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리"(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1차 프로젝트 엿보기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투표와 대표제의 수학을 주제로 하는 이번 워크숍에도 여러 분야의 전문가가 한자리에 모입니다. 또 다양한 사람이 논의할 수 있도록 민주주의에서 수학의 중요성을 주제로 대중이 참여하는 패널 토론 또는 공개 강연도 열 예정이에요. 언어 기반으로 수학사 탐구고대 및 중세 수학사 ... ...
- [노벨상 2023] 화학상 - 양자점이 ‘빛’나기까지 끊임없는 질문이 있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가 개발한 승온법과 함께 가장 대표적인 양자점 합성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 바웬디 교수의 연구를 통해 결정성이 우수하고 균일한 크기를 갖는 나노입자를 합성할 수 있게 되면서 양자점 합성의 새 시대가 열렸다. 코로나19 진단부터 QLED TV까지...양자점의 활약엔 한계가 ... ...
- [과학사 극장] 파스퇴르는 생명 윤리를 위반 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비롯한 해외까지 신속히 퍼져나갔다. 공개 실험은 파스퇴르 백신 연구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으며, 파스퇴르의 실험실에서 생산되는 탄저균 백신은 프랑스 농부의 필수품으로 빠르게 상업화됐다. 의혹3. 광견병 백신 개발 중 생명 윤리를 위반했다?파스퇴르의 연구 가운데 언론의 혜택을 크게 입은 ... ...
- [과학사] 1869년 6월 1일 에디슨의 첫 발명품, '전자 투표 기록기'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있나요? 우리나라 국회의사당에는 전자표결기가 설치되어 있어요. 의원들이 각자 앉은 자리에서 투표를 하면, 결과가 자동으로 표시되지요. 이처럼 전자기기를 활용해 투표하는 방식을 ‘전자 투표’라고 해요. 전자 투표에 활용되는 기계를 처음 고안해낸 사람은 바로 미국의 발명가 토머슨 ... ...
- 올림을 활용한 곱셈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거예요! 십의 자리 수 위에 표시할 때는 작게 ‘1’을 적으면 된답니다. 그런 다음, 십의 자리를 계산한 값 300에 아까 올림한 10을 더해 계산하면 끝이에요!” 자, 이제 본격적으로 수호 동물을 크게 만들 시간! 난 머릿속으로 나의 수호 거미인 ‘꼬미’가 거대해진 모습을 상상했어. “고비도스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개념 먼저 다지고 문제 속으로 서울과학고 오유찬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수학은 ‘북극성’이에요.”서울과학고등학교(서과고) 3학년인 오유찬 학생은 늘 같은 자리에서 길잡이 별이 되는 북극성처럼 자신의 인생 한켠에 늘 있는 수학은 자신에게 계속 영향을 줄 거라 말해요. 그도 그럴 것이 수학과 사랑에 빠졌던 4세, 수학 영재로 주목받았던 9세, 주변의 관심이 ... ...
- [Reth?nking] 제 10화. 수학적 대상이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불확실한 상황을 다루기 시작하면서 확률을 계산할 수 있는 사건도 수학적 대상으로 자리매김했어요. 비슷한 맥락에서 기하학 연구도 도형뿐 아니라 그 도형이 놓인 공간의 관계나 구조 등을 생각하는 행위로 확장됐지요. 정리해보면 수학의 발전은 수학이 다루는 대상이 끊임없이 확장되는 ... ...
- [인터뷰] "후배 과학자들이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 하지 말길"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상 연구를 할 수 없게 된다. 이미 최상위권에 오른 연구자들이 계속 연구할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 숫자놀음은 이제 정말 그만둬야 한다. 고만고만한 논문은 100편을 쓰더라도 세계는 알아주지 않는다. 나의 경우에도 2000년대 초 이후로 네이처, 사이언스 등 주요 학술지에 ... ...
- [최신 이슈] 있었는데, 없습니다 ... 희귀동위원소 산소-28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그리고 이 숫자는 주기율표에서 산소가 배열되는 위치를 결정합니다. 같을 동(同)에 자리 위(位), 즉 동위원소는 양성자 개수가 같아서 주기율표상에서 같은 위치에 놓이는 원소들입니다. 산소의 동위원소 중 안정적으로 자연에 존재하는 건 산소-16, 산소-17, 산소-18입니다. 이들을 안정 원소라고 ... ...
- [2039:화성 일 년 살기] 화성에서도 한국인은 김치를 담근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온실에서 실제로 ‘노동’을 할 로봇은 화성에서 구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로봇의 빈자리는 다른 것(그러니까 나란 인간)으로 대체했다.“나비보벳따우~”바이오 로봇(그러니까 나란 인간)은 콧노래를 흥얼거리며 유리 온실 안에서 무를 재배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깍두기를 만들어 대원들에게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