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외"(으)로 총 2,3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수학자] 나라를 구한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모든 자연수 n에 대해 k×2n-1이 합성수가 되게 하는 홀수 k를 말합니다. 합성수는 1과 자신 이외의 수를 약수로 갖는 수를 뜻하죠. 시에르핀스키는 가장 작은 시에르핀스키 수가 7만 8557일 것으로 추측했는데, 이는 아직도 증명되지 않았습니다. 시에르핀스키가 남긴 숙제를 풀기 위해 지금도 전 세계의 ... ...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EU)에서는 편향된 AI를 법적으로 판매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한국을 포함해 이외 지역에서도 정책적·법적 조치를 마련 중”이라며 “기업에서 공정한 AI를 개발하는 건 차별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넘어 자사의 AI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 반드시 선행해야 하는 과제”라고 말했다.AI의 편향성을 ... ...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체계를 갖출 수 있다”고 말했다. ● 대표적인 연구부정행위최근에 이슈가 된 표절 이외에도 위·변조, 부당한 저자 등재, 부당한 중복 게재 등 다양한 연구부정행위가 있다. 연구부정행위 의혹이 제기되면 담당 연구기관의 연구진실성위원회는 예비조사, 본조사, 이의신청, 재조사의 단계를 거쳐 ... ...
- [논문탐독] 뇌로 떠나는 신경세포의 섬세한 화학언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이후로 ‘축삭 유도’에 대한 비밀을 풀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에프린A 이외에도 네트린이나 세마포린 등 다양한 신호 유도 물질이 밝혀졌고, 이 물질들이 성장 원추 내 어떤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지 연구되고 있습니다.필자가 속한 연세대 의대 발생신경생물학 실험실에서도 ... ...
- 코로나19 3차 유행 백신을 확보하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항원을 만들기 전 면역시스템의 공격을 받아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임상시험 참가자의 규모가 작다는 점, 연령대가 제한적이라는 점 등에 대해서도 우려가 제기됐다.화이자 백신의 3상 임상시험 결과는 12월 10일 미국 의학학술지 ‘뉴잉글랜드의학저널(NEJM)’에 발표됐다. 총 ... ...
- 창원대, 제조혁신 주역 ‘스마트산단’의 스페셜리스트 꿈꾼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6개월 동안 총 180만 원이 지원돼 사실상 등록금 없이 대학을 다닐 수 있는 격”이라며 “이외에도 매달 50만 원의 생활비와 12만 5000원의 기숙사비가 지급돼 한 학기에만 학생 한 명 당 555만 원이 지원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지원과 스마트공장의 확산 덕분에 2021학년도 스마트제조융합전공의 수시 ... ...
- [방구석 과학×음악 콘서트]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만든 개미수열 14항의 수 64개를 이용한 곡입니다. 1로 시작하는 개미수열에는 1, 2, 3 이외의 수는 나타나지 않는데요, 안 작곡가는 1, 2, 3에 자신이 좋아하는 화음을 적용한 뒤, 그 위에 자유롭게 만든 선율을 얹어 아름다운 하프 연주곡을 완성했습니다.‘L.A.S.S.1-20’는 1을 시작으로 만든 개미수열을 2 ... ...
- 좋은 동물원이 되고 싶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복원해, 1987년 27마리였던 야생 개체 수가 2019년 337마리로 늘었어요. 이외에도 검은발족제비와 붉은늑대 등이 동물원 덕에 개체 수가 늘었고, 세계동물원수족관협회(WAZA)는 매년 약 3000억원 이상을 야생생물 보전 활동에 기부해요. 이형주 어웨어 대표는 “동물원이 전시보다는 보전 노력에 힘써야 ... ...
- [신 기후체제] 남은 0.4℃를 지켜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유럽연합(EU)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개발해 실제 석유 및 천연가스 산업에 적용되고 있다.이외에도 이산화탄소를 칼슘, 마그네슘 등 금속산화물과 반응시켜 탄산염광물 형태로 저장하는 기술도 있지만, 이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해 상용화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03예측하고 적응하고…피할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청주동물원에 찾아온 손님들, 붉은여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실체가 확인된 것은 2004년 3월 강원도 양구지역에서 여우 사체가 발견된 것입니다. 이외에 소수의 여우 개체군이 서식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으나, 정확한 서식 현황은 보고되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국립공원 생물종보전원 중부센터에서 2012년부터 소백산 붉은여우를 방사하는 등 여우 복원에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