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동사진"(으)로 총 1,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지난해 12월 1일, 57년간 천문학자들의 눈이 돼 주었던 아레시보천문대가 부서졌다. 그보다 앞선 1월엔 16년간 활동해온 스피처우주망원경과의 신호가 끊겼다. 이들은 각기 활동한 영역과 기간은 다르지만 일생을 우주만 바라보다 잠들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RIP(Rest in Peace)’보단 ‘RIS(Rest in ... ...
- [과동키즈] 만화가와 곤충학자 사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이공계 만화가: 곤충, 화석, 별, 만화’. 내 명함에 써넣은 글이다. 윤동주 시인의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나만의 방식으로 패러디했다. 곤충, 공룡, 우주 과학소설(SF), 수학 등 매우 다양한 소재로 여러 매체에서 만화를 그렸더니, 이 모든 것을 하나로 담아낼 문구가 필요했다. 그렇게 탄생 ... ...
- [2020 어과동 어워드] 데이터로 보는 2020 지사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올해 지구사랑탐사대는 어땠을까요? 이번에는 2020년 지사탐 8기 공식 활동 기간인 4월 1일부터 11월 8일까지의 탐사 활동을 분석해 봤습니다. 코로나19로 오프라인으로 만나지 못했던 대원들, 온라인으로 대신 소통했는데요. 올 한 해 대원들의 탐사 활동은 어땠을까요? 또 지사탐 대원들이 사랑한 생 ... ...
- [특집] 2020 어과동 어워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어과동 친구들, 어서오세요~. 2020 어과동 어워드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돌이켜보니 코로나19로 우리의 일상이 많이 바뀐 한해였네요. 하지만 어린이과학동아 독자 친구들의 열정은 더 불타올랐습니다. 참여율이 가장 늘어난 활동은 기자단으로, 지난해에 비해 무려 2.7배 증가했지요! 2020 ... ...
- AI만 있으면 나도 작곡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멋진 작곡을 하고 싶은데, 아직 어렵다고?그럼 인공지능 작곡가와 함께 해 봐. 음악의 기초 이론을 배운 인공지능이 너의 창작의 고통을 줄여줄 거야. 그런데 인공지능이 어떻게 작곡하냐고?10초면 한 곡이 뚝딱!지난 9월 18일, 전라남도 나주에서는 인공지능 작곡가 ‘이봄(EvoM)’이 만든 ‘AI와 함께 ... ...
- 우주에 뜬 인공 ‘눈’, 암흑선단 잡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불법조업이 지속가능한 어업을 어렵게 하지만, 바다가 워낙 넓다 보니 불법조업을 잡아내기가 영 쉽지 않대. 하지만 이것도 옛말이 될지도 몰라. 하늘에 뜬 인공위성은 육지와 바다를 가리지 않거든! 동해 오징어 불법조업, 인공위성에 딱 걸렸다7월 22일, 중국 어선이 북한의 동해에서 2년간 오징어 ... ...
- [과학뉴스] 태양에 가까이 더 가까이! 솔라 오비터가 보내온 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이 사진은 유럽우주국(ESA)이 지난 7월 16일 공개한 특별한 태양의 모습이에요. 뭐가 특별하냐고요? 지금까지 인류 역사상 태양을 가장 가까이서 찍은 사진이거든요. 지난 2월 ESA가 발사한 태양 탐사선 ‘솔라 오비터’가 태양과 약 7700만km 떨어진 곳에서 찍었지요. 이 사진엔 태양 표면 근처에서 셀 ... ...
- [현장취재] 박쥐 탐사대, 도시 박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끽끽끽~, 끽끽끽~’6월 27일, 서울 양재천 수변공원에 수상한 소리가 울려퍼졌어요. 알고보니 울산과학기술원 생명과학연구부 류흥진 연구원님이 박쥐 소리 파일을 재생시킨 소리였지요. 그 앞에는 귀를 쫑긋 세우고 집중하는 사람들이 있었어요. 이들은 도대체 무엇을 하고 있는 걸까요? 박쥐 ... ...
- [특집] 디지털 세상, 안전하게 누리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신뢰할 수 없는 웹사이트나 앱에서 게임 아이템을 준다는 이벤트에 댓글로 휴대전화 번호와 이름, 생년월일을 달아본 적 있니? 모르는 사람이 보낸 메시지의 링크를 누른 적은? 지금 말한 이 행동은 절대 해선 안 돼. 안전한 디지털 세상을 즐기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 줄게! 내 정보, 안 ... ...
- [스쿨리포트 A+ ] 과학시간 야외 관찰, 교내 암석 보물찾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❶ 교과 과정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지각에 분포하는 다양한 암석 중 화성암과 퇴적암, 변성암 등을 대표적으로 다룹니다. 특히 중학교 1학년 ‘지권의 변화’ 단원이나 고등학교 3학년 ‘지구 구성 물질과 자원’ 단원 등은 지각을 이루는 암석을 생성 과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는 학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