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창설자
설립자
개척자
시조
선구자
만든이
원조
d라이브러리
"
창시자
"(으)로 총 264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른발보다 왼발이 더 길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발을 담는 신발은 음문의 상징이었다는 사실을 증명해주는 자료들이 많다. 정신분석의
창시자
오스트리아의 지그문트 프로이트도 이와 같은 입장이었다. 사실 1천년간 중국인들이 그 환상에서 깨어나지 못했던 전족도 구체적 사례 가운데 하나다.전족 풍습이 시작되기 훨씬 전인 11세기 초부터 ... ...
줄의 열의일당량 측정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가정교사에게 배우다가 1834년 ‘맨체스터 문학 및 철학 학회’에서 활동하던 원자론의
창시자
돌턴에게서 산술과 기하학을 공부했다. 이 관계는 2년밖에 지속되지 않았지만 1834년 줄이 가업인 양조업을 이어받은 뒤에도 과학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게 만든 계기가 됐다. 양조장에서 사용하는 ... ...
4. 리듬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닮은꼴이라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20세기 최고 안무가로 불리는 뉴욕시립발레단의
창시자
조지 발란신은 러시아의 유명한 작곡가 스트라빈스키와 피아노 2중주를 했을 정도. 춤과 음악이 조화를 잘 이루면 서로 상승효과를 내기도 한다.“음이 잘게 나뉜 부분에서는 동작을 작게 하고, 선율이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과학자 마케도니아의 스타게이라(현재의 스타브로스) 출생 플라톤의 문하생, 논리학의
창시자
물질의 구성에 대하여는 데모크리토스의 원자설에 반대하여 물 · 흙 · 공기 · 불의 4가지 기본 요소를 가정하고 지구의 형태에 관해서는 대칭성에서 구형이라 추론하고, 지구의 중심을 우주 중심으로서 ... ...
쓰나미도 잠재운 산호초의 힘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산호들이 있다. 세계적으로 산호초를 만드는 산호는 약 500종이 알려져 있다.진화론의
창시자
찰스 다윈은 1842년 산호초를 거초, 보초, 환초로 분류했는데, 아직도 이 분류법이 쓰이고 있다. 거초( 礁)는 가장자리에 만들어진 암초라는 뜻으로, 섬이나 대륙 주변의 수심이 얕은 해안에 발달한 산호초로 ... ...
80시간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먼저 분극(P=αE, α는 분극률)이 유도된다 1881~1965 독일의 유기화학자 고분자화학의
창시자
신칸트파 철학자를 아버지로 보름스에서 태어났다 처음에 식물학을 지망했으나 뭔헨에서 유기화학자 A 바이어의 가르침을 받아 화학자의 길을 택했다 1905년 슈트라스부르크에서 틸레의 조수일 때 발견한 ... ...
레우벤후크의 현미경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것은 아니었다. 당대에 레우벤후크에 대한 가장 강력한 반대자였던 하트수커나 조직학의
창시자
였던 프랑스의 비샤는 아예 현미경의 유용성에 대해서 의문을 갖고 있었다. 현미경은 심심풀이 놀이기구일 뿐이라고 조롱하는 사람도 있었다. 고귀한 천체를 보는 망원경과는 달리 하찮은 사물을 ... ...
2. 빛보다 빠른 것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속도라는 것은 공간의 변화가 무한하든지 시간이 흐르지 않는다는 뜻이 된다.고전역학의
창시자
뉴턴도 이 문제를 고민했다. 그는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만유인력 개념을 도입하면서 만유인력이 작용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전혀 없다고 가정하고 무한의 속도 개념을 도입했다. 하지만 실제로 ... ...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현재 가축화된 닭의 조상으로 여겨진다.처음 이런 주장을 편 사람은 진화론의
창시자
찰스 다윈. 적색들닭이 기르는 닭과 교배가 가능할 뿐 아니라 그 사이에서 태어난 닭이 불임이 아님을 관찰한 그는 1896년 이같이 주장했다. 그로부터 거의 100년이 지난 1994년 일본의 연구자들은 미토콘드리아 DNA를 ... ...
경쟁자 나타나자 '종의 기원' 서둘러 발표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기원’을 서둘러 집필했다. 책이 발간돼야 그가 자연선택설이라는 새로운 진화론의
창시자
로서 권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결국 그는 방대한 양의 집필 계획을 포기하고 13개월 만에 노작을 탈고했다. 이로써 1859년은 ‘종의 기원’을 발표한 해로 영원히 역사에 남게 됐다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