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웃
근접
근처
접촉
언저리
인근
인근처
d라이브러리
"
인접
"(으)로 총 392건 검색되었습니다.
모자이크로 붙인 카시오페아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해당하는 사진부터 차례로 붙여야 나중에 사진의 전체적인 구도가 잘 잡힌다. 특히
인접
이미지와 겹치는 부분을 맞출 때 주의해야 하는데, ‘회전하기’(Distort) 명령을 이용해 정교하게 붙여야 한다. 사진을 모두 합쳤으면 ‘레이어 하나로 합치기’(Flatten Image)명령으로 하나의 사진을 만든다.보통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공 모양의 행성에 앉아 피리를 부는 ‘별의 선율’이라는 소녀상이다. 천문대와
인접
한 사요군 내의 4개 지역은 ‘밤하늘경관형성지역’, 즉 한국식으로는 ‘별빛보호지구’로 지정돼 있다. 이 때문에 사요에서는 등갓을 씌운 가로등을 쉽게 볼 수 있다. 간판이나 기념물의 조명에까지 광해를 ... ...
지구 온난화는 허리케인 만드는 '촉진제'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방주에서 날아갔다가 감람나무 잎사귀를 물고 돌아온 비둘기 형상에 비유하며 동쪽에
인접
한 아르고자리(현재는 고물자리·돛자리·나침반자리·용골자리의 네 별자리로 분할)를 노아의 방주로 보는 사람도 있다북쪽 하늘의 허큘레스자리에 있는 태양향점(向點)과 정반대인 태양배점(背點)이 이 ... ...
장기예보와 기후예측, 그 비밀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북극에
인접
한 노르웨이 롱위에아르뷔엔의 해안가. 한 환경운동가 커플이 하얀 눈 위에서 일광욕을 즐기고 있다. 이들의행동이 도발적으로 보이는가. 하지만 100년 뒤의 기후를 내다본다면 현실이 될지도 모를 일이다. 미래의 날씨를 전망하는 일은 이제 첨단과학의 각축장이 됐다. 빠른 ... ...
3주년 맞은 NASA의 화성탐사로봇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방주에서 날아갔다가 감람나무 잎사귀를 물고 돌아온 비둘기 형상에 비유하며 동쪽에
인접
한 아르고자리(현재는 고물자리·돛자리·나침반자리·용골자리의 네 별자리로 분할)를 노아의 방주로 보는 사람도 있다북쪽 하늘의 허큘레스자리에 있는 태양향점(向點)과 정반대인 태양배점(背點)이 이 ... ...
소음은 떨어지는 폭탄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소리는 다른 말로 ‘음파’다. 공기가 어떤 압력을 받아 압축되면 다시 팽창한다. 그리고
인접
한 공기를 압축시키고 또 팽창한다. 이런 움직임은 공기를 매질로 음속(20℃, 초속 340m)으로 전파하고 사람은 귀로 소리를 느낀다.“그럼 문제를 해결해 드리죠. 이 그림을 잘 보세요.”이 교수는 모자를 ... ...
빛의 혼돈이 만든 초소형 레이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대학원생이나 연구원으로 연구단을 꾸렸다.뜻밖에도 다양한 곳에서 모인 연구원들은
인접
학문에 대한 서로의 이해를 높여주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놓았다. 그 결과 김 교수와 임승환, 이수영 박사가 함께 한 연구 성과는 세계적인 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 표지논문으로 실렸다.이밖에도 ... ...
잠든 무덤에서 깨어나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산성은 군사 요지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솔빈강 하구를 통해 배로 블라디보스토크에
인접
한 동해까지 갈 수 있기 때문이다. 동쪽으로는 콘스탄치노프카 발해산성이, 서쪽으로는 시넬리코보 발해산성이 마치 요새처럼 둘러싸고 있다.정석배 교수와 니키친 교수팀은 체르냐치노 산성 안의 여러 구역 ... ...
발해의 닻을 올려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신중하게 대답했다. 우선 지리적으로 후루겔므 섬은 발해의 주요 동해항인 포시에트와
인접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태풍 등 기상 조건이 나쁜 경우에는 선박의 피난처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또 라트니코프 씨는 여러 차례 수중 탐사에서 포시에트와 마주보고 있는 섬 북쪽 해안에서 토기 몇 점을 ... ...
녹둔도에 가고 싶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녹둔도를 버리고 지신허에 정착한다는 것이 무슨 이득이 있겠는가. 러시아인은 지신허에
인접
한 포시에트 항구에 머물렀기 때문에 지신허에서 조선사람을 먼저 발견한 것뿐이다. 일방적으로 뺏긴 것그렇다면 19세기말 녹둔도가 조선의 영토권에서 빠진 이유는 뭘까. 두만강이 국가의 경계라면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