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과민
섬세
민감도
sensitive
센서티브
쎈서티브
쎈시티브
어린이과학동아
"
민감
"(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춘장대해수욕장.. 소리탐사 후 곤충소리에
민감
해졌답니다. 무슨소리일까요? 공부를 더 해야겠
탐사기록
l
20140714
춘장대해수욕장.. 소리탐사 후 곤충소리에
민감
해졌답니다. 무슨소리일까요? 공부를 더 해야겠어요..^^ ...
악어+거북=악어거북? 악어거북의 비밀 장수 악어거북은 생태계 파괴자
기사
l
20140406
먹지 않고도 살 수 있고, 화산폭발이 있었던 대재앙때에는 딱딱한 등껍질에 숨어 생존할 수 있었습니다. 또 외부 온도변화에도 크게
민감
하지 않아 빙하기에도 살아 남은 것입니다. 이런 능력 덕분에 공룡이 멸망한 후부터 최상위 포식자가 될 수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악어거북의 평균수명이 100~500년이나 되고 환경에 잘 적응하기 때문에 골칫거리 ...
구름의 양이 감소하고 있는것을 알고 있니? 온난화 가속화의 원인을 파헤치자
기사
l
20140308
있대요. 1. 건조한 대기가 대양 구름과 섞이면서 낮은 구름이 더 엷어져 지구 온난화 속도가 더욱 가속화 된다. 2. 구름의 양은 기후
민감
도 변동 요인의 절반 밖에 설명 못하고, 여전히 빙량과 대륙의 구름의 냉각 효과도 고려해야 한다.3.구름의 감소현상은 빙하 감소에 의해 구름이 변화하면서 한층 더 북극권의 온난화를 가속시킬 가능성이 크다. ...
미세먼지 이렇게라도 해야지!! 미세먼지 나한테서 없어져 줘~
기사
l
20140306
폐기능 저하는 심혈관계질환과 당뇨병의 발생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기오염이 기준치 이하로 유지되어도
민감
한 어린이에게는 더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누구나 청정 지역에서 살기를 바라지만 그럴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환경의학적으로 중요한 과제입니다. 미세먼지와 가임기 여성미세먼지의 노출 ...
잠 못 드는 밤, 어둠이 싫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626
최근 과학자들이 잠을 잘 자지 못하는 사람들은 어둠에 특별히 예민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답니다. 캐나다 라이슨대학교 심리학과 콜린 카니 교수팀은 대학생 93명을 대상으로 불면증과 빛에 대한
민감
성을 조사했어요. 실험 참가자들은 잡음이 흘러나오는 헤드폰을 쓰고 어두운 곳과 밝은 곳에 있었어요. ...
시원한 삼각팬티 발명가, 사쿠라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826
“처서가 지나면 모기 입도 삐뚤어진다.” 그런데 왜? 썰렁홈즈는 아직도 이렇게 더울까. 더위에 유난히
민감
한 썰렁홈즈는 혼자서 땀을 삐질 흘리면서 사건 의뢰가 들어오길 기다리고 있다. “도저히 못 참겠다! 최후의 방법이다!” * 본 기사는 어린이 과학동아 17호(2010년 9월 1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초강력 거미줄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514
‘삐삐-’하는 배경음 사이에 경고음을 불규칙하게 섞어 들려 주었지요. 돌고래들은 5일이 지난 뒤에도 여전히 처음처럼 경고음에
민감
하게 반응했답니다. 시각적인 자극이 섞여 있는 좀 더 복잡한 실험에서도 돌고래들은 여전히 정확하게 반응했어요. 연구팀은 돌고래들이 잠을 잘 때도 뇌의 한쪽은 깨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일이 가능하다고 설명했어요. 그래서 ...
초특급 '쌩' 야생버라이어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114
송곳니로 물어뜯는단다. 우리 하마는 수컷이 암컷에게 구애를 하는데, 이 때 똥을 누어 냄새를 풍겨. 시력이 나쁜 대신 후각에
민감
하기 때문이란다. 너도 야생에 왔으니, 야생의 방법으로 반쪽을 찾아보는 건 어때? [소제시작]야생, 동물원에서도 만날 수 있어! [소제끝] 야생에서 자유롭게 사는 동물을 만나니 우리도 벌써 야생 동물이 된 것 같아. ...
후끈후끈~, 동물들의 겨울나기 비법(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12
특별히 달라지는 건 없단다. 실내에 있는 동물의 경우에는 하루 종일 뜨거운 바람이 나오는 난방 기구를 틀어 주고 있어. 특히 온도에
민감
한 파충류 사육장은 온도를 항상 25℃로 유지시켜 준단다. 열대지방에서 살던 엘너브러육지거북의 사육장도 원래 살던 곳의 온도인 30℃ 내외로 맞추어 주고 있어. 그리고 온도만큼 중요한 건, 습도! 보일러를 계속 ...
백두대간 종단 열차를 타다!(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111
고지대는 저지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물이 적을 수밖에 없어서 물가에 사는 식물은 거의 자랄 수 없다. 더구나 식물은 온도에
민감
한데 산은 고도에 따라 기온이 크게 변한다. 보통 고도가 100m 높아질 때마다 기온은 0.5~0.6℃ 떨어지므로 높이가 1000m를 훌쩍 넘는 백두대간 꼭대기는 지상보다 6℃ 이상 낮다. 따라서 살 수 있는 식물의 종류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