 업적은 앞으로도 계속 관심을 받을 것이고, 향후 임상분야로 연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산간지역 주민들은 6개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임시 거주지에 지내는 경우가 많았다. 피해
복구
를 위한 물자 수급도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네팔 현지 비정부기구(NGO)인 생태보호포럼(Ecological Protection Forum·EPF Nepal) 소속으로 이번 방문의 통역을 맡은 마누 구룽 씨는 “네팔은 대부분의 ... ...
코끼리는 어떻게 암을 피해갈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apoptosis)’을 더 많이 유도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스키프맨 박사는 “DNA 손상을
복구
하는 대신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세포, 즉 예비종양 세포를 없애는 방법을 진화적으로 택한 것”이라고 말했다.이 연구결과는 ‘미국의학협회보(JAMA)’ 10월 8일자에 실렸다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독성이나 숙주의 면역물질이 세포를 손상시키지 않게 하거나, 손상되더라도빠르게
복구
하는 현상이다.도움이 되는 미생물을 배양하는 것도 관용에 해당한다. 여성의 질은 강한 산성(pH 3.5~4.5)으로 유지된다. 인체는 산성 물질을 내뿜는 젖산균을 관용함으로써 성병을 일으키는 다른 미생물에 적극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광센서의 절반 정도가 폭발하는 큰 사고가 있었는데, 토츠카 교수의 지도력으로 금방
복구
하기도 했다. 그러나 2008년 암으로 타계하는 바람에, 이 결과를 얻는데 리더 역할을 했던 카지타 교수가 올해 노벨상을 수상하게 됐다.태양 중성미자 변신을 측정한 캐나다 국제공동연구팀코시바 교수와 함께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극한을 볼 수 있는 자리다. 가상의 원자력발전소 사고 현장에 로봇을 투입해 사람 대신
복구
작업을 하고 빠져나오는 과정을 겨룬다. 미국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다르파, DARPA)이 2012년 기획해 3년간 기술평가와 예선대회를 거쳐 마침내 최종 결승전이 열렸다.세계적 연구팀 물리치고 44분 2 ... ...
박종화 생명과학부 교수 - 늙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꼽히는 것은 DNA 끝단에 있는 텔로미어가 짧아지는 현상이다. 손상된 텔로미어를
복구
하는 효소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찾아 노화를 막는 것이 제로믹스의 목표다. 각종 실험기술의 발달로 관련된 데이터는 충분히 쌓여있고 분석방법이 관건이다. 여기에 박 교수의 생물정보학 노하우가 큰 역할을 할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