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작
집필
쓰기
작문
저서
작성
작품
d라이브러리
"
저술
"(으)로 총 315건 검색되었습니다.
핥고빨고 찌르는 곤충의 입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9호
곤충은 이빨을 가지고 있지 않아요. 대신 자신이 좋아하는먹이를 쉽게 먹도록 입의 구조가 다양하게 발달했지요. 금파리의 입은 먹이를 핥기에 알맞아요. 먹이를 발견하면 입 안에서 긴 돌기를 뽑아 먹이를 묻혀 입 안으로 집어 넣지요.나비는 꽃에서 꿀을 빨아야 하기 때문에 긴 대롱 같은 입을 가 ... ...
푸석바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암석을 이루는 알갱이를 광물이라고 불러요. 화강암 표면에서 희거나 불그스름한 알갱이를본적있나요? 이 알갱이가 바로 장석이라는 광물이에요. 장석은 특히 빗물에 잘 녹아요. 빗물은 약한 산성을 띠거든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빗물에 녹아 빗물이 탄산이라는 약한 산성 용액이 되는 거예요 ... ...
용을 꿈꾸는 잠자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잠자리(Dragonfly)의 커다란 눈은 여러 개의 작은 낱눈이 모여 이루어져 있어요. 이처럼 낱눈이 모여 이루어진 눈을 겹눈이라고 부르지요. 잠자리의 낱눈은 1만 개가 넘기 때문에 물체의 작은 움직임도 잘 볼 수 있어요. 그 대신 움직임이 없는 물체는 잘 구분하지 못한다고 해요. 잠자리의 날개는 좌우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에드워드 윌슨 출생개미 연구 전문가이지 퓰리처상을 두 번이나 받은 세계적인 과학
저술
가다. 윌슨은 개미가 페로몬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다는 사실을 알아 내는 등 꾸준한 개미 연구를 통해‘사회생물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발전시킨다. 현재 세계의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활동을 하고 ... ...
로스웰 사건의 실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N 코페르니쿠스의 태양계설을 지지했다 기하학에 관한 책으로는 《지식의 길》(1551)을
저술
했다 1936~ 미국의 전파천문학자 휴스턴 태생 1961년 캘리포니아 공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1963년에 벨전화회사의 전파천문 부분 연구원이 되었다A A 펜지아스와 함께 공중에서의 전파잡음을 측정하다가 ... ...
에이즈 치료하는 알약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생성하지 않는 점에서 글루쿠론산과는 다르다2세기경 로마 사람 갈레누스(Galenus)가
저술
한 의학서(醫學書) 고대 의학자 히포크라테스(Hippokrates)의 저서와 함께 의학계에 크게 공헌했다함수방정식의 근사해법의 하나 형식적으로는 비선형의 문제, 비보전계의 문제 등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 ...
태양을 3차원으로 관측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N 코페르니쿠스의 태양계설을 지지했다 기하학에 관한 책으로는 《지식의 길》(1551)을
저술
했다 1936~ 미국의 전파천문학자 휴스턴 태생 1961년 캘리포니아 공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1963년에 벨전화회사의 전파천문 부분 연구원이 되었다A A 펜지아스와 함께 공중에서의 전파잡음을 측정하다가 ... ...
맨눈 관측의 달인, 망원경 압도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망원경을 이용해 달의 표면을 상세히 관측했다. 1647년에는 ‘월면도’(Selenographia)란 책을
저술
했다.그럼에도 헤벨리우스는 별의 위치를 측정할 때 맨눈으로 관측했다. 당시의 부실한 망원경으로 관측하기보다 과거부터 내려온 육분의를 이용해 맨눈으로 관측하는 방법을 더 신뢰했던 것이다.당시 ... ...
공항 보안검색 책임지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생성하지 않는 점에서 글루쿠론산과는 다르다2세기경 로마 사람 갈레누스(Galenus)가
저술
한 의학서(醫學書) 고대 의학자 히포크라테스(Hippokrates)의 저서와 함께 의학계에 크게 공헌했다함수방정식의 근사해법의 하나 형식적으로는 비선형의 문제, 비보전계의 문제 등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 ...
성격까지 밝게 만드는 치아교정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개선시켜 준다.치아에 대한 관심은 인류 역사만큼 깊다. 기원전 25년 경 셀서스(Celsus)가
저술
한 책에는 삐뚤어진 덧니를 손가락 힘으로 움직였다는 기록이 있다.건강과 미용 두 마리 토끼 잡는다교정치료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치아 고유의 기능인 씹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