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업"(으)로 총 86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차세대 친환경 비행기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항공업계는 2020년까지 승객 한 명을 수송하는 데 드는 연료량을 절반으로 줄이는 동시에, 상업용 여객기의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80% 줄이겠다는 목표까지 세웠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차세대 친환경 비행기를 개발해야 할까요. 지금부터 과학동아항공이 마련한 차세대 비행기 설계안을 토대로 ... ...
- [과학뉴스] 민간우주선 ‘스페이스십2’ 시험 비행 중 폭발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영국의 상업우주여행사 버진 갤럭틱이 개발한 민간우주여행선 ‘스페이스십2’가 지난 10월 31일(현지시간) 시험비행 중 폭발해 조종사 2명 중 1명이 숨지고 1명이 중상을 입었다. CNN에 따르면, 미 캘리포니아주 모하비 항공우주기지에서 발사된 스페이스십2는 고도 약 13.7km에서 모선과 분리한 직후 ... ...
- PART 2. 물리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된다. 이 방법은 파란색 질화갈륨 LED가 성공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이듬해 마침내 상업적인 가치가 있는 1칸델라 밝기의 파란색 LED를 개발했다. 이와 같은 업적 덕분에 세 사람은 올해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게 됐다. 이들의 업적은 단순히 학술적인 의미에 그치지 않는다. 파란색 LED가 ...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저층 건물에 비해 에너지가 많이 들 수밖에 없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있는 56층 건물인 상업은행 본점(259m)처럼 부분(60%) 자연환기 기능을 채택한 친환경 초고층건물이 있긴 하지만, 아직 주류는 아니다. 더구나 서유럽 등 친환경 국가들이 추구하는 무탄소 건물은 아직 요원하다. 이인선 건축가는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공부한 스톨먼은 1974년 코드 편집 소프트웨어인 이맥스(Emacs)를 개발했다. 소프트웨어 상업화를 반대하던 그는 1984년 개발자들끼리 소스 코드를 서로 공유하며 함께 성장하는 취지의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된다. 다시 말해 인터넷을 이용하는 많은 사람들이 코드를 함께 공유하면서 오류도 찾아내고, ... ...
- 양자냐 아니냐, 그것이 문제로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작품일까 아니면 그저 사기꾼의 농간일까. 2011년 세계 최초로 상업용 양자컴퓨터를 개발했다고 발표해 화제를 몰고 왔던 캐나다 ‘디-웨이브(D-WAVE)’사의 컴퓨터가, 사실은 양자컴퓨터가 아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디-웨이브사는 곧바로 반박했지만, 파문은 점점 커지고 있다.스위스 ... ...
- "SCV good to go, Sir"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우주자원은 채굴비용과 운송비까지 고려하면 현재로선 턱없이 비싸다. 운송료 때문이다. 상업화가 되지 않았으니 비용을 산정하긴 어렵지만, 개인인공위성 개발자 송호준 작가는 무게 1kg짜리 초소형 큐브위성 하나를 지구 궤도에 올려놓는데 1억 원이 넘는 돈을 냈다. 현재로선 달에서 암석 한 ... ...
- 도심형 무인기 드론이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통돌이(TDL)’라는 이름의 비슷한 드론을 개발했다.요즘 상업적으로 주목받는 기능은 ‘배달’이다. 드론을 이용한 배달은 여러 장점이 있는데 먼저 교통체증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복잡한 시내 한복판에서 바로 옆 지역으로 차를 몰고 가려면 1시간이 우습게 날아간다. ... ...
- 인공위성이 바닷속 고래도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많이 들고 정확도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연구진은 해상도 50cm급인 디지털글로브의 상업위성 ‘월드뷰-2(WorldView-2)’로 아르헨티나 해안 113km2 지역에 서식하는 남방긴수염고래 91마리를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프렛웰 박사는 “인공위성 촬영 방식은 90% 정확도를 갖는다”고 밝혔다.그는 과거에도 ... ...
- 그들은 어떻게 과학을 지배하고 있나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논문을 보기 위해서는 논문 한 편당 30달러가 넘는 돈을 내야 한다. 이런 ‘과학지식의 상업화’에 반대해 최근 누구든 무료로 논문을 다운 받을 수 있는 오픈액세스 방식이 등장하기도 했다. 해럴드 바머스 미국 국립보건원(NIH) 전 원장이 2000년 ‘플로스’라는 과학단체를 만들어 2003년 오픈액세스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