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책임자"(으)로 총 65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스마트폰만 있으면 나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개기일식이 일어나면 얼마나 ‘쿨~’해질까?지구 대부분의 생명체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해 살아가요.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태양에너지를 영양소로 바꾸어 사용하고, 초식동물은 식물을, 육식동물은 초식동물을 먹이로 삼아 살아가지요. 그런데 개기일식이 일어나면 지표면과 대기가 받는 태양에 ... ...
- Part 5. 개기일식을 만들어라! 인공 개기일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놀랍게도 과학자들은 개기일식을 관측하는 것을 넘어 인공적으로 만드는 일에 도전하고 있다고 해!대체 인공 일식을 어떻게 만든다는 거야? 인공 개기일식, 왜 만들까?개기일식은 태양과 지구 사이에 달이 끼어들어 태양을 가리는 현상이에요. 과학자들은 개기일식 당시 달처럼, 태양빛을 가리는 ... ...
- Part 1. 축제 같았던 2017 개기일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휴우~, 개기일식 시간에 딱 맞춰 도착했네. 정말 다행이야. 그런데 태양이 달에 서서히 가려지는 모습이 장관인걸! 게다가 수많은 사람들의 함성까지! 와, 정말 신나는 축제 같아! 달이 태양을 가리다!“Oh, my god! Moon blots the Sun!(맙소사! 달이 태양을 가렸어요!)” 지난 8월 21일, 99년 만에 개기일식 ... ...
- Part 4. 개기일식, 영화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시민과학자들이 찍은 ‘이클립스 메가무비’개기일식은 지구 표면의 아주 좁은 지역을 통과하면서 일어나요. 바다나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지역인 경우도 많지요. 그런데 올해 개기일식은 미국 여러 도시들을 통과하며 이어져 일반인들도 쉽게 볼 수 있었어요. 이것이 많은 사람들이 축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응용물리연구소에서 일하면서 미국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위성항법시스템(NNSS)의 개발 책임자로 일했습니다. 커쉬너 박사는 본인이 찾은 3가지까지 합쳐서 총 8가지가 볼록오각형으로 테셀레이션할 수 있는 방법의 전부라고 주장하며 이를 정리로 만들었습니다. 그 증명은 다 쓰자면 책 한 권이 ... ...
- [Issue] 고래사냥꾼 추적하는 ‘오션 워리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인명을 위협하는 등 평화적인 활동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스팀러 홍보책임자는 “올해 8월 일본은 북태평양에서의 포경 계획을 40% 늘렸고, 남극해의 포경 구역도 2배 넓혔다”며 “오히려 일본 포경선이 인공위성으로 오션 워리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어 당분간 포경선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NIH에는 ‘한국식 테뉴어’라는 개념이 없다. 송민경 국립암연구소 암치료평가프로그램 책임자는 “한번 테뉴어를 받았다고 해서 계속 연구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원칙적으로 해고하지는 못하지만, 연구의 질적 수준이 너무 떨어지면 연구비나 연구 장비, 공간 등을 사실상 사용할 수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NASA의 ‘코비(COBE)’ 위성이 우주배경복사의 비등방성과 흑체 형태를 발견한 공로로 연구 책임자였던 존 매더 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 박사와 조지 스무트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가 2006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2001년 발사된 ‘더블유맵(WMAP)’ 위성은 우주배경복사의 온도차를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간섭계 측정 장치를 만드는 대규모 프로젝트였다. 1994년 첫 삽을 뜨면서 라이고 제2대 책임자가 선임됐다. 바로 올해 수상자 중 한 명인 배리 배리시 캘리포니아공대 교수다. 그의 능력은 탁월했다. 1998년까지 이어진 초기 건설을 지휘 감독했고, 2002년까지 초기 라이고 설치와 가동을 감독했다. 200 ... ...
- [수학공감] 수학 교육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수업으로 재탄생시켜야 진정한 전문성을 갖추게 됩니다.” 수학교육 현장지원단 연구책임자였던 이경화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는 수학 교육이 앞으로도 꾸준히 학생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생들이 관객처럼 수학을 지켜만 보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