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수"(으)로 총 582건 검색되었습니다.
- 산대와 x로 알아본 동서양의 방정식수학동아 l2014년 09호
- 풀이 방법은 아래와 같다. 해를 구하는 방법은 처음에 대략 해가 될 것 같은 수를 추측해 상수항의 값을 본 다음, 적절하게 더하고 빼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오늘날의 고차방정식의 정수해를 구할 때 쓰는 ‘조립제법’과 비슷하다. 이 방법은 19세기 영국의 수학자 호너가 제안한 방법과도 ... ...
-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제곱근과 전자, 그리고 클리퍼드수학동아 l2014년 07호
- $=${e}^{ct}f(x, y, z)$와 같은 식으로 변해간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지수함수의 성질에 의해서 상수 $c$가 0이 아닌 실수인 경우에는 시간 $t$가 커짐에 따라서 해는 0($c$<0 경우)이나 무한대($c$>0 경우)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핵 주위를 맴도는 평형상태를 나타내려면 $c=bi$꼴의 순허수일 수밖에 없다는 ... ...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본다면 카오스는 실제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하지만 어떤 물리학자들은 플랑크상수가 0으로 접근하는 것만으로 고전역학에 도달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결어긋남과 같은 양자측정이 있어야 고전역학으로 환원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대응원리가 맞는지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뭐가 뭔지 ...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것이다. 그러나 이런 현상은 아주 작은 전자 정도의 세계에서나 나타난다. 플랑크상수의 크기가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626kg·m2/s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당신이 고양이를 쳐다본다고 고양이의 운동량이 변하지 않는 이유다.하이젠베르크는 뛰어난 이론물리학자였지만, 실험에는 젬병이었다. ... ...
- Robot 수학으로 생명을 불어넣다 !수학동아 l2014년 03호
- I)의 로그값에 비례한다는 것으로, (S=K×logI + C)로 나타난다(K와 C는 감각기관에 따라 다른 상수). 즉 전자 혀가 감지한 자극의 세기(I)를 위의 식에 대입하면, 측정하고자 하는 음식에서 단맛과 신맛, 짠맛, 쓴맛, 감칠맛의 양이 각각 얼마나 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로봇, 수학으로 길을 찾다 ... ...
- 수학자에게 기쁨을 주는 숫자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되고, 99를 포함한 55개의 수에 대해 적용하면 891이 된다. 792, 693, 594를 거쳐 결국 카프리카 상수 495로 수렴한다.카프리카를 배출한 인도는 수학 강국으로 잘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인도인들이 19단까지 외운다고 19단 열풍이 일어나기도 했고, 간편하고 신기한 계산법인 인도의 ‘베다수학’이 ...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공간 자체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 밀도라고 할 수 있다. 우주의 가속팽창이 과연 우주상수 때문인지 아닌지를 확실하게 밝히는 것도 21세기 물리학의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암흑에너지에 대해서는 2013년 12월호 특집 참조).이런 이유 때문에 표준모형은 (만약 그런 것이 있다면) 물리학의 ...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아인슈타인도 우주가 팽창하거나 수축하지 않도록, 즉 시작과 끝이 없도록 우주상수를 도입했다. 프레드 호일은 우주 팽창이 발견된 뒤에도 우주가 계속 정상 상태를 유지한다는 이론을 고수했다. 그러기 위해서 우주가 팽창해 물질이 희박해진 만큼 물질이 저절로 생겨난다고 주장했다.그런데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그리고 태양계의 안정성을 증명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이론인 포텐셜 함수와 라플라스 상수를 도입했다. 라플라스는 블랙홀의 존재 가능성을 최초로 생각한 수학자이기도 하다.수학적 논문을 쓰는 천문학 교수 뫼비우스,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1790~1868)뫼비우스는 뛰어난 업적을 남긴 수학자이자 ... ...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그러면 우주의 곡률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아인슈타인이 이미 폐기했던 우주상수처럼 반중력 현상을 일으키는 존재가 다시 필요해진 것이다. 그게 바로 진공에너지다.진공에너지 이론은 아무것도 없어 보이는 공간에 서로 밀어내는 에너지가 존재한다는 가설이다. 아무것도 없는 진공에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