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동
촉발
조장
자극
격려
고무
유인
d라이브러리
"
유발
"(으)로 총 1,459건 검색되었습니다.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워싱턴대와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 공동연구팀은 태아의 소뇌증을
유발
하는 지카바이러스로 뇌종양을 퇴화시킨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실험의학 저널’에 발표했다. 또 2018년 미국에 본사를 둔 다국적 제약회사인 존슨앤드존스과 머크는 각각 10억 달러(당시 약 1조1053억 원)와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특정 단백질을 합성해 숙주세포의 증식을 비정상적으로 촉진한다. 이것이 자궁경부암을
유발
한다고 알려져 있다.영리한 바이러스는 자신이 탈출하는 과정에서 숙주세포가 죽는 것을 원치 않는다. 숙주세포가 죽으면 자신도 함께 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박테리아’으로 요약할 수 있다. 바이러스와 세균은 유전물질을 갖고 있고, 질병을
유발
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사실 많은 부분이 다르다. 우선 세균은 유전물질을 DNA로 저장하지만, 바이러스는 DNA뿐만 아니라 RNA로도 저장하고 있다. 또 RNA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돌연변이가 발생할 확률이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있다.2019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어린 시절 수두를 일으키거나 성인에게는 대상포진을
유발
할 수 있는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VZV·Varicella Zoster Virus)가 체내에서 휴면 상태로 있다가 우주로 나가 활성화될 가능성을 조사했다.그 결과 조사 기간 중 180일 이상 우주에서 체류한 우주인 6명의 체액에서 ...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수용체와 결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유발
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경우 외피 단백질 표면에 당단백질 3개가 스파이크 단백질과 비공유결합을 이루며 붙어있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숙주세포의 수용체이자 막관통단백질인 안지오텐신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면역관용 시스템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면 류머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을
유발
한다. 비활성 상태의 성숙한 B림프구는 수지상세포나 도움 T림프구의 작용으로 항원 정보를 받아 활성화돼야만 항체를 만들 수 있다. 항원 정보를 전달받은 B림프구 중 일부는 항체를 생산해 항원을 없애는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감염된 숙주 박테리아에서 일어나는 형질 전환을 연구했다. 루리아의 연구는 이후 암을
유발
하는 바이러스 연구로 이어졌다.1952년 미국 워싱턴에 있는 카네기연구소에 근무하던 허시는 박테리아에서 박테리오파지가 복제될 때 단백질과 DNA의 역할에 의문을 품었다. 허시는 실험실 조수였던 마사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백신(홍역바이러스, 멈프스바이러스, 풍진바이러스에 대한 혼합 백신) 접종이 자폐증을
유발
할 수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백신 음모론과 관련된 다큐멘터리 ‘백스드(Vaxxed)’를 제작하고,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백신 효능에 대한 연구 결과를 비판하는 등 지속적으로 백신의 ... ...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살을 역학적에너지의 관점에서, 화학자에게는 살의 화학반응을, 생물학자에게는 식탐을
유발
하는 유전자를 물어봤습니다. 호르몬으로 이 모든 걸 조종하는 뇌도 들여다봤습니다. 우리 몸의 지방을 제대로, 과학적으로 알아야 살과의 전쟁에서 이길 수 있지 않을까요? 1인당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들어오는 지방의 양이 많아 인슐린으로 감당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것으로 당뇨병을
유발
할 수 있다. 또 지방세포에서 분비돼 식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인 렙틴의 신호체계에 이상이 생길 경우 비정상적인 허기를 일으켜 비만을 일으킨다.이번에는 살이 늘어나는 현상을 집중적으로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