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쪽"(으)로 총 1,35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에이즈 예방 VS 실패한 연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이 소식을 들은 과학계는 허젠쿠이 교수의 연구에 문제점이 많다고 지적합니다. 양쪽 변론 시작하시지요. ● 사건 요약 - 유전자 편집 아기, 어떻게 태어났나? 이번 연구에 참여한 8쌍의 부부는 모두 남성이 에이즈(HIV)* 바이러스에 감염된 상태였어요. 이 부부들은 아이를 갖고 출산하는 ... ...
- 내 목소리도 프레디 머큐리처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갑자기 소리를 세게 내면 성대에 무리가 갈 수 있다”며 “심한 경우에는 성대 한쪽이나 양쪽에 좁쌀 모양의 굳은살이 생기는 성대결절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보컬팁3. 목 펴고, 입은 크게 벌려라 “거북목 안 됩니다. 입은 크게 벌리세요.” 김 교수는 감미로운 노래를 부르기 위해서는 목을 ... ...
- [출동! 기자단] Nintendo Labo(닌텐도 라보), 골판지로 마법을 부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조이콘을 진동시켰어요. 리모컨카는 좌우 양쪽에 끼운 조이콘의 진동으로 움직이거든요. 양쪽이 모두 진동하면 전진하고, 왼쪽만 진동하면 오른쪽으로, 오른쪽이 진동하면 왼쪽으로 이동하지요. 또 120Hz부터 220Hz까지 진동수를 바꿔 속도도 조절할 수 있어요. “리모컨카는 진동으로 움직이기 ... ...
- '약밍아웃' 통해 본 스테로이드 부작용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찾아왔다. 너무 무거운 중량을 들다 보니 인대가 손상되고 근육이 파열된 탓이었다. 양쪽 가슴에는 여성의 유방처럼 몽우리가 생겨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다. 탈모가 생겼고 발기부전도 꽤 오랫동안 그를 괴롭혔다. 그는 “2006년 은퇴를 하고 11년 동안 대회에 나가지 못했다”며 “종합검진 결과 ...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화면 하단에 위치한 홈버튼을 누르거나, 뒷면이나 측면의 특정 부위에 손을 대거나. 양쪽 방식 모두 지문을 인식해 잠금을 해제한다. 그런데 지난해 새로운 잠금 해제 방식이 등장했다. 중국의 스마트폰 제조사 비보(VIVO)가 2017년 6월 상하이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서 최초로 초음파식 지문인식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점, 산맥이나 빙하퇴적층과 같은 지질 구조가 연속적이고 동일한 종류의 화석이 양쪽에서 발견된다는 점 등을 근거로 과거에는 대륙들이 하나로 붙어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이 혁신적인 주장은 일부 호응을 얻었지만, 영향력 있는 대다수 학자의 격렬한 반대와 조롱에 부딪혔습니다. ... ...
- [수학뉴스] 당신이 같은 선택을 반복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과거의 수많은 선택으로 편견이 만들어지면 양쪽 뇌 사이의 균형이 흐트러져 한 가지 선택을 반복하게 되는 겁니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과거의 경험을 분석해 앞으로의 선택을 예상하는 수학 방정식을 개발했습니다. 이 수식으로 결정 과정에 대한 ... ...
- Part 2. 수학교육 찬반 토론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토론 후 최종 결과는 찬성 8, 반대 10으로 반대가 조금 우세했습니다. 의견이 갈렸지만, 양쪽 다 학생들이 수학을 더 잘하고 좋아하게 되는 방법을 고민하다 관점의 차이가 생겼다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아직은 수학 교육이 단순해지는 것이 학생들도 걱정되는 측면이 있는 모양입니다. ● 안건 2 ... ...
- 새로운 도형이 나타났다!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보였습니다. 뫼비우스 띠는 안과 밖의 구별이 없는 도형입니다. 종이 띠를 비틀어 양쪽 끝을 붙이면 쉽게 만들 수 있어요.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도 마찬가지로 안과 밖의 구별이 없습니다.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의 활용 분야 조규진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독특한 구조로 ... ...
- [과학뉴스] 스스로 움직이는 식물 ‘엘로완’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보낸다. 연구팀은 이를 이용해 식물이 담긴 화분에 은으로 된 전극과 바퀴를 설치했다. 양쪽에 조명을 두고 한 쪽에 빛을 비추면, 빛을 감지한 식물의 전기신호가 줄기와 잎에 있는 전극을 따라 증폭되면서 식물 아래의 바퀴로 전송된다. 그러면 바퀴가 빛이 있는 쪽, 즉 생존에 더 적합한 장소로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