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집
고집
깡
깡다구
입구
길목
d라이브러리
"
오기
"(으)로 총 50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립수목원과 함께한 여름 숲캠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시간도 가졌답니다. 실버팀의 서동미 대원(학부모)은 “일부러 시간을 내지 않으면
오기
힘든 곳인데 이렇게 만끽할 수 있어서 정말 기쁘다”고 말했어요. 모든 탐사를 마친 대원들은 이유미 국립수목원장님이 직접 인증한 수료증도 받을 수 있었어요. 생물다양성과 생태 탐사의 소중함을 깨달은 ... ...
평생 달력 하나로 살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데이터를 참고해 음력을 매번 계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계산 결과 큰 달이 연속으로 나
오기
도 하고, 윤달이 들어가는 때도 불규칙하다. 이런 이유로 아직까지는 음력을 고정하기 어렵다.한 번쯤 써보고픈 새 달력전 세계의 달력을 한꺼번에 바꾸기는 쉽지 않다. 모두의 동의를 받기도 어렵고, ... ...
슈퍼엘니뇨, 남극의 해빙을 없애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남극의 해빙 면적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대륙에 있는 빙하가 줄면서 바다로 떠내려
오기
때문이다.작년에는 역대 최고 기록도 갈아치웠다. 그런데 올해는 이 해빙 면적이 이례적으로 줄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10월 6일 남극의 해빙 면적이 1883만km2로 올해 중 가장 넓었지만 작년 최대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모양의 경로를 세 번 돌아 결승선에 들어오는 방식이다. 요트가 출발해서 결승선에
오기
까지 총 이동 거리는 약10km다.경기가 시작되고 모터를 끈 요트는 돛의 방향을 조절해 바람을 이용한다. 단, 바람과 돛이 이루는 각도가 45°이하인 구역에서는 요트가 앞으로 가기 힘들다. 이런 구역을 ‘노고존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학생들에게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지 알아볼 예정”이라고 말했다.사실 기자는 네팔에
오기
전까지 학생들을 현지로 보내는 방식의 봉사활동에 대해 회의적이었다. 그 비용으로 현지 주민들에게 필요한 물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지 주민들에게도, ... ...
찰칵~! 동물들의 순간포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오염된 환경 속에서라면 말이에요. 동물들은 오염지역을 벗어나 살아남기 위해 도시로
오기
도 해요.펠리컨 사진을 찍은 스위스의 안토인 바이스 작가는 도시화가 일어나며 갈 곳이 없어진 동물들의 마음을 사진 한 장으로 표현했어요. 때론 이렇게 짧은 순간을 담은 사진이 백 마디 말보다 더 강한 ... ...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따르릉하고 경고음이 들린다. 드디어 괴도키드가 나타난 것 같아. 그 녀석이 여기
오기
전에 어서 그림을 안전한 곳에 보관해야겠어. 내가 고흐의 ‘해바라기’를 괴도키드로부터 지키는 활약을 좀 더 지켜보고 싶다고? 그렇다면 극장판 애니메이션 ‘명탐정 코난 : 화염의 해바라기’에서 만나자~ ...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투수는 아니다. 직구가 시속 140km에 못 미친다.몇몇 기사에서는 공을 최대한 앞으로 끌고
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타자가 대응할 시간이 적었다고 분석했다. 공의 회전수가 많아 위력적이라는 이야기도 있었다. 하지만 트랙맨으로 분석해본 결과 원인은 다른 데 있었다. 공이 홈플레이트 앞에서 심한 ...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고장 나므로 ‘절대 열지 말라’는 의미에서 이름이 ‘판도라’가 됐다. 판도라가
오기
전에는 에어로넷(왼쪽 위 사진)이 유일한 원격측정장비였는데, 고체만 측정 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이제 에어로넷과 판도라가 짝을 이뤄 기체와 고체 모두를 측정한다. 하늘을 날며 대기질을 관측할 수 있는 ... ...
임미희 자연과학부 교수 - 알츠하이머 고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대한 우리나라의 고정 관념이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임 교수가 유니스트에
오기
전 연구했던 미국 미시간주는 알츠하이머에 대한 인식이 우리나라와는 사뭇 달랐다. 우리나라에서는 치매를 부끄러운 병이라고 생각해 환자를 숨기려는 경향이 있는데, 미시간에는 환자나 환자 가족을 위한 클럽도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