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야망
정력
d라이브러리
"
야심
"(으)로 총 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슴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암사슴들이 저마다 운명을 점치며 주시하는 가운데 각축전의 막이 열린다. 숫사슴가운데
야심
많고 자신만만한 사슴이 나머지 숫사슴중에서 상대를 택해서 혈전을 벌인다. 여기서 이긴 숫사슴은 계속해서 제2, 제3의 도전자들을 물리치고 마침내 패왕이돼 군림한다.삭풍이 몰아치고 살을 에이는 ... ...
중공의 우주기지와 과학자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의하면 1990년대 말경까지 우주스테이션과 연락용의 스페이스 셔틀을 발사한다는
야심
적인 계획이 있는것 같다. 이를 뒷받침 하듯 장정3호의 몇배나 되는 능력의 대형 로킷개발구상도 밝혀지고 있다. 중국인들은 옛날에 어느 민족보다 먼저 화약을 사용한 무기인 화전을 만들어냈으며 또 '서유기' ... ...
PART3 소련의 포보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15시간 정도의 수명을 검토하고 있다.1996년과 1998년에는 지표물질시료를 가지고 귀환할
야심
적인 계획이, 그리고 2002년에는 보다 고성능의 화성탐검차에 의한 1천km 이상에 걸친 넓은 영역의 장기간에 걸친 관측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계획의 결과를 토대로 그즈음에는 인류의 화성탐사가 가능하게 ... ...
세계 최초로 꽃의 색깔을 변하게 해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실험에 사용된 방법은 새로운 것은 아니다. 그러나 반응계의 유전자 모두를 도입한다는
야심
을 버리고 하나의 효소를 보충한다는 발상전환이 성공한 원인이었다 ... ...
PART1 화성은 어떤별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발견 하였다.결국은 인공적인 운하는 없었음이 판명되었다.다음에는 보다 더
야심
적인 바이킹(Viking)계획이 수립되어 1975년8월20일에 1호가, 이어서 9월9일에 2호가 발사되었다.1호는 1976년7월20일, 2호는 9월3일에 서로 7천3백60km 떨어진곳에 연착륙하는데 성공하였고, 역사상 최초의 화성풍경을 눈앞에 ... ...
PART 3 오존층이 파괴되고 있다 구멍뚫린 생명의 보호막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항공기 그리고 지상관측 장비들이다. 지금까지 수행된 남극의 오존에 관한 가장
야심
적인 연구는 지난해 8월부터 9월에 걸쳐 4개국의 1백50명의 과학자가 모여 실시한 '항공남극오존실험'. NASA의 주도아래 미국해양대기국, 미국립과학재단, 미국화학제조협회가 1천6백만달러를 투입한 이 연구는 ... ...
쌍용그룹이 인수한 스포츠카메이커 팬더카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큰 ABS(Aiti-lock Braking System)가 들어 있다는게 회사측의 자랑이다. 아뭏든 팬더카회사는
야심
작으로 내놓은 솔로가 또다시 스포츠카업계의 화제를 모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래서 팬더카가 자동차공업의 최전선으로 두각을 나타내도록 하겠다는 전략을 갖고 있는 것이다. 한국인이 ... ...
PART3 위성체 2천년대 초에는 통신위성을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식을 '오프셋'(off-set) 방식이라고 부른다. 또 한 가지는 좀 더
야심
적으로 아시아의 우주 후진국들이 결속하여 ESA(유럽우주기구)와 같은 국제공동체를 조직하여 자본 기술인력 시장 등을 합하여 선진국과 유리하고 강한 자세로 협력을 추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 ...
정부와 학계의 견해,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드러낸 것은 최근 과기처가 유사이래 처음으로 기초과학종합연구소를 세우겠다는
야심
적 계획을 발표하고서 부터이다. 과기처의 계획은 당초 수학 물리 생물 화학등 순수과학분야와 함께 공학연구센터를 추가하자는 것이었다. 다시말해 눈에 띄는, 가시적 생산품을 하나쯤 내놓아야 ... ...
미생물학은 생명과학의 총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생명과학에 대한 남다른 관심과 남들이 시작하지 않은 새로운 분야를 개척한다는
야심
과 선견지명이 있었던지 이 분야에 과감히 도전해 나갈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 결과 필자는 순수 미생물학의 선두주자로서 30여년간을 외길로 공부해 오고 있으며 언제나 후회없이 새로운 생명 현상을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