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인공위성"(으)로 총 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천과학관에서는 인공위성영상특별전이진행되고있어요 미션지도 풀고 체험활도미수증도 받고 우주복탐사기록 l20141206
- 과천과학관에서는 인공위성영상특별전이진행되고있어요 미션지도 풀고 체험활도미수증도 받고 우주복사진도 찍고요~♡ ...
- sf영화제2014 sf 2014기사 l20140928
- 여기서 퀴즈! 최초로 우주 여행을 한사람은 누구일까요?답: 유리가가린1961년 4월 12일. 소련(현재 러시아)의 우주비행사 유리가가린은 인공위성 보스토크 호에 탑승해서 1시간 48분 동안 지구를 일주한뒤 돌아왔다.여기서 두번째 퀴즈!최초로 달을 밟은 사람은?답: 닐 암스트롱닐 암스트롱은 자신과 합쳐 3명이 최초로 달에 갔다고 한다. 하지만 그 ...
- 뉴턴, 아인슈타인과 함께 보낸 한달 국립과천과학관 스토리텔링대회에 참여하게 된 이야기(ing)기사 l20140903
- 듭니다. 좀 어렵다 생각 들었을때 포기하면 뿌듯한 기분은 맛볼 수 없는 게 확실합니다. 지난달엔가 항공우주연구원에서 로켓과 인공위성에 관한 취재를 했었는데, 뉴턴과 아인슈타인의 책을 읽다보니 이 두사람의 모든 공식과 법칙들이 여기에 다 쓰이고 있더라구요. 로켓, 롤러코스터, 위치정보. 화가들의 그림에도 영향을 주고요. 시계랑 말들이 흐물흐물 ...
- 우주항공 미래비젼 " 2040을 품고기사 l20140822
- 자리를 옮겨, 화약 로켓을 발사하러 운동장으로 향했다.내가 정말로 나로호를 발사하는 느낌으로 쏘아올렸다.위성관제실로 이동해 인공위성이 우주에서 각 나라의 중심 도시와 아름다운 경관을 찍은 영상을 보았다.우리가 보기 힘든 영상이었는데 정말 아름다웠다.나의 꿈인 우주 탐험가가 되어 대한민국이 만든 우주선을 타고 많은 행성을 발견하고 탐험할 수 있는 ...
- 우주에 대한 진실은??? [취재여행]항공우주 연구원기사 l20140815
- 발사된 곳으로나로 섬에 있다. 세로열쇠; 1.이 연료는 주로 로켓에서 사용하는 액체연료 이다. 2.지난 7월 30일 다녀온 곳 3.우리나라 첫 인공위성 --- 십자말풀이 정답: 3아 2항 1천리안 1케공 랑 3나로우주센터 1 신주 2나로호 연 구 원 ... ...
- 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을 만들다 항공우주연구원 견학기사 l20140804
- 안녕하십니까? 어린이 과학동아8기 명예기자 송예원입니다. 저는 이번에 항공우주연구원에 다녀온 것에 대하여 기사를 쓰겠습니다. '미래'라는 단어를 떠올려 보십시요. 무엇이 생각나십니까? 집안일을 도 ... 항공우주연구원 견학을 다녀온 후 2040년이라는 시간이 우리에게 많이 가까워졌고, 인공위성 제조법에 대해서도 잘 알게 되었습니다. 앞으 ...
- 7월 30일 항공우주연구원취재 이곳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시험동은 축구장 4개크기로 실제포스팅 l20140804
- 위성이 2개씩만들어지는데 그이유는 고장이나거나 문제가 발생했을때 바로교체하기위하여 두개를 동시에 만듭니다. 우리나라는 인공위성에 대한 연구활동과 기술보유등 아무런 제반이나 인프라가 없었다고합니다. 처음 아리랑1호를 PIW사에서 수입하여 뜯고,분해,조립연구를 반복하여 자가습득해서 이제는 세계3대위성강국(미국,이스라엘,대한민국)이 되었습니다. 저는 ...
- 미래의 로켓아, 우주로 가라! 순수 우리기술로 만든 2040년의 모습은?기사 l20140802
- 짧은 시간에 참 많이 발전하였고 성능이 좋은 위성을 만든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나날이 성능이 좋아지는 위성들 인공위성들은 다목적 실용위성으로 지구를 관측하면서 촬영해요. 그래서 지구의 변화, 사람들이 사는 모습, 건물들의 변화 모습 등을 감시하는 활동을 합니다. 위성마다 특징이 있는데 2012년에 발사한 아리랑3호에는 초고해상도 광학카 ...
- 대전 항공우주연구원 취재기사 l20140802
- 1호 전에 그 어떠한 우주산업에 대한 기술이 없었지만 미국으로부터 아리랑1호 구입 후 수많은 분해와 해체후 기술을 만들고 현제는 인공위성을 만드는 기술 만큼은 세계 3대국(미국,이스라엘,한국)이 될 정도로 성장했다고 하니 우리나라가 정말 대단하다. 이후 화약으로 미니로켓을 발사하는 체험을 한 후 위성활용협력동에서 안건형연구원님과 기자단의 질의응 ...
- 항공우주연구원에 다녀왔습니다.. 조금 늦게 기사를 쓰네요.. 1.홍보영상 시청 2.연구원포스팅 l20140802
- 합하면 10,000개정도있다. 아리랑2호는 2006년에 발사됬고, 예상수명은3년이었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원활하게 작동되고 있다고한다. 인공위성은 연료통이 있는데, 우주 쓰레기를 피해야 하기 때문이다. 발사환경시험실은 발사하는 환경을 시험하는곳이다. 궤도환경시험실은 위성의 궤도환경을 시험하는곳이다 위성조립실은 실제 위성을 조립하는 곳인데, 현재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