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동범위"(으)로 총 8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좌우를 바꾸고, 크기를 키우고~ 거울과 렌즈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백설공주’에 나오는 마녀의 거울은 마법의 거울이에요. 하지만 그 정체는 물체의 크기를 그대로 나타내는 평범한 평면거울이랍니다. 만약 마녀의 거울이 볼록하거나 오목했다면, 거울에 비친 여왕님의 얼굴이 그리 예뻐 보이진 않았을 테니까요. 거울에 따라서 왜 다른 모습으로 보이는 걸까요? ... ...
- 순간포착 세렝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안녕? 난 아프리카 세렝게티 초원에 사는 얼룩말이야. 여기 세렝게티에 사는 동물들은 최근 몇 년 동안 셀카 찍는 재미에 푹 빠져 있어.세렝게티에서 어떻게 셀카를 찍냐고? 다 방법이 있지! 자, 나와 함께 초원으로 나가 보자~!2010년 부터 시작된 세렝게티 셀카 열풍미국 미네소타대 조지 쉘러 교수 ... ...
-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안성천 다리 밑이라….’ 다리 밑에서 만나자니. 무슨 밀수 현장도 아니고…. 이런 장소에서 취재원을 만나기로 한 건 처음이었다. 주소도 없었다. 내비게이션으로 검색해 보니 ‘안성천교’라는 이름을 가진 다리가 무려 네 개였다. 취재원으로부터 위성사진이 담긴 지도를 받았다. 다행히 내비 ...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나는 화성에서 오도 가도 못하는 신세가 됐다. 헤르메스나 지구와 교신할 방법도 없다. 모두들 내가 죽은 줄 알고 있다. 내가 있는 이 거주용 막사는 31일간의 탐사 활동을 위해 설계된 것이다. 산소 발생기가 고장 나면 질식사할 것이다. 물 환원기가 고장 나면 갈증으로 죽을 것이다.이 막사가 파 ... ...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알고 보면 게임을 만드는 건 어렵지 않아요. 누구나 조금만 배우면 게임을 만들 수 있답니다. 내가 만든 게임을 내 스마트폰에 넣어 친구들에게 자랑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먼저 게임카페 1기의 이야기부터 할게요. 7월부터 진행된 수학동아 게임카페 1기 활동이 지난 8월 15일 세 번째 수업을 ...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언어가 필요하다. 컴퓨터가 사용하는 기계어는 0과 1로 이뤄진 이진법 숫자다. 세포는 A, G, T, C 등 네 가지 염기로 DNA에 기록을 남긴다. 후성유전도 세포에 DNA 사용법을 알려주고 기록하기 위한 언어가 필요하다. 후성유전의 언어는 DNA 메틸화와 히스톤 변형이다.0DNA 메틸화 ... ...
- [지식] 슬쩍 슬쩍 글 도둑 표절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최근 신경숙 작가가 1996년에 발표한 소설 ‘전설’이 일본인 작가 미시마 유키오가 1961년에 발표한 소설 ‘우국’을 표절했다는 논란이 일었다. 신 작가는 몇몇 작품이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렸을 뿐만 아니라 문학상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해 충격이 크다. 누군가의 글을 슬쩍 복사, 붙여넣기하고 ... ...
- 새 학기 맞이 수학 체질을 바꿔드립니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아무리 노력해도 안 된다. 교과서, 문제집, 참고서, 기출문제까지 모두 정복했는데도 성적이 반짝 오르나 싶더니 방심한 사이 다시 제자리다. 수학에 대한 성취감은 여전히 찾기 힘들고, 수학을 잘 해야만 할 것 같은데 도무지 방법을 모르겠다. 이대로는 안 될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 뭔가 대책 마 ... ...
- 어린이 안전 지키으리~! 올백시큐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 그 이유는 저학년 어린이들에 비해 어른의 보호에서 벗어나 자발적인 활동이 가능하고 활동범위가 넓기 때문이다.또 수심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없거나, 물살이 빨라지는 곳이 많은 계곡에서 특히 사고가 많이 일어난다. 아무리 수영에 자신이 있는 친구라도 안전수칙을 지키고 주변을 살피며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얼굴은 중요하다. 새로운 사람을 만날 때 우리는 먼저 얼굴을 익힌다. 오랜만에 만난 사람은 안색을 살핀다. 요즘 사람에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뼈만 남아 있는 인류의 조상을 이야기할 때도, 우리는 얼굴이 어떻 게 생겼는지 궁금해한다. 인간의 얼굴은 언제 어떻게 진화해 왔을까. 먼저 인간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