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사
연사
웅변가
연설자
확성기
스피커
스피카
뉴스
"
강연자
"(으)로 총 189건 검색되었습니다.
6월, 전 세계 과학저널리스트들이 몰려온다
2015.05.12
17명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위원회를 통해 1년여 이상의 논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기조
강연자
로는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야마나카 신야 일본 교토대 교수, 2014년 퓰리처상 수상자인 댄 페이긴 미국 뉴욕대 교수 등이 참여한다. 또 1992년 퓰리처상 집중보도 부문을 수상한 데보라 블럼 ... ...
“열등감 많던 아이, 책이 바꿨죠”
2015.04.15
고개를 끄덕였다. 마침 이들 앞에는 ‘시간연대기’라는 두꺼운 책이 놓여 있었다.
강연자
(김상욱 부산대 물리학과 교수)의 말처럼 비록 물리학자를 괴롭히는 난해한 질문이었지만 자리에 앉아있는 이들은 아랑곳하지 않는 표정이었다. 3월 28일 저녁 독서공동체인 서울백북스 회원들이 ... ...
“생물다양성 보존은 지구를 지키는 길”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25
저녁,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에서 ‘제1회 생명다양성 정기 강좌’가 열렸다. 첫 번째
강연자
로 나선 국립생태원 최재천 원장은 ‘생명다양성의 시대-진화와 생태학’이라는 주제로 생물다양성을 보존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1시간 30분 동안 열강을 펼쳤다. 최 원장은 조류독감뿐만 아니라 ... ...
일회성 아닌 지속가능한 진로·인성교육 힘써
동아일보
l
2015.01.22
보통 하루에 네 명이 무대에 서는데, 청중은 그날의 최고
강연자
를 투표로 뽑는다. 최고
강연자
들은 연말에 ‘왕 중 왕’전을 벌여 우승자를 가린다. 고미영 교장은 “여러 사람 앞에서 발표를 해 보면서 성취감과 자신감을 느끼도록 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장항중은 학생들의 자존감을 높여 주기 ... ...
첨단 융복합 기술의 첨병으로 불리는 3대 기계기술
2014.10.24
패턴을 만들면 면적을 넓힐 수 있어 감도가 좋아진다”고 말했다. 포럼에 기조
강연자
로 참석하는 바이오칩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 루크 리 미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는 “초미세 공정을 만드는 나노 기계기술과 생체 특성을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회로 기술 등 바이오칩에는 ... ...
금속성형 세계 최고 석학 타일란 알탄 교수
2014.10.22
4일 개최하는 ‘2014 미래기계기술포럼 코리아’에서 ‘차세대 제조기술’ 세션의 첫 기조
강연자
로 나선다. IT기술이 각광받고 있는 요즘 금속성형 기술은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앞으로는 어떤 모습으로 발전하게 될지 포럼에 앞서 알탄 교수와 e메일 인터뷰를 진행했다. - ... ...
나노바이오융합기술 세계 최고 석학 루크 리 UC버클리 교수
2014.10.20
‘2014 미래기계기술포럼 코리아’에서 루크 리 교수는 차세대 제조기술 세션에서 기조
강연자
로 나선다. 포럼에 앞서 루크 리 교수와 e메일 인터뷰를 통해 나노바이오 융합 기계기술의 현재와 미래 전망에 대해 들어 봤다. - 이번 포럼에서 어떤 내용을 발표하는가. 10년 이상 집중적으로 ... ...
지금부터 한달 동안 전국은 달 축제
2014.09.18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관측 행사가 열린다. ‘달 그리고 태양계 탐사’라는 주제의
강연자
로 나서는 최영준 천문연 연구원은 “청소년과 학부모 모두 신비로운 달과 태양계 역사를 탐험하는 시간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2014 대한민국 별 축제 참가 신청은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 ...
[사이언스 브리핑] 기초과학연구원(IBS) 외
2014.09.05
오용근 기하학수리물리연구단장, 이영희 나노구조물리연구단장 등 IBS 과학자 8명이
강연자
로 나선다. 강연은 11월 13일까지 총 8회에 걸쳐 서울도서관, 울산중부도서관 등 전국 8개 도서관에서 열린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초로 인텔이 지원하는 ‘초고성능 ... ...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숫자로 정리하는 수학자대회
2014.08.22
점에서
강연자
수는 한 나라의 수학 위상을 판단하는 척도로 여겨진다. 한국은 국가별
강연자
수 순위에서 일본과 함께 9위에 올랐다. 21227은 서울 ICM을 통해 수학 문화를 접한 일반인 수다. 이번 대회가 수학자의 행사를 넘어 국민과 함께하는 행사였다는 상징성을 드러낸다. 대회 기간 동안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