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아들"(으)로 총 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과학동아 l2006년 11호
- “수고했다, 코비야” - 존 매더, 조지 스무트1990년대였다. 영국의 저명한 물리학자인 스티븐 호킹 박사가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발견”이라며 치켜세운 연구가 있다. 세기는 바뀌었지만 호킹 박사의 ‘예언’대로 그 연구가 올해 노벨물리학상의 영예를 안았다.처음 9 분간미국 항공우주국(NASA) ... ...
- 보석박사 '아주마니 빈 나리'의 유언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10호
- 세계적으로 유명한 이탈리아의 보석박사 ‘아주마니 빈나리’ 가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나는 평생 동안 보석을 수집하며 살아왔다. 그렇게 모은 보석으로 세계에서 가장 특이한 보석박물관을 만들려고 했다. 하지만 중요한 네 개의 보석을 아직 찾아 내지 못해 박물관을 완성하지 못했 ... ...
- 통신대란 예측하는 법과학동아 l2006년 10호
- KT나 SK텔레콤 같은 통신회사 홈페이지에 가보면 ‘통화량 증가 예상 달력’이라는 메뉴를 찾을 수 있다. 한달 중 통화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날짜를 이용자에게 미리 알려줘 불필요한 통화를 막고 통화량 폭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다. 지난해 2월 통신대란 이후 생긴 메 ... ...
- 디지털... 노마드... 아이콘 다 빈치과학동아 l2006년 09호
- 소설 ‘다 빈치 코드’는 파리 루브르 박물관의 살인사건으로 시작되는 역사 스릴러다.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그림 ‘최후의 만찬’에 감춰진 비밀 코드가 단서의 첫 실마리를 던지고, 수수께끼의 실타래가 점점 미궁으로 빠져드는 동안 진리와 허구, 배반과 음모가 반전을 거듭한다.다 빈치 코드는 ... ...
- 2. 모든 TV는 디지털로 통한다과학동아 l2006년 08호
- 지난세기 일상생활에서 우리에게 영상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의 중심에는 브라운관, 즉 CRT(Cathode Ray Tube)가 있었다. 당시엔 세상의 모든 TV가 CRT일 정도로 CRT는 TV시대를 지배했고, 언제까지라도 영상시대를 이끌 것만 같았다.그러나 21세기로 넘어가며 그 지위는 흔들리기 시작했다. 100년이 넘는 ... ...
- 쥐불놀이와 전자운동과학동아 l2006년 08호
- 지 금 은 잊혀져가는 풍습이지만, 해마다 정월대보름 전날 밤이면 어린이들은 쥐불놀이에 푹 빠져 시간가는 줄 몰랐다. 빈 깡통에 바람구멍을 뚫은 뒤 깡통의 끝에 철사를 길게 매단다. 깡통 안에 장작개비 조각이나 솔방울을 넣고 불을 붙인 다음에 빙빙 돌리면, 깡통안의 불꽃이 원을 그리며 어두 ... ...
- 우리가 몰랐던 나무의 모든것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07호
- 4월 5일이 무슨 날인지 모르는 친구들은 없겠지요? 바로 나무 심는 날인‘식목일’입니다. 매년 학교나 동네 뒷산에서 묘목을 심었던 기억이 있을 거예요. 그렇다면 왜 이렇게 날짜까지 정해 나무를 심는 걸까요? 그냥 보기 좋으라고 심는 걸까요? 아니랍니다. 나무는 우리 인간뿐 아니라 지구의 모 ... ...
- 캐롤라인 허셜과 마리아 미첼과학동아 l2006년 07호
- 대부분의 과학분야가 마찬가지지만 20세기 이전까지 천문학은 특히나 여성의 접근이 어려웠다. 그럼에도 여성의 진출을 선도했던 두 명의 과학자가 있었다.각각 유럽과 미국에서 활동한 두 여성은 열악한 환경속에서도 천문학에 새로운 길을 개척했다.225 년 전, 천왕성을 발견한 윌리엄 허셜은 많 ... ...
- 서울 아파트 값, 왜 오르기만 할까과학동아 l2006년 07호
- 얼마 전 고등학생 철수네 친척들이 할머니 생신을 맞아 한자리에 모였다. 그간 밀린 얘기를 나눴는데 주요 화제는 집값이었다.작은 아버지 : 내년이면 중학교 가는 아들 녀석 때문에 아무래도 공부를 잘 가르치는 학교 근처로 옮겨야겠어. 이사 갈 집을 알아보고 있는데 집값이 너무 비싸더라고.큰 ... ...
- 볼풀과 원자모델과학동아 l2006년 06호
- 백화점, 대형 마트, 또는 식당의 한편을 차지하고 있는 어린이 놀이공간 볼풀(ball pool). 색색의 플라스틱 공이 풀 안에 가득 들어있고 어린이들은 신나서 점프를 하며 공을 던지고 논다. 멍하니 볼풀을 바라보고 있을 때 불현듯 말도 안 되는 생각이 든다.‘어? 점프했을 때 튀어나오는 공의 개수는 왜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