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실
멸망시킴
전멸
섬멸
괴멸
해소
종료
d라이브러리
"
소멸
"(으)로 총 51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4W의 에너지가 남는다. 남는 에너지는 지구를 데우는 데 쓰인다. 이 남는 에너지를
소멸
하려면 현재 지구에 들어오는 햇빛의 약 1.8%를 우주로 되돌려보내야 한다. 사막은 지구 표면에서 약 2%의 면적을 차지한다. 알비아 개스킬은 2004년에 쓴 ‘전 지구 알베도(햇빛을 반사시키는 비율) 향상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충돌하면 양전자와 중성자가 나온다. 전자의 반물질인 양전자는 곧바로 전자와 쌍
소멸
해 빛을 발한다. 중성자는 약 200μs(마이크로초, 100만 분의 1초) 뒤 수소 원자에 잡혀 빛을 낸다. 이 빛을 광센서로 관측해 중성미자를 검출한다. 김수봉 교수는 “원리는 50년 전과 비슷하지만 섬광액체가 예전보다 ... ...
다빈치처럼 관찰하자! 과학 일러스트 도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7호
포착해 그림으로 그렸어. 말라버린 식물도 그대로 함께 전시해서 생로병사, 생성과
소멸
과 같은 자연의 섭리와 연결지었다고 해. 둘! 다양하게 연상하기마치 수 없이 많은 꽃을 심어 둔 꽃밭 같아. 그런데 돋보기를 들고 자세히 봤더니 ‘꽃’이라는 작은 글자들로 이루어져 있네! ... ...
우주의 비밀을 풀어 줄 반물질 실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탄생할 때 동일한 수의 물질과 반물질이 함께 생겨났다. 물질과 반물질은 서로 충돌하면
소멸
한다. 과학자들은 이번 실험을 통해 왜 반물질만 사라지고 물질만 남아 있는지 밝혀낼 계획이다.덴마크 아르후스대 물리천문학과 안드레센 교수팀은 우주 탄생 초기에 양성자와 함께 나타났다 사라진 ... ...
[지구과학] 지자기 탐사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지구의 자기장 자석이 쇠붙이나 다른 자석에 미치는 힘을 자기력이라고 한다. 자기력은 자석의 양끝으로 갈수록 강해지는데 이 부분을 자극이라고 한다. 자극에는 N극과 S극 ... 물질들의 운동이 멈추면 전류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지구 자기장도 약화되거나
소멸
될 수 있다 ... ...
생물의 다양성 보존을 위한 수학 모형 개발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방해가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생물이 살아가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서식지가
소멸
됐을 때 서식지의 범위를 전체로 확장해 예측하는 것은 잘못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연구팀의 수학 모형은 앞으로 자연 보호 지역을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 ...
[물리] 전기회로 집중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교차점으로 들어오는 전류의 합은 이 교차점에서 나가는 전류의 합과 같다. 전하가
소멸
하지도 생성되지도 않는다는 전하량 보존 법칙의 또 다른 표현식이다.제2법칙(폐회로법칙) : 회로상의 어떤 폐곡선을 선택해도 기전력의 총합은 전압 강하(IR)의 총합과 같다(회로를 완전히 일주하는 동안에 ... ...
빛이 갇힌 세계에서 만든 나노광학현미경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바꿀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해 이렇게 답했다. 나노광학연구실에서는
소멸
파를 활용해 나노크기의 입자를 확대해 볼 수 있는 광학현미경을 만들고 있다. 나노광학은 분해능을 100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 이하로 낮춰 물질의 광특성을 보는 분야다.“근접장은 한마디로 나노크기 ... ...
LED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이에 반해 LED는 반도체 재료에 전기 에너지를 가했을 때 생성되는 전자-정공 쌍이
소멸
하면서 원래의 전기에너지 대신 빛에너지를 방출하는 성질을 이용해 만들어졌다. 백열등이 뜨거운 태양에서 빛이 나오는 원리를 이용하고 형광등이 자연계에 존재하는 형광 현상을 그대로 이용한 것이라면, ... ...
8분마다 기상예보가 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수 있다. 특히 서해에서 발생해 짧은 시간 동안 많은 비를 뿌리는 집중호우는 발생부터
소멸
까지 2~3시간 이내에 이뤄지는 경우도 많다. 천리안위성의 관측 자료는 이런 현상을 예측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기상자료 송수신·전처리 시스템은 천리안위성 지상국의 핵심부분이다. 기상탑재체가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