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쪽"(으)로 총 786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올라) 연구팀은 중력의 방향에도 주목했다. 공 모양 지구에서는 어느 지점에서든 발 아래쪽 수직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한다. 하지만 정육면체 모양 지구에서는 어디에 서 있는지에 따라 중력 방향이 달라진다. 중력이 지표면과 수직이 아닌, 지구 중심을 향해 작용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정육면체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시험 기간 금지 게임, 미니 메트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그림은 제가 승객을 301명 태웠을 때 서울 지도에 나타난 지하철역입니다. 동그라미역이 아래쪽에 밀집돼 있죠. 사무구역보다 주거구역이 많고, 주거구역이 한 곳에 밀집된 현실을 매우 잘 반영합니다. 동그라미역에는 동그라미 승객이 없기 때문에 동그라미역을 연속해서 이으면 열차는 금세 꽉 ... ...
- [Origin] 피 한방울 이즈 베리 임폴턴트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아래쪽으로 빠져나가고 CTC만 남는다. 랩온어디스크 중앙에는 필터가 들어있는데, 필터 아래쪽에는 항상 물이 채워져 있다. 덕분에 혈액이 필터 전면에서 고르게 걸러지면서 필터를 막지 않고, CTC 손상도 줄어든다. 연구팀은 이런 방식으로 암환자 142명과 정상인 50명의 혈액을 검사해 95% 이상 CTC를 ... ...
- Part 2. 장비‘빨’ 제대로 받자!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그 점에만 작용한다고 생각하는데, 이를 ‘질량중심’이라 한다. 의자가 낮으면 질량이 아래쪽에 모여 질량중심도 낮아진다. 농구용 휠체어를 타면 옆으로 쉽게 넘어지지 않는다. 상대 선수가 왼쪽에서 달려와 내 휠체어와 부딪친다고 생각해보자. 휠체어는 아래 그림처럼 중심점을 중심으로 ... ...
- [매스미디어] 스튜디오 지브리 대박람회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달린 비행기가 물이나 활주로에서 속도를 내면 위아래에 바람이 생깁니다. 위쪽 공기는 아래쪽보다 더 많은 거리를 가야 하므로 날개 위의 바람이 더 빠릅니다. 이 때문에 위쪽으로 힘이 생기고, 이를 ‘양력’이라고 하죠. 이처럼 양력으로 뜨는 비행기와 부력으로 뜨는 비행선을 경쟁적으로 ... ...
- 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다음 시계방향으로 180° 회전한 뒤 두 종이를 겹치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쪽으로 뒤집으면 단박에 알 수도 있지요. 구멍 뚫린 종이는 총 8가지 방법으로 대칭이동 할 수 있습니다. 90°씩 회전하는 4가지 방법과 뒤집어 다시 90°씩 회전하는 방법으로 8가지 경우만 고려해 보면 됩니다. ... ...
- Part 3. [드라큘라의 저주 3] 태양이 없어지면 빙하시대가 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온도는 영하 75℃!태양이 사라져도 당장 빙하시대가 되지는 않을 거예요. 왜냐하면 지각 아래쪽에 있는 액체상태의 맨틀이 열을 내고, 지구 중심부에서 5000℃가 넘는 열이 지각으로 전달되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태양 없이 지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지구의 온도는 서서히 낮아져요. 그리고 1년쯤 ... ...
- Part 4. [활약3] 우주쓰레기를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향해 움직이도록 추력기를 가동해 살짝 힘을 주지요. 그럼 쓰레기는 이 힘에 의해 궤도 아래쪽으로 밀려나며 지구로 떨어지게 돼요. 큐브샛에 달린 팔이나 그물로 우주쓰레기를 직접 잡아 저궤도로 떨어뜨리는 방법도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음료수 ... ...
- [쇼킹 사이언스] 하늘에 UFO가 떴다?! 렌즈구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하늘에 UFO가 나타난 걸까요? 외계인이 타고 온 비행접시처럼 보이는 이 현상은 ‘렌즈구름’이랍니다. 구름의 모양이 렌즈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 ... 여러 구름을 만들어낸다. 산의 꼭대기에는산이 모자를 쓴 듯한 삿갓구름이, 렌즈구름 아래쪽에는 수평으로늘어선 말린구름이 만들어진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해류는 다양한 이유로 생겨요. 바닷물의 가장 위쪽은 바람 때문에 물이 흐르기 시작하고, 아래쪽 심층수는 염도나 수온 차이로 일정한 흐름이 생겨요. 또 한 번 흐름이 생긴 뒤엔 주변의 물들이 그 자리를 메우기 위해 흘러들어가며 계속해서 물의 흐름이 생긴답니다. 이렇게 흐르기 시작한 바닷물은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