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축"(으)로 총 981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웰컴 투 방탄 유니버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수학 세계의 기하학 구조 안에서는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가령, 시간을 축으로 움직이는 두 인물이 있다고 하자. 이때 A는 도넛 모양으로 휜 버블 시간 속에 있고 B는 직선의 시간 속에 있다. 처음 시작이 같은 0시라면 3시, 6시까지는 함께 움직이는 것으로 보이지만, 9시가 되면 휘어진 ... ...
- 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등 하드웨어의 원리도 배웠다. 특히 게임은 프로그래밍 중에서도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축에 속하는 만큼, 하드웨어가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알고 있어야 실시간으로 빠르게 연산하는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 어떻게 게임 개발자가 됐나다른 개발자들도 그렇겠지만, 게임을 좋아해서였다(웃음 ... ...
- 수학동아 단독 특별전시회, 수학으로 피운 꽃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다양성을 가장 정확하게 설명하는 방법이라 믿었던 톰프슨은 생물을 공간좌표에 그리고 축을 변형시키면서 생물의 성장이나 구조를 이해하려 했습니다. 식을 세워 변형률을 계산하고 서로 다른 생물을 비교하며 종의 특징을 파악했고, 나선 구조와 생물 구조 사이의 관계도 찾았죠. 무라야마는 ... ...
- [Origin] 양자역학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무슨 상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1, 2는 특정 자기장 방향을 축으로 측정했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1은 x축, 2는 y축, 이런 식으로 말이다. B1, B2는 마찬가지로 전자 B에 대한 것이다. A와 B에 +1과 –1을 어떻게 넣어도 왼쪽 항은 결코 2를 넘을 수 없다. (한 번 해보시라. 변수가 4개니까 모두 16가지 경우뿐이다) 하지만, 이 식 ...
- [DJ CHO의 롤링수톤] 흥 부자들이 모이는 통계적 진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펑크’를 부르고 제대로 명성을 얻습니다. 여기에 미국에서 가장 큰 스포츠 행사인 미식축구 대회 ‘슈퍼볼’에서 공연을 하고난 뒤 마스의 공연은 인기가 급등합니다. 마스의 공연이 인기가 많아지자 암표 거래 시장이 활개를 쳤고, 급기야 하와이주 상원 의원은 ‘브루노 마스 법’을 제정합니다. ... ...
-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꼬리뼈 화석에 남아 있던 단단한 힘줄의 흔적을 통해 공룡의 꼬리는 뻣뻣해서 아래로 축 늘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그 결과, 몸을 세운 채 꼬리를 바닥에 질질 끌고 다닌다고 상상하던 공룡의 모습은 꼬리를 들고 등을 수평으로 눕힌 채 걸어다니는 모습으로 수정됐지요.” 상상은 ... ...
- [이투스교육] 입시에서 가장 중요한 전략은 ‘수능’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그 개념을 적용해 문제를 풀어보는 방식의 공부는 앞으로의 모든 공부에서도 한 축을 담당하게 될 중요한 공부의 방법이다. 비교과 활동에 방점을 찍고 성실하게 학교생활을 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방향이지만, 수능을 준비하는 공부를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명심하자. 입시의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소금물도 마찬가지입니다. 소금물의 양이 다르면, 축의 위치도 한쪽으로 치우치지요. 축이 정확히 얼마나 치우치냐는 전체 소금물의 양을 기준으로 각 소금물 양의 비율에 의해 결정됩니다. 위 문제에서 소금물 100g과 300g의 비율은 각각 100/400 , 300/400 입니다. 이 값을 각 농도에 곱해 더하면 ... ...
- Part 1. 시험장에서 쫓겨난 기하의 항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공간에서 물체가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려면 물체의 움직임을 3차원 좌표축 위에 나타내야 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사는 3차원 공간에서 기하학이 이용되지 않는 곳은 없다고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미래에는 기하의 역할이 더 커질 것이고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 ...
- [과학동아 X DBR] BTS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경영 교과서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밀레니얼세대를 어떻게 공략할까를 깊이 고민하는데, 그에 못지않게 고민의 한 축을 이루는 것은 조직의 일원으로서의 밀레니얼세대를 어떻게 규정하고 그들과 어떻게 일해 갈 것인가이다. 그런 의미에서 밀레니얼 세대인 BTS 멤버들의 성장과 그들 팬의 상호관계는 의미 있는 시사점을 던져주고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