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공위성"(으)로 총 1,406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하인드 로켓] 태풍을 이겨낸 나로호의 마지막 도전과학동아 l2020년 11호
- ◇ 보통난이도2012년 8월 29일 오전 7시 40분, 나로호 3차 발사에 쓰일 1단 로켓이 항공편으로 김해국제공항에 도착했다. 하역준비, 세관검사, 통관, 하역작업 등을 거쳐 곧바로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로 이송할 계획이었다.그런데 강력한 태풍 두 개가 연이어 남해안 일대를 강타했다. 제15호 태풍 ‘ ... ...
- 달에 전파망원경을 세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전파 신호를 다 관측할 수 있어요. 거기다 달 뒤편에서는 태양, 지구, 지구의 이온층, 인공위성에서 발생하는 전파 잡음이 막히기 때문에 우주 전파를 훨씬 깔끔하게 관측할 수 있지요. Q. 달 전파망원경의 아이디어는 어디서 얻으셨나요?제 이름 ‘셉타르시’는 ‘큰곰자리’의 산스크리트어 ...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통계에 따르면 현재 지구궤도에는 200만 개가 넘는 파편이 떠돌고 있다. 파편의 대부분은 인공위성 등의 기체가 노후화되면서 빠져나온 것들로, 그중 크기 1cm 이하인 파편이 약 128만 개다.이 파편들은 초속 7.5km 이상으로 매우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이보다 낮은 속도로 돌면 중력으로 인해 지구로 ... ...
- 언택트 시대, 세상을 연결하는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6개를 더 설치할 계획이다. 한편 MS도 자체 클라우드 서비스인 ‘애저(Azure)’를 이용해 인공위성 데이터를 곧바로 다운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 교수는 “의료 분야에서도 AI 클라우드 기술이 주목받는 추세”라며 “AI 클라우드를 이용해 만성질환 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플랫폼을 ... ...
- [에디터노트] 9월의 북극과 남극을 보라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대비할 수 있는 이유는 365일 24시간 잠들지 않고 우주에서 극지를 내려다보는 인공위성 덕분이다. 한국에서는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2호, 3호, 3A호, 5호 등 4기가 연구자들을 대신해 사진을 찍고 데이터를 보내며 극지를 지켜보고 있다. 혜민 스님은 멈추면 비로소 보인다고 했다. 과학은 거리는 ... ...
- [인포그래픽] 극지를 보는 눈 인공위성...광학위성│레이더위성과학동아 l2020년 09호
-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한다. 인공위성으로 조사한 해역에서 직접 식물플랑크톤의 엽록소 농도를 조사한 뒤 인공위성 관측 결과와 비교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로 극지 바다의 식물플랑크톤 농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해수 온도가 상승하고, 해빙이 녹으면서 얼어있던 철분이 빠져나와 ... ...
- [People] “나는 극지 과학자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특정 지역을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무인기와 넓은 지역을 광범위하게 관측할 수 있는 인공위성을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하면 극지를 효율적으로 연구할 수 있습니다. 대학원 시절 무인기로 지형을 측량하는 공부를 한 경험을 살려 극지의 독특한 지형을 연구해나갈 계획입니다 ...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있는 공조기가 고장이 나면서 화재경보기가 작동해 오염에 노출된 것이다. 하는 수 없이 인공위성과 나로호 2단에 대한 청정화 작업을 한 뒤 작동시험을 다시 거쳤다. 세상일은 어느 것 하나 쉽게 넘어가는 법이 없다는 걸 다시금 느꼈다. 가슴 철렁한 소화액 분출 사건 2차 발사는 그해 6월 ... ...
- [가상인터뷰] 민첩한 동작 스스로 배우는 인공지능 4족 보행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로보틱스’가 2017년 개발했단다. 내 이름은 1957년 11월 3일 소비에트 연방이 개발한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2호에 실려 세계 최초로 우주로 날아간 개인 ‘라이카’의 이름에서 따왔어. 유니트리 로보틱스 왕싱싱 대표는 “라이카는 탐험의 상징”이라며 내 이름의 유래를 설명했단다. 너 다른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