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으)로 총 1,384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0년 국회의원 선거 결과 만 18세에 달렸다?!수학동아 l2020년 04호
- 1오늘은 국회의원 선거일이야! 처음으로 투표하는 거라 무척 설레면서도 긴장돼. 참, 대한민국에서도 곧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진다며? 이번 ... 형, 누나에게 소중한 한 표의 중요성을 수학적으로 설명해주도록 해. 그럼 난 이만 투표하러 갈게! ※도움 박성철(고등과학원 수학부 연구원) ... ...
- 대한민국 과학계 민심을 듣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잘자란당 기호1 나미래] 실험하고, 진로찾고 즐거운 과학을 꿈꾼다Part3. [내 생애 첫 투표] 만 18세 ‘고교생 유권자’, 10대의 생각은?Part4. [그래도지구는돈당 기호2 김교수] 과학기술 전문가를 국회로!Part5. [석박통합당 기호3 이석사] 과학 생태계를 건강하게Part6. [가르친당 기호4 쌤킴] 백년대계 ... ...
- [VOTE FOR SCIENCE] 총121표 유권자들의 선택은?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투표는 3월 5일부터 16일까지 12일간 온라인으로 진행됐고 총 121표가 집계됐다. 투표 결과, 유권자들은 미래를 선택했다. 10대 청소년들의 고민을 분석해 공약에 반영한 기호 1번 나미래 후보가 1위를 차지했다. 과학덕후들을 대변한 곽부심 후보, 현직 과학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인 김교수 후보는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대표하는 프랑스 화가 조르주 쇠라입니다. ‘과학자가 연구하듯’은 비유적인 표현만은 아닙니다. 당시 유럽을 중심으로 과학자들은 빛의 본질을 본격적으로 연구했습니다. 전자기학을 정립한 제임스 맥스웰은 여러 색을 칠한 팽이를 빨리 돌리면 새로운 색이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헤르만 폰 ... ...
- [수학체험실]수학과 예술의 만남! 정다각형 테셀레이션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모여서 360°를 이룰 수 있는지 알아봐야 합니다. 테셀레이션 속 수학 원리1. 다음 표를 채우고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으로 정테셀레이션을 만들 수 있는 이유를 생각해봅시다. 2. 정오각형으로 테셀레이션을 만들 수 없는 이유를 생각해봅시다. 3. 두 가지 이상의 정다각형을 사용하며, 모든 ... ...
- [독일유학일기] 기차 노숙을 피하고 싶다면 꼭 알아야 할 것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몇 달간 강제 히피 생활을 하거나, 시베리아 횡단 열차를 탄 것 마냥 한 달 치 기차표를 끊어놓고 기차에서 자기도 한다. 집을 구한 이후에도 문제다. 집주인, 이웃집 사람들, 한집에 사는 룸메이트까지 신경 써야 하기 때문이다. 운이 나쁘면 내 돈 내고 스트레스를 받아 가며 살아야 하니 집 ... ...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두 번째로 많은 원소가 탄소다.이런 탄소와 성질이 비슷한 원소가 규소다. 규소는 주기율표에서 탄소 바로 아래, 즉 같은 족에 속해 있다. 탄소처럼 원자가 전자(최외곽 전자껍질에서 화학 반응에 참여하는 전자)가 4개라 다양한 화합물을 만들 수 있다. 다만 규소 생물은 탄소 생물처럼 몸이 ... ...
- [스쿨리포트A+] 이론 실습 연계 보고서 - 멘델의 유전법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유전 형질의 이동 과정을 설명했습니다. 완두콩의 색과 종자의 모양처럼 개체가 가진 표현형마다 우성과 열성의 유전자형이 있으며, 부모 세대의 완두콩 암꽃과 수꽃으로부터 하나씩 받은 형질 중 어느 한쪽 형질만 일정한 수학적 규칙에 따라 나타난다는 겁니다. 이 수행평가는 멘델의 유전법칙을 ... ...
- 세상을 구한 아이언맨 문명 이끈 진정한 영웅, 철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대한화학회와 한국화학연구원, 네이버TV가 주관하는 ‘주기율표와 원소, 150년의 이야기’ 동영상 시리즈 제작에도 참여했다. eslee@postech.ac.kr 용어정리* 배위결합공유결합 중 전자가 한쪽 원자에서만 제공되는 결합. 일반적으로 금속과 금속을 안정시키는 비금속이 이루는 ... ...
- [맛있는 수학] 철판 아이스크림수학동아 l2019년 11호
- 필요가 있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상관관계의 정도를 파악하는 ‘상관계수’이며, 대표적으로 ‘피어슨 상관계수’가 널리 쓰입니다. 변수가 3개 이상일 땐 거리 다변이 이처럼 피어슨 상관계수는 막연한 데이터 간의 구체적인 관계를 수치화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그러나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