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훼손
해
열세
태양
독
곤란
실패
d라이브러리
"
불리
"(으)로 총 406건 검색되었습니다.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기술적 응용보다는 최초의 발견에 더 후한 점수를 준다는 사실도 김 교수에게는
불리
했다. 영국 아인도벤공대 산업디자인과 크리스토퍼 바트넥 교수가 2007년 8월 네이처에 낸 기고문에 따르면 1901년부터 2006년까지 나온 노벨물리학상의 77%가 새로운 현상이나 이론, 제조법을 발견한 학자에게 ... ...
기대와 숙제를 동시에 남긴 2010 F1 코리아 그랑프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챔피언에 등극할 수 있었다. 하지만 F1의 규정 때문에 알론소에게 남은 두 대회는 매우
불리
해졌다. F1에서는 1년간 머신의 엔진을 8개까지만 교체할 수 있다는 규정이 있다. 그런데 알론소는 이전 대회에서 자주 엔진을 교체하는 바람에 영암 대회에 마지막 8번째 엔진을 가지고 출전했다. 게다가 이 ... ...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작아 호흡에 더욱 유리하다. 기체의 확산은 공기보다 물에서 더욱 어렵다는 점도 물이
불리
한 호흡환경으로 만드는 데 한몫 한다. 물에 용존돼 있는 기체는 약한 전기적 성질로 인해 물 분자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러한 수화껍질은 기체 분자가 물 내에서 확산되는 데에 더욱 큰 하중을 부여한다.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회로설계를 전공한 연구원은 이 교수뿐이었다. 다른 연구원들과는 출발이 달라
불리
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이 교수는 완전히 새로 시작하는 마음으로 광학 연구에 매달렸고, 결국 홀로그래피와 광통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이렇게 이 교수로 하여금 과감히 진로를 바꾸게 만든 동력은 ... ...
슛~~ 과학으로 즐기는 2010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빠르게 된다. 골키퍼도 헷갈리는 무회전 슛축구에서 ‘마구’, ‘도깨비 슛’이라고
불리
는 무회전 슛은 공이 거의 일직선으로 날아가다가 골문과 가까워지면서 흔들려 골키퍼를 혼란스럽게 만든다. 그 비밀은 무회전 슛에서만 발생하는 소용돌이에 있다.선수가 공이 회전하지 않도록 차면, ... ...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먼저 두는 사람이 압도적으로 이겼죠. 그래서 현재는 먼저 두는 사람이 기본 주형이라고
불리
는 26가지 주형 중 하나를 오목판에 배치한 뒤 나중에 두는 사람이 흑 또는 백을 선택하게 합니다. 백으로 결정된 사람이 돌을 하나 놓으면 다음 차례에 흑이 자신이 원하는 수만큼 돌을 놓습니다.그 다음 ... ...
당신은 날 믿었어야 했어요!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500원의 참가비를 내고 기댓값이 500원인 게임이므로 게임에 참가하는 사람에게 무작정
불리
한 게임은 아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보통 B를 선택한다. 이유는 상대방이 둘 중 어떤 것을 선택을 하더라도참가비의 절반은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최대의 이익보다는 최소의 손실을 ... ...
승리의 방정식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손 있다왼손 타자는 공을 친 다음 1루까지 거리가 짧다. 하지만 왼손 투수 앞에서는
불리
하기 마련이다. 왼손 투수의 공은 왼손 타자의 몸쪽에서 바깥쪽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치기 어렵다. 왼손 투수는 1루 주자를 쉽게 견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오른손과 왼손의 차이는 수비에서 더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보며 사람들 대다수는 자국 팀을 일방적으로 응원하기 마련이다. 심판이 자국 팀에
불리
한 판정을 내리면 분노하다가도 비슷한 상황이 상대팀에 적용되면 모른 체 한다. 한 나라 사람끼리는 자기 나라 욕을 하다가도 다른 나라 사람이 자기 나라를 비난하는 걸 보면 분노가 일어난다.애국심이 ... ...
야구장은 도형의 집합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1884년에는 어깨 높이에서도 던질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공의 속도가 빨라져 타자에게
불리
하다고 알려지면서 1893년에야 지금의 위치인 60피트 6인치에 놓이게 됐다. 물리학자들은 공에 걸린 회전력과 중력이 가장 이상적인 조화를 이루는 지점이 바로 이 거리라고 설명한다. 루 사이의 거리는 왜 27.4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