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럿"(으)로 총 622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생체시계와 치매 그 관계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09호
- cycle)’ ‘크립토크롬(cryptochrome)’ 등 생체 리듬을 유지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가 여럿 발견됐다. 임 교수는 KAIST 박사후연구원이던 2006년, 동료 과학자들과 함께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후보 유전자 ‘cg4857’을 처음 발굴했다. cg4857에 변형을 가하자 피어리어드 유전자의 RNA에서 번역이 제대로 ...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모습이 공개된 것은 사고 이후 6년 만이다. 과거에도 원격으로 조종할 수 있는 로봇이 여럿 개발됐지만 방사능 수치가 너무 높아 고장을 일으켰다. 고로 야나세 도시바 원자력시스템 및 서비스사업부 총 책임자는 “오염수가 범람할 수도 있는 특수 지역에 로봇을 보내는 일이 가장 큰 과제”라며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다울링-윌슨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수학자입니다. 하지만 조합론 분야의 오래된 미해결 문제를 대수기하학 도구를 사용해 여럿 해결하는 등 수학의 여러 분야를 연결하는 좋은 연구를 하고 있어 많은 수학자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허 박사는 대학에서 수학이 아닌 물리천문학을 공부했습니다. 이후 석사과정부터 수학을 ... ...
- [Origin] 유전자, 게임을 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말벌이나 맵시벌의 몇몇 종에서, 어미는 다른 곤충의 유충을 숙주로 삼아서 그 안에 알을 여럿 낳고 가버린다. 숙주 안에서 자라난 자식들은 친남매끼리 교미한 다음에 숙주를 빠져나온다. 즉, 배우자를 얻으려는 경쟁은 숙주 안의 친동기들 사이에서만 일어난다.어미 말벌이 자식의 성비를 어떻게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비결은 저자들의 실력 덕이기도 하지만, 그보다 먼저 우연이라는 하나의 키워드에 대해 여럿이 다양한 이야기를 하게 한 기획 덕분이다. 그러니까 우연히 이 책을 마주쳤다면, 당신은 정말 운이 좋은 사람이다.“자연, 문화, 역사로 보는 비의 연대기”‘비’만큼 주관적인 단어가 또 있을까. 올해 ... ...
- [과학뉴스] 30만 년 전에 태어난 현생인류!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발견한 것이다. 에티오피아에서는 약 20만 년 전 쯤에 살았던 현생인류 화석이 여럿 발굴됐다. 그래서 학계에서는 현생인류가 아프리카 동부에서 탄생해 전 세계로 퍼졌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번에 찾은 화석은 약 30만 년 전에 살았던 현생인류의 것이며, 아프리카 북부에서 발견됐다. 현생인류의 ... ...
- [Issue] 전세계 과학자들이 거리로 나선 이유 “과학, 이제 침묵하지 않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특히 과학 버스킹에서는 주류 과학자 외에 여성, 외국인 등 소수자에 속하는 과학자들이 여럿 연사로 나서서 진솔한 이야기를 들려줬다. 장애인 물리학자로서의 삶을 담담히 들려준 정현희 숭실대 초빙교수는 “오늘만 해도 지금 이 행사장(뜨락)에 오기 위해 휠체어 접근이 가능한 길을 찾아 몇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유래하는 빵을 먹었다. 그러다가 1950년대부터는 개인 제과점이 성장한 제빵회사가 여럿 탄생했다. 이 가운데 지금도 국내 제빵업계를 대표하는 한 기업은 최근 ‘한국의 토종 천연 제빵효모’를 찾는 데 성공했다. 한국적인 맛을 내는 빵이 탄생하는 데 한걸음 다가간 셈이다.한국의 토종 제빵효모 ... ...
- Part 2. 수학, 음악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곡을 만들기도 했다. 실시간 작곡에 듀엣까지수학으로 즉석 작곡도 가능하다. 여럿이 모여 동료의 연주를 듣고 즉흥적으로 멜로디를 만들어가며 하는 연주를 ‘잼’이라고 한다. 이런 잼 연주를 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나왔다.2017년 2월 구글의 개발자이자 뮤지션인 요탐 맨은 사람과 잼을 하는 ...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잦았던 한반도에도 이와 비슷한 음식이 있었다. 밀가루 반죽을 효모로 발효시킨 한과도 여럿 있었다. 그렇다면 한반도에서 빵의 기원은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이전일지도 모르겠다. 한국의 빵 역사를 좀 더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이광석한국 최초의 제과제빵 교수. 성균관대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