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업
직업
상업
거래
실업
장례
비즈니스
d라이브러리
"
장사
"(으)로 총 202건 검색되었습니다.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8만리나 떨어진 곳이라고 했다. 왜인들은 그곳에 진기한 보물이 많기 때문에 왕래하면서
장사
를 하고 있었다. 일본 본토를 떠난지 8년 만에 비로소 그 나라에 도착한다고 했다. 아마도 무척 떨어진 외딴 나라인 모양이다."'곤여만국전도'는 1602년 마테오 리치가 명(明)의 학자 이지조(李之藻)와 함께 ... ...
「통신개방」시험대에 오른 국내 DB산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국내 진출해있던 외국업체들이 지사나 현지법인 형태로 언제든지 들어와 국내에서 DB
장사
를 할 수 있도록 된 것 뿐이라는 것이다.그러면 해외DB업체들의 지사설립은 활발한가. 가트너그룹 로이터통신 등이 한때 지사 설립을 검토했을 뿐 구체적인 움직임은 아직 없다. 제네럴일렉트릭(GE)의 ... ...
2. 퍼스널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1~3%), 바이오스 로열티, MS-DOS라이선스 등에 대한 과다한 비용지출로 실속이 없는
장사
를 하고 있다. 특히 최근 국내업체들은 잦은 노사분규와 임금상승 등의 요인으로 인한 생산비 증가로 외국업체들의 OEM주문이 감소하고 있고, 자사브랜드로 시장을 개척하기에는 인력과 경험이 부족하여 심각한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모양도 모른다.도시의 유원지 부근에 나가면 물방개를 잡아다 큰 함지에 넣어 두고
장사
를 하는 사람을 얼마 전까지 볼 수 있었다. 가장자리에 경품을 건 뒤 물방개를 풀어 놓는 게임이었다. 그 물방개가 들어간 곳의 경품을 차지하는 물방개 놀이가 어른 아이 모두에게 흥미를 끌었던 것이다. 그러나 ... ...
수출부진과 내수폭발의 희비쌍곡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아시아 최고의 임금상승률을 보인 노동시장의 여파가 겹쳐 근로자들의 임금따먹기식
장사
로는 더이상 채산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는 것도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실제로 국내업계의 주력품목은 16비트 XT기종인데 미국시장만 보더라도 지난해를 기점으로 XT는 가정용 게임기로 전락하고 컴퓨터 ... ...
돌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바다로 이사갔다.지난 여름 서울대공원을 찾은 관람객들이 환성과 감탄사를 연발하며
장사
진을 이룬 곳이 있다. 수중서커스의 대가인 돌고래들이 멋진 묘기를 보여준 해양수족관이다.관람객들은 30℃가 넘는 무더위도 잊었는지 돌고래가족이 하얀 물보라를 일으키면서 하늘로 치솟을 때마다 '와! ... ...
하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나와 보라」고 큰 소리치는 「물에서 사는 말」 올여름과 같이 작열하는 날씨앞에서는
장사
가 따로 없다. 동물원의 동물들도 하나같이 더위에 지쳐 축 늘어진다.사람도 몸집이 큰 사람이 더위를 더 많이 타듯이 동물들도 코끼리나 하마(河馬)와 같이 덩치가 큰 녀석들일수록 더위를 더 못견디는 ... ...
도로를 보다 과학적으로 관리해야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지체시간이 우선 고려돼야 할 것이다. 또 차량행렬의 길이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특히
장사
진이 계속 이어지면 그 뒤 교차로까지 가로막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런 상황을 피할 수 있는 대책이 수립돼야 한다. 그리고 여러개의 교차로를 관통할 때의 정지회수 유류소비량 배기가스의 정도도 ... ...
지상에서 가장 가벼운 에어러겔 개발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그것은 1㎤당 5㎎의 무게가 나감을 뜻한다. 하지만 이 에어러겔은 분명히 고체고 힘이 '
장사
'기 때문에 자신의 무게의 수백배를 지탱할 수 있다.비록 그들이 60여년 전에 발견되긴 했지만 실용적인 용도로 사용된 것은 최근에 이르러서다. 실제로 지금까지 에어러겔은 연구실의 호기심거리 이상은 ... ...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을 만들다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충분하다. 이 시기에 많은 유럽인들이 중국에 왔다. 특히 13세기에서 14세기 초에
장사
하러 중국에 내왕한 유럽인의 수가 최고로 많았다. 더욱이 유럽에서 쓰던 로마자는 활자인쇄 하기가 너무도 편리했기 때문에 그 아이디어가 급속히 전파됐을 가능성이 크다.고려의 청동활자 인쇄술과 그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