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소
단축
shrinkage
감소
절감
제한
경련
d라이브러리
"
수축
"(으)로 총 963건 검색되었습니다.
[종목3] 루지, 이미지 트레이닝도 VR로 실전처럼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커지면서 인체 감각기관이 속도감을 느끼고 운동기관인 근육이 그에 반응해 근육을
수축
시켜 이런 반응이 나타난 것”이라고 해석했다. 가상현실 시뮬레이터가 이미지 트레이닝에 사실감을 더해 줄 수 있다는 뜻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으로 金빛 질주, 국가대표 사이언스 ... ...
[종목2] 스켈레톤, 세계랭킹 1위 도운 DNA 훈련법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유전자에 주목했다. 사람의 근육 섬유는
수축
속도가 빨라 순발력 운동에 필요한 속근과,
수축
속도는 느리지만 지구력이 좋은 지근으로 이뤄진다. ACTN3 유전자는 속근과 지근 구성 비율에 영향을 미친다. 이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SNP)이 어떤 유형인지에 따라서 속근이 잘 발달하는 유형(속근형 ... ...
세상을 이루는 물질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흡수돼 납 등 철보다 무거운 원소가 생성된다. *중성자별초신성 폭발 뒤 중심부가 더욱
수축
해 중성자로만 이뤄진 밀도가 큰 별*블랙홀중성자별보다 질량이 더욱 크고, 밀도와 표면 중력이 너무 커서 빛조차 빠져 나올 수 없는 공간 이런 과정을 통해 우리는 성운에 존재하는 많은 성간 물질에서 ... ...
[과학뉴스] 바다거미는 소화관으로 혈액을 순환시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심장 대신 혈액을 옮긴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소화관은 음식물을 옮기기 위해
수축
과 이완을 반복하는 연동운동을 해요. 바다거미는 이 연동운동을 이용해 몸 곳곳으로 혈액을 보냈지요.연구를 이끈 아서 우즈 교수는 “추가 실험을 통해 바다거미의 심장은 몸통과 가까운 다리 일부에만 혈액을 ... ...
Part 3. 마음대로 접히는 종이의 무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형상기억 폴리머가
수축
해요. 근육이
수축
하면서 팔이 구부러지듯, 형상기억 폴리머가
수축
하면 납작했던 판이 선을 따라서 스스로 접히기 시작한답니다. 4분 뒤에는 완전히 모양을 갖춰서 네 발로 움직이는 로봇이 되지요.◀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이상영 교수팀은 종이를 이용해 접을 수 있는 ... ...
[과학뉴스] 살아 있는 대장균이 들어간 운동복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팽창해 섬유의 부피가 늘어나며 운동복의 덮개가 열려요. 반면 건조할 때는 세포가
수축
해 섬유의 부피가 줄면서 덮개가 닫히지요. 이를 100번 반복한 뒤에도 섬유의 성능은 떨어지지 않았답니다.연구를 이끈 왕 웬 연구원은 “운동복을 입고 직접 운동을 해 보니 마치 등 뒤에 에어컨을 단 것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우주 모형에 대해서 “(이들의 모형에서는) 우주에서 중력파가 발생할 경우 우주가 다시
수축
해서 특이점으로 돌아갈 수 있다”며 아인슈타인을 ‘디스’했다. 아인슈타인과 드 지터의 우주 모형 역시 팽창하는 우주 모형이지만, 빅뱅 우주론에서 설명하는 것과는 달리 우주를 복사가 없고 물질만 ... ...
Part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쌓아 만든 로봇위에 보이는 신기하게 생긴 로봇은 무엇일까요? 구부러지고,
수축
하고, 비틀어지는 ‘트위스터’라는 로봇이에요. 이기주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학교 기계항공공학과 교수팀이 개발해 9월 27일 ‘IEEE/RSJ 지능형 로봇과 시스템 국제회의’에서 발표했지요. 유연하게 다양한 ... ...
[과학뉴스] 오징어 위장술 모방한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피부돌기를 갖고 있지만 낙지나 오징어처럼 빠른 속도로 피부 돌기를 연장하거나
수축
시킬 수 없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먼저 고무 같은 성질을 가진 실리콘 탄성중합체와 길이가 일정한 섬유질로 만든 그물망을 붙였다. 이렇게 만든 막을 부풀리면 섬유질 그물망은 그대로 있고 실리콘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조절 작용이 분주하게 일어난다”며 “수정체가 두꺼워지고 모양체(모양체근)가
수축
하면서 망막에 자극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루 3시간 햇빛을 봐야 한다고?책이나 스마트폰을 많이 보는 것만이 원인은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2015년 ‘근시 대유행(The myopia boom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