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액
액상
유동체
물
액체공기
공기
유체
어린이과학동아
"
액체
"(으)로 총 508건 검색되었습니다.
2022년6월에 누리호 발사 성공을 위하여 고흥에 왔습니다.
기사
l
20220301
발사체입니다. 한국형발사체는 여러분들이 잘 아시는 그 누리호 입니다. 길이:47.5m 지름:3.3m 중량:200톤 형태:3단형(1단300톤,2단75,37톤급
액체
앤진) 그 다음엔 달탐사 로켓인데 예정인 로켓입니다. 이렇게 우리나라의 로켓들을보니 어떤가요? 그 다음에는 우주 공간을 볼까요? 먼저 우주에 식량을 어떻게 먹는지 한번 볼게요 ...
하마의 땀은 특별하다??
기사
l
20220225
이민진 기자입니다 오늘의 하마의 땀에 대해서 알아볼 건데요. 1. 땀이란? 사람이나 동물의 땀샘에서 분비되는 대부분이 물로 된
액체
입니다. 주로 체온 조절의 역할을 히죠. 많은 사람과 동물들은 대부분 투명한 땀을 흘립니다. ㅊㅊ:https://blog.naver.com/mihyangarang83/222555359646 (왠지 모르게 ...
[커피 바이러스] [1]
포스팅
l
20220223
"어..질병관리본부에서는 이 알러지 반응으로 심하면 즉시 사망한다고 하는ㄷ..." TV 화면 속의 앵커가 쓰러졌다. 그리고 갈색의
액체
를 토해내고 소리 질렀다. 모든 방송국에서 신종 바이러스에 대해 보도하고 있었다. 손님들은 모두 나가버렸다. 아르바이트생은 기사를 찾아보았다. ...
종이비행기의 원리와 수잔비행기 접기!
기사
l
20220220
작용하는데요. 베르누이 원리란 1783년 다니엘 베르누이가 발표한 원리입니다. 유체(공기나 물처럼 흐를 수 있는 기체나
액체
)가 빠르게 흐르면 압력이 감소하고, 느리게 흐르면 압력이 증가한다는 원리인데.... 조금 어렵군요... 아무튼 유체가 좁은 곳을 지나면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압력은 낮아지고, 반대로 넓은 곳을 통과 할 때는 속도가 느려 ...
열과 온도의 비밀
기사
l
20220217
요술 유리관에 대해 배워봅시다. 요술 유리관은 요술 유리구나 핸드보일러라고도 불리지요. 아래의 사진을 봅시다. 위 사진과 같이
액체
가 밑의 유리주머니에 있을 때 밑을 손으로 잡으면 엑체가 위로 올라간 것이 보이죠? 우리 손은 따뜻하기 때문이에요. 인터넷에서 요술 유리관이라고 검색하면 여러 가지 모양과 형테의 유리관을 관찰하거나 구매할 수 있 ...
오늘 아침에 저의 꿀잠을 누가 깨웠는지 마처보세여
포스팅
l
20220214
...
젤리를 만드는 원리, 알고 보면 간단하다?!
기사
l
20220213
젤리 만들 때 원리를 알려드리려 하는데요. 젤리는 고체일까요?
액체
일까요? 정답은 바로 '겔'상태입니다.여기서 겔 상태란, 고체와
액체
의 중간쯤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이 상태가 가능하냐고요? 네. 가능합니다. 젤리는 과육 중에 있는 펙틴과 산을 당과 함께 젤을 형성시켜 응고해 만드는데, 그게 바로 겔 상태가 가능한 이유랍니다. ...
멘토스: 콜라 폭발원리
기사
l
20220210
들어있는 이산화탄소와 공기가 이 구멍과 섞이면 '기포화'라는 현상이 생깁니다. (여기서 기포화란 무엇일까요?? 기포화란, 기체가
액체
나 고체 속에서 거품처럼 둥글게 변하는 현상입니다.(출처:네이버 사전)) 기포화는 콜라를 많이 흔들었을 때 생겨나는데, 여기서 멘토스를 넣는 것이 콜라를 수십번 흔드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해 줍니다. 콜라를 흔들면 ...
시네라리아 프롤로그~002화 몰아보기
포스팅
l
20220207
들어준 사람이 언니 밖에 없었네요."(리아)리아가 쓴 웃음을 지으며 허공을 응시했다. 동시에 그 아이의 볼을 타고 투명하고 따뜻한
액체
가 흘러내렸다."울지 마..."나는 나도 모르게 손을 내밀어 눈물을 닦아 주게 되었다."내가 생각하는 ...힘들 때 위로하는 말은요.'울지 마.'가 아니라 '실컷 울어. 울어도 돼.'예요. 나도 울어도 된다는 말 ...
바닷물이 짠이유와 바다가 파란이유
기사
l
20220202
때문인데요. 강이나 호수에서도 물결이 일긴 하지만 그 움직임은 크지 않습니다. 하지만 바닷물은 출렁거리면서 움직이기 때문에
액체
가 고체로 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죠. 바다는 '푸른 바다'라고 하죠. 우리 눈에 보이는 바다색은 파란색인데요. 하지만 컵에 바닷물을 떠보면 투명합니다. 그런데 왜 바다는 파란색으로 보이는 걸까요? 우리가 보는 색은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