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동
촉발
조장
자극
격려
고무
유인
d라이브러리
"
유발
"(으)로 총 1,459건 검색되었습니다.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중 운동을 담당하는 부위에 급성 감염을 일으키고,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신체 손상을
유발
한다. 당시 바이러스로 인한 질병인 황열병 백신이 효과를 보이자 과학자들은 소아마비 백신 개발에도 착수했다. 1930년대 중반 미국 뉴욕대 연구원이었던 모리스 브로디는 최초로 소아마비 백신 개발에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면역반응 방식)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LCMV는 쥐와 사람을 숙주로 삼아 뇌수막염을
유발
한다. LCMV가 몸에 들어오면 T림프구가 이를 인식하고 파괴한다. 이들은 실험용 쥐에 LCMV를 감염시켜 생성된 T림프구를 채취한 뒤, 같은 혈통을 가진 다른 감염된 쥐의 세포와 섞어 관찰했다. 그 결과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것도 잠깐, 2000년대 들어 인류는 새로운 바이러스의 위협에 직면했다. 기껏해야 감기를
유발
하는 바이러스 정도로 얕봤던 코로나바이러스가 치명률 높은 바이러스로 변신해 찾아온 것이다.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SARS-CoV)가 창궐하며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로 전 세계에서 8000명 이상이 ... ...
2016년 지카 바이러스 ┃치사율 ‘제로’에도 공포를 일으킨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태아의 뇌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고, 선천성 기형인 소두증을
유발
한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임신 3개월 이내에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임신부는 소두증 신생아를 낳을 확률이 더 높다. 지카 바이러스를 박멸할 백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워싱턴대와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 공동연구팀은 태아의 소뇌증을
유발
하는 지카바이러스로 뇌종양을 퇴화시킨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실험의학 저널’에 발표했다. 또 2018년 미국에 본사를 둔 다국적 제약회사인 존슨앤드존스과 머크는 각각 10억 달러(당시 약 1조1053억 원)와 ...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수용체와 결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유발
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경우 외피 단백질 표면에 당단백질 3개가 스파이크 단백질과 비공유결합을 이루며 붙어있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숙주세포의 수용체이자 막관통단백질인 안지오텐신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감염된 숙주 박테리아에서 일어나는 형질 전환을 연구했다. 루리아의 연구는 이후 암을
유발
하는 바이러스 연구로 이어졌다.1952년 미국 워싱턴에 있는 카네기연구소에 근무하던 허시는 박테리아에서 박테리오파지가 복제될 때 단백질과 DNA의 역할에 의문을 품었다. 허시는 실험실 조수였던 마사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독일 국제 공동연구팀은 2020년 5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코로나19를
유발
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 2(SARS-CoV-2)의 스파이크 단백질 수용체에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 4개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단일클론항체는 부작용이 적은 암 치료법으로도 주목받는다. 암세포와 결합하는 ... ...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살을 역학적에너지의 관점에서, 화학자에게는 살의 화학반응을, 생물학자에게는 식탐을
유발
하는 유전자를 물어봤습니다. 호르몬으로 이 모든 걸 조종하는 뇌도 들여다봤습니다. 우리 몸의 지방을 제대로, 과학적으로 알아야 살과의 전쟁에서 이길 수 있지 않을까요? 1인당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들어오는 지방의 양이 많아 인슐린으로 감당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것으로 당뇨병을
유발
할 수 있다. 또 지방세포에서 분비돼 식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인 렙틴의 신호체계에 이상이 생길 경우 비정상적인 허기를 일으켜 비만을 일으킨다.이번에는 살이 늘어나는 현상을 집중적으로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