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쇠"(으)로 총 197건 검색되었습니다.
- 혀고기도 있다?기사 l20170421
- 않았습니다만, 그래도 혀 고기는 우리가 좋아하는 고기들과 맛이 비슷비슷합니다. 고기들이 여러 가지이니까 당연히 혀 고기도 쇠 혀고기, 돼지 혀 고기 등등이 있답니다. 위 사진은 아직 구우지 않는 혀 고기 입니다. 생고기가 구워질수록 갈색으로 변하듯, 이 혀 고기도 갈색으로 변합니다. 이런 식으로 정말로 그냥 대충 익힌 고기 같지만 정말로 혀 ...
- 나만의 캐릭터를 만들어 보자!기사 l20170302
- 그냥 종이에 낙서 하다가 생긴 캐릭터 입니다. 쇠창살은 심심해서 종이에 낙서를 하다 보니 쇠창살의 윤곽이 잡혔습니다. 먼저 쇠창살이 생긴 뒤 그 모양을 따서 호빵이가 만들어 진 것입니다. 곰도리도 제가 꽂혀있던 좋아하는 곰돌이를 그리다가 탄생한 것입니다. 2.보수과정 제 캐릭터들은 다양한 움직임이 있습니다. 특히 곰도 ...
- 우리 함께 친환경 핫팩을 사용해 봐요!기사 l20170203
- 자, 그럼 지금부터 차근차근 원리들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1. 일반 핫팩은 핫팩 속의 쇠 가루를 산화시켜 데워 쓰기 때문에 쇠에 담긴 물질이 많이 분비됩니다. 그래서 건강에 안 좋죠. 2. 귤 핫팩은 귤 껍질의 성분을 이용한 핫팩으로, 껍질에 있는 섬유소로 열기를 보관하고 유지합니다. 3. 인형 핫팩은 안에 밀알을 채워 넣 ...
- 1편) 로봇의 세계로! GO GO~ 별별 로봇들기사 l20170202
- 세 번째 주제 : 로봇 경기 로봇 경기에는 여러 가지 종목이 있어요. 한번 볼까요? 롤링 볼 미로 찾기 : 주최 측에서 제공하는 쇠구슬을 로봇에 탑재한 채, 미로를 따라서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완주하는 로봇이 우승하는 종목이에요. 미션 맵 출처 : 네이버 라인 트레이서 : 휘낵 바닥에 그려진 검은 선을 따라가는 경기로, 주어진 ...
- 피의 색깔은 다 빨간 색일까?기사 l20161025
- 것 때문인데요, 이것은 산소와 닿으면 붉은 색으로 변합니다. 왜냐하면 헤모글로빈 속에 철분이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쇠붙이가 녹스는 것처럼 피도 산소와 닿으면 붉은 색으로 변합니다. 인도양의 어떤 물고기의 피가 하얘서 과학자들이 연구를 해 봤더니 그 물고기의 피 속에는 철분이 거의 없었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피의 색깔은 바꿀 수 있을까요? 우 ...
- 문화재지킴이 기자단 - 윤증고택기사 l20160826
- 보면 기와가 삐딱하게 되어있는데, 햋빛을 차단하기 위해서입니다. 윤증고택은 흙, 돌, 나무를 사용해서 지었습니다. 문을 달 때만 쇠붙이를 썻을 뿐 99% 천연 재료로 만들어진 집입니다. 대청마루에서 발견한 50년이 넘은 책들이에요. 사랑채로 들어가면 할아버지 방, 아버지 방, 아들 방이 이어져 있습니다. 위에 있는 사진은 할아버지 ...
- [3화] 뱀이다아~, 뱀이다아~! 뱀로봇 만들기 대작전!놀이터 l20160722
- 꼬치구이를 닮은 저항, 포크를 닮은 트랜지스터 등등 설명서를 따라 정확한 위치에 꽂으면 회로 완성! 냐학, 뱀 도안을 따라 쇠단추로 연결해 주고, 양면테이프로 전지를 고정하면 생각보다 빠른 속도로 기어다니는 뱀로봇을 만들 수 있어요! 영상에 등장하는 '뱀로봇'이 궁금하다면, 아래 배너를 꾹! 눌러 구경하세요! ...
- [우수기자상] 573년만에 다시 울린 자격루기사 l20160710
- 있습니다. 물받이 통에는 15분 간격으로 눈금이 새겨진 나무 막대가 있습니다. 물이 차 오르면 나무 막대가 점점 떠올라 위에 있는 쇠구슬을 밀어 굴러가게 합니다. 이 구슬이 지렛대로 떨어지면 나무로 된 사람 인형을 움직여 시, 경, 점에 따라 종, 북, 징을 치게 됩니다. (시, 경, 점은 그 당시 시간을 구분한 단위입니다.) 보관 환경으로, ...
- 우리 과학, 장영실을 만나다.기사 l20160708
- 달린 잣대가 작은 쇠구슬을 시보장치로 떨어뜨린다. 작은 쇠구슬은 숟가락 모양의 막대기를 통해 큰 쇠구슬을 움직이게 하고 그 큰 쇠구슬이 떨어지는 힘으로 시(약 2시간 간격)에는 종을, 경(약 90분 간격)에는 북을, 점(약 20분 간격)에는 징을 친다. 복원된 자격루를 보고 싶은 어린이과학동아 친 ...
- 573년 만에 다시 움직인 조선의 표준시계 자격루기사 l20160706
- 항아리)에서 흘러내린 물이 수수호(잣대가 들어 있는 긴 원통형 항아리)에 들어가 잣대가 떠오르면 부력이 지렛대와 구슬에 전해지고, 쇠 구슬이 떨어지면서 동판 한 쪽을 치면 동력이 전해져 나무인형 3구가 종, 북, 징을 쳐서 시보 장치를 움직인다고 해요. 나무인형 둘레에는 12지신을 배치하여 0시부터 24시까지 시각을 알리도록 하였다고 해요.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