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증상"(으)로 총 1,387건 검색되었습니다.
- 2009년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주기적으로 유행하는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통해 전파되는, 인간에게는 잘 알려진 바이러스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증상은 수천 년 전 기록에서도 발견될 만큼 인류와 공존 기간도 길다. 현재 일부 계절성 인플루엔자는 백신이 개발돼 미리 맞기만 하면 70~90%의 예방 효과가 있다. 그러나 20세기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수많은 ...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했다. 하지만 돼지에서 채취한 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다시 돼지에게 주입하자 경미한 증상만 나타날 뿐, 인플루엔자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입증할 수 없었다. 쇼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국의 윌슨 스미스 등 3명의 과학자는 새로운 동물 실험을 결정했다. 이 동물은 바로 페럿(ferret)이었다.페럿에 ... ...
- 독수리 ‘하나’가 동물원에 온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조류들은 1년에 한 번씩 건강검진을 받는다. 스라소니 같은 고양잇과 포유류가 아픈 증상을 숨겨 치료의 시기를 놓치는가 하면, 새들은 질병이 포유류보다 빠르게 진행돼 눈치 채지 못한 사이 급격히 안 좋아지기 때문이다.실제로 2월 1일, 독수리를 진료하다 이 문제를 직접 느꼈다. 동물원에 온 지 ... ...
-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피 토하며 죽게 만드는 치명적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등 독감과 유사한 증상을 보인다. 심하면 피부발진과 내출혈 증상이 동반된다. 내출혈 증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에볼라 출혈열 유행병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렸다.에볼라바이러스는 숙주세포 표면 수용체에 바이러스의 당단백질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숙주세포 속으로 침투한다. 이때 감염된 세포는 ... ...
- 1981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20세기 흑사병’에서 만성질환으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느끼지 못하고 감염 사실을 모른 채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8~10년으로 매우 오랜 기간 증상이 없는 잠복기가 이어진다는 게 HIV의 가장 큰 특징이다. 그래서 HIV 감염 사실을 모른 채 남에게 전파할 수 있다는 점이 HIV 입장에서는 생존 전략이지만, 인간에게는 에이즈 박멸의 큰 걸림돌이다.HIV는 RNA ... ...
- 2016년 지카 바이러스 ┃치사율 ‘제로’에도 공포를 일으킨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후 지카 바이러스는 몇 차례 감염 사례가 나왔지만, 환자는 가벼운 열병 외에 별다른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감염자의 80% 이상은 아무 증세를 보이지 않고 2주 뒤 체내 바이러스가 자연스레 소멸된다. 나머지 감염자들 역시 가벼운 발열이나 발진 증세만 보일 뿐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 ...
- 코로나19 팩트체크┃ 백신, 치료제, 개발됐나?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대가 커지면서 한쪽에서는 대체 백신을 찾는 경우도 있다. 특히 일각에서는 코로나19의 증상이 페렴과 비슷해 폐렴백신이 효과가 있다는 말이 퍼졌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폐렴백신은 폐렴구균을 예방한다. 박테리아(세균)와 바이러스는 완전히 다른 존재다. 박테리아는 미생물로, 서식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중 180일 이상 우주에서 체류한 우주인 6명의 체액에서 재활성화된 VZV가 발견됐는데, 모두 증상은 경미한 것으로 나타났다.흥미로운 점은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우주인도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VZV가 활성화됐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VZV의 활성화 여부로 우주인의 면역력을 가늠할 수 있다는 결론을 ...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체내 증식을 통해서 병을 유발할 수 있지만, 병원성이 약해진 바이러스는 대부분 증상만 미약하게 나타난다.사백신은 바이러스가 증식할 수 없는 상태인 만큼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효과도 적다. 생백신처럼 한 차례 접종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한 예방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대신 사백신은 ...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쥐에게서 수막염을 일으키지만, 세포독성 T세포가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쥐에서는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우리는 세포독성 T세포를 연구했고, 이는 199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는 데 절대적인 공헌을 했다. 흥미로운 점은 세포독성 T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죽이는 본인의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