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명
유망
우수
현저함
인기
영광
고명
d라이브러리
"
저명
"(으)로 총 465건 검색되었습니다.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머리에 다리 달린 초파리1939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태어난 게링 교수는 취리히대의
저명
한 동물학자 에른스트 하돈 교수의 제자로 연구자의 삶을 시작했다. 당시는 1953년 왓슨과 크릭의 DNA 이중나선 발견으로 유전자의 실체가 밝혀진 지 10여 년이 지난 때라 돌연변이체를 연구해 염색체에서 그 ... ...
“올림피아드 성적 반영 안 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현업에서 활약하고 있는 이공계 선배들을 초청해 워크샵을 한다. 교수, CEO를 비롯한 사회
저명
인사를 통해 전문가의 생생한 강의를 들을 수 있다. 또 리더십 150시간, 사회봉사 150시간을 배정해 인성교육에 중점을 둔다. 이미 올해 신입생을 대상으로 입학식 전에 리더십-특허 캠프를 진행했다 ... ...
오일러가 사랑한 수 e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다방면으로 뛰어난 학자였다. 그가 이렇게 여러 방면에서 뛰어날 수 있었던 이유는
저명
한 로마 작가들의 작품을 세심하게 읽고, 모든 시대와 국가의 사회사와 문화사를 열심히 연구했으며 언어와 문학의 많은 분야에서 폭넓게 공부했기 때문이다. 그가 이렇게 다양한 분야에서 훌륭한 업적을 이룬 ... ...
그림속으로 들어간 화가, 뒤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그러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예술가들이 자신만의 생각을 표현하기 시작한 때였지요.
저명
한 미술사가인 파노프스키는 뒤러의 판화 을 ‘뒤러의 정신적인 자화상’이라고 했어요. 그림에 자신의 생각을 담아 냈다는 뜻이지요. 여러분은 ‘나’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나요? 또 자신을 ... ...
코리아노사우루스와 함께하는 2010공룡 大탐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기사에 참여하면서 지어진 이름이라고 한다. 한국 공룡 코리아노사우루스는 최근 독일의
저명
한 지질고생물학술지에 신종 공룡으로 발표되었다. 코리아노사우루스의 뼈화석들코리아노사우루스는 어깨뼈가 길게 발달하고 윗팔뼈가 다른 비슷한 종류의 공룡보다 크다. 연구팀은 아랫다리뼈와 ... ...
대학 입학 수학 시험, 그림으로 풀다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이주하기로 했어. 프랑스에 삼촌이 살고 계셨거든. 삼촌인 숄렘 만델브로는 프랑스에서
저명
한 수학자로 활동하고 계셨지. 난 삼촌께 처음으로 수학을 배웠어. 그날 처음 느꼈던 수학의 매력이란…. 지금 생각해도 가슴 떨리는구먼. 허허.사실 나는 어린 시절 대부분을 전쟁 중에 보내 학교를 잘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저명
한 역사학자들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인류의 역사는 반복되고, 계속해서 이어진다. 문화가 움직이는 형태를 쌓인다는 의미의 퇴적 또는 남겨진 것이라는 뜻의 ‘유산’에 비유하는 것이나 ‘하늘 앞에 새로운 것은 없다’라는 말이 자연스럽게 쓰이는 이유다.과거를 어떻게 인식하느냐는 ... ...
중력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느끼며 살아가고 있으니까. 그런데 이 말은 7월 중순 미국 ‘뉴욕타임스’지의 기사에서
저명
한 물리학자인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의 에릭 벌린데 교수가 한 말이다.올해 초 벌린데 교수는 ‘중력의 기원과 뉴턴의 법칙에 관하여’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해 학계에 파문을 일으켰다. 이 논문에서 ... ...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들리는 제목을 가진 이 책에는 인체 해부에 대한 기괴하고 놀라운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저명
한 저널리스트인 저자는 이 책을 쓰기 위해 직접 여러 기관을 찾아다니며 연구용으로 기증된 시신들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밀착취재했다. 그는 미국에서 중국 하이난 성의 화장장, 스웨덴 뤼뢴까지 ... ...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수 있는 교육 콘텐츠를 빨리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오전에 사회를 맡은 미국의
저명
한 과학저술가 칼 지머도 “개인게놈이 맞춤형 개인의학에 본격적으로 활용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며 “의사나 환자가 개인게놈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200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