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
마음
의미
생각
감정
아랫배
belly
d라이브러리
"
복부
"(으)로 총 194건 검색되었습니다.
1 촉감-인체 최대의 감각기관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부위가 발보다는 훨씬 민감하며 여자가 남자보다 더 민감하다. 또한 여자들은 얼굴이나
복부
의 민감도가 거의 비슷하지만 남자는 그렇지 않다. 피부는 대뇌의 체성감각피질(somatosensory cortex)과 연관을 가지고 있으며 대뇌피질 관련 부분의 면적이 넓을수록 더 높은 민감성을 나타낸다고 한다.피부에 ... ...
호주산 붉은등거미 자손 위해 온몸 던져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공중제비하듯 날려 암거미의 턱으로 들어가는 것을 관측했다. 교미는 암거미가 숫거미의
복부
를 천천히 씹어먹을 때까지 지속된다. 교미가 막바지 단계에 이를 때쯤이면 숫거미는 거의 다먹힌 상태이고 이때 암거미는 숫거미를 실로 싸서 식사를 마무리한다.생태학자들은 이런 극단적인 식생이 ... ...
명주잠자리의 별난 생태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된다.이러한 생활을 하는 개미귀신을 모래 속에서 꺼내어 모래로 된 평지 위에 놓아두면,
복부
를 밑으로 꾸부리고 꼬리쪽을 재빨리 모래속으로 집어넣고 뒷걸음질 쳐서 모래 속으로 숨어버린다. 약 10분 정도가 지나면 절구모양의 구덩이를 만든다. 모래를 머리로 파 사방팔방으로 끼얹는데 이때 ... ...
곤충들의 짝짓기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배애 엤는 수정낭은 정포 때문에 크게 부풀어 있어 다른 수컷에 대해 날개를 펼치고
복부
를 세워 교미거부 자세를 취한다. 그러나 정포를 소화하여 그 영양분을 거의 흡수해버리면 교미거부행동은 나타나지 않는다. 정포가 암컷에게 영양을 주거나 재교미의 시기를 늦추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 ...
인간사회 축소판 개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두드린다. 발견한 것이 해를 미친다고 생각할 경우 위험신호를 낸다. 큰 턱을 벌리고서
복부
를 높이 들어 아주 흥분하여 돌아다닌다. 그러한 행동은 다른 개미들을 부산하게 만든다.그러나 흥분의 원인이 먹이를 발견한 때문임이 잘 이해되지 않는 경우도 간혹 있다. 의사전달에 중대한 착오가 생긴 ... ...
2 멀티미디어 기술의 새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검색하는 서비스다. 검색 서비스는 오프 라인(off-line)방식을 채택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복부
호화될 필요는 없지만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특히 복호기 부분이 널리 배포돼 이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표준의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서비스에는 디지털 ... ...
생물 - 동물들의 본능행동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성적 유혹 외에 동료들간의 정보 전달에도 활용된다. 개미는 먹이를 발견하면 그
복부
끝에서 길잡이 페로몬을 분비하면서 집으로 돌아오는데, 동료 개미들은 이 페로몬의 냄새로 먹이가 있는 곳을 찾아간다. 이 물질은 휘발성이어서 곧 날아가 버리기 때문에 개미들이 분비된 지 오래된 페로몬의 ... ...
잠자리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수컷의 꼬리끝에 있는 부속기를 암컷의 머리 뒷쪽이나 앞가슴에 연결하고 암컷이
복부
를 구부려서 제9절에 있는 생식기를 수컷의 제2,3절에 있는 제2성기에 접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수컷은 제9절의 제1성기에서 정자를 제2,3절의 제2성기로 옮기기 때문이다. 결국 잠자리의 교미는 암컷의 도움없이 ... ...
심혈관질환 연구의 메카 THI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디디에 라페이르는 최근 '헬프펌프'(help pump)라는 심장보조기구를 고안해냈다. 이 기구는
복부
의 횡경막 바로 아래에 삽입하게 돼 있는데 완전히 몸안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이 기구를 몸에 지닌 환자의 경우 "샤워도 가능하다"고 개발자는 말한다.라페이르박사는 또 완전한 인공심장을 개발하기 위해 ... ...
X선 기술로 미이라를 영상화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인공눈으로 대체돼 있었는데 인공눈의 소재는 오석(烏石)일 것으로 추정됐다. 그리고
복부
의 왼쪽 옆구리에 구멍이 나 있었다. 아마도 이 구멍을 통해 간 위 폐 장 등 내부장기가 꺼내졌을 것이다.대영박물관과 성토마스병원 연구진들은 앞으로 더 많은 미이라를 X선으로 검사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