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믿었던 킬러 T 세포가 고장 나면 어떻게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암까지 막아주는 킬러 T 세포, 만능인 줄로만 알았더니 가끔 고장 나기도 합니다. 킬러 T 세포가 제대로 조절되지 못하면 어떻게 될까요? A형 ... 새로운 출발점이 될 수 있고, 완치도 가능하다”며 “다른 자가 면역 질환도 방관자 T 세포의 영향을 받는지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포자, 지하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유리하거든요. 어떤 세균은 포자를 생존 전략에 활용하기도 합니다. 보통 세균은 하나의 세포가 둘로 분열해 번식하는데, 주변 환경이 열악해지면 스스로를 막으로 둘러싸고 포자 형태가 돼요. 포자 상태에서는 극단적인 온도 변화나 유해한 화학물질 등에 잘 버틸 수 있거든요. 이후 살기 좋은 ... ...
- [에디터 노트] 그저 그렇지 않은 화성 이야기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남다른 재미를 추구할 계획입니다. 3D 푸드 프린터로 인쇄한 음식을 직접 먹어보고(30p), 뇌세포로 컴퓨터를 만들었다는 해외 괴짜 과학자를 직접 인터뷰하고(92p), 기사 속 연구현장에 독자와 함께 찾아가는(137p) 이야기를 부디 잘 즐겨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무엇이 새로운지, 무엇이 ... ...
- 빛, 전기, 세포외소포체… 상처를 치료하는 n 가지 방법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유효 물질의 흡수력을 더 높이는 연구도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다. 빛과 전기, 심지어는 세포외소포체까지 동원해 상처를 빠르게 치료하려는 이유는 비단 편의성 때문만은 아니다. 작은 상처라도 빠르게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말초혈관과 신경이 손상된 ...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배아를 인공자궁에서 키우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접목해 줄기세포 간의 경쟁 과정을 연구했다. 현재는 KAIST 의과학대학원에서 줄기세포 조절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minkyu.yum@kaist.ac ... ...
- [숫자로 보는 뉴스] 원뿔, 모자, 호리병, 클로버~ 재료는 DNA?!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색깔이나 얼굴 모습 등 우리 몸의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 물질로, 우리 몸을 이루는 세포 속에 들어있어요. 휘어진 사다리 같은 모양으로 생겼는데, 너무 작아서 사람의 맨눈으로는 볼 수 없어요. 미국 듀크대학교와 애리조나주립대학교의 연구팀은 재료를 넣으면 원하는 모양을 만들어주는 ... ...
- [기획] 바이러스를 먹고, 알리고, 무찌르는 면역 정예 부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T 세포의 특이성을 발견한 첫 사례였어요. 특정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그에 맞는 킬러 T 세포만 활성화되는 현상을 ‘면역의 특이성’이라고 한답니다. 용어 정리●종두법: 1796년 영국의 의사 에드워드 제너가 천연두를 예방하기 위해 제안한 방법으로, 백신의 시초가 됨 ... ...
- 인쇄한 대체육 직접 먹어봤습니다! 3D 푸드 프린팅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배양해 만든 능성어 필레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필레는 능성어의 근육과 지방세포를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배양어’가 개발된 것은 처음이 아닙니다. 이미 참치, 새우, 연어 등 주요 어종을 출력해 이를 판매하려는 연구가 전세계에서 이뤄지고 있습니다. 배양육 및 ... ...
- [특집] 열적 메타물질로 불꽃 슈트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열 흐름을 자유롭게 통제하는 건 언제나 인류의 꿈이었다”며 “열적 메타물질은 체내 세포 활동을 관리하거나 건축 소재 등 열 관리가 필요한 다양한 영역에서 쓰일 것”이라고 전망했어요. 우주를 파헤쳐줄 알파벳 F? 지난 1월, 미국 퍼듀대학교 전기공학부 주빈 제이콥 교수팀 역시 열 복사를 ... ...
- 약 한 알 먹으면 집중력이 쑥쑥? ‘공부 잘 하는 약’의 진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페니드, 콘서타, 메디키넷 등 제품에 들어있죠. 메틸페니데이트는 신경세포가 도파민을 재흡수하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면 시냅스 속 도파민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도파민이 강하게 작용하게 되는 거죠. 공부를 잘 하게 해 주는 묘약이 없는 이유 도파민의 농도를 높여 주의집중력을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