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용"(으)로 총 9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 기후체제] 남은 0.4℃를 지켜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탄산염광물 형태로 저장하는 기술도 있지만, 이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해 상용화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03예측하고 적응하고…피할 수 없다면 대비하라기후변화는 현재 진행중이다. 지금도 많은 국가와 도시가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 변화의 피해에 직면해 있다. 이 같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 ...
- 6G 갖춰야 할 성능, 가능케 할 기술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초속도, 연결 밀도가 10배 이상 큰 초연결성을 갖춘 6G나 그보다 더 진보된 통신 기술이 상용화돼야만 다른 차와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는 진정한 의미의 자율주행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5G보다 최소 50배 빨라야 할 6G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를 보면, 6G는 최소 6가지 측면에서 5G의 성능을 ... ...
- [과학뉴스] 비행기보다 빠른 기차, 하이퍼루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떠 마찰을 최소화 한 상태로 빠르게 이동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에요. 하이퍼루프가 상용화되면 탑승객은 시속 1000km보다 빠르게 이동해 서울에서 부산까지 약 20분 만에 갈 수 있어요.사람을 태운 하이퍼루프 탑승 시험은 이번이 처음이에요. 11월 8일, 하이퍼루프 객차에는 2명이 탑승했어요. 터널의 ... ...
- [기획] 상온 초전도체, 어디에 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2019년, 한국전력은 초전도 케이블로 전기 에너지를 송전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는 데 성공했어요. 초전도 전선이 설치된 곳은 경기도 용인시의 신갈동부터 흥덕지구까지 약 1km 구간으로, 한국전력은 전기 에너지 손실이 10분의 1로 줄어들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답니다. _ 인터뷰한승용 ... ...
- [에디터 노트]새로운 태양을 기다리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뛰며 취재했습니다. 높이가 10m나 되는 KSTAR의 규모에 입이 떡 벌어졌다고 합니다. 핵융합 상용화에 필요한 다양한 첨단 기술도 조사했습니다. 슈퍼컴퓨터, 인공지능(AI), 로봇 기술 등을 취재했는데, 핵융합 에너지와 크게 관계없어 보이는 기술들이 모두 융합돼 핵융합 발전을 완성한다는 점이 인상 ... ...
- 50년 인류 최대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그리고 현재는 핵융합 연구의 중심인 ITER에서 전 세계 연구자들과 나란히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라는 꿈을 향해 뛰고 있다. ※필자소개이현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부원장과 ITER 한국사업단 기술본부장을 맡고 있다. 고온 플라스마를 진단하는 기술 등을 연구해왔으며, 현재는 ITER 등 핵융합 ... ...
- [융복합파트너@DGIST] 스테레오 카메라로 자율주행차 가성비 높인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교수는 “그동안 연구가 많이 이뤄진 기존의 시각인지 센서를 장착한 자율주행차가 먼저 상용화되겠지만, 스테레오 카메라도 강점이 분명하다”며 “스테레오 카메라로 경제성을 높여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 ...
- 꿈의 에너지 현실이 되다, 핵융합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계획이다. 화석연료를 대신해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그날까지, 핵융합 에너지의 상용화를 위한 노력과 남은 여정을 살펴봤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핵융합, 꿈의 에너지 현실이 되다Part1.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 Part2.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 ...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삼중수소 공급 시스템은 ITER에 처음으로 적용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핵융합 발전을 상용화하려면 건설된 발전소를 더 오래, 안전하게 활용하게 하는 기술도 뒷받침돼야 한다. 핵융합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극한의 조건을 유지해야 하는 실험로 내부는 사람의 접근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내부에 ...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청소년들이죠. 지금까지 선배 연구자들이 이뤄낸 성과를 바탕으로, 핵융합 에너지의 상용화는 똑똑하고 창의적인 미래 세대의 연구자들이 완성해 나가주길 바랍니다.지금도 잊혀지지 않는 한 초등학생의 질문이 있습니다. “핵융합 발전의 연료인 중수소를 바닷물에서 계속해서 추출한다면 바다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