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
켜
두께
중복
중첩
계층
가닥
뉴스
"
겹
"(으)로 총 161건 검색되었습니다.
손발이 얼음장… 수족냉증, 반신욕-따뜻한 차 좋아요
동아일보
l
2014.01.20
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장갑을 끼고 외투 주머니에 손을 넣어도, 두툼한 양말을 두세
겹
신어도 속수무책이다. 손이 섬뜩할 정도로 차가우니 먼저 손을 내밀기도 힘들다. 마음마저 시리게 만드는 수족냉증. ○ 혈액순환 원활해야 손발이 건강 수족냉증은 주로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할 때 잘 생긴다. ... ...
집 속에 집을 짓다
과학동아
l
2013.12.31
서도호 '집 속의 집 속의 집 속의 집 속의 집' -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벽을 세우고 지붕을 얹는다. 창문과 문의 위치를 잡고, 계단으로 층간을 연결한다. CAD ... 풍긴다. 작가는 “살면서 경험한 문화적 충돌과 동서양의 공간에 대한 해석 차이를 여러
겹
의 투명한 천으로 표현했다”고 말한다 ... ...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 성질 ‘내 맘대로’
동아사이언스
l
2013.11.05
분자단위에서 섞는 것이지만, 도핑은 원자단위에서 섞는 기술이다. 최근 탄소의 한
겹
을 떼어낸 그래핀이나 탄소나노튜브 같은 신개념 탄소 물질들이 각광받고 있지만 재료를 사용하는 사람의 입맛에 맞춰서 성질을 바꾸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이런 물질에 이종원소 불순물을 ... ...
[채널A]‘꿈의 신소재’ 온실가스 잡는다…그래핀 필터 첫 개발
채널A
l
2013.10.06
흑연 가루입니다. 현미경으로 보면 6각형 벌집 모양의 탄소원자가
겹겹
이 쌓여있는데 한
겹
만 떼어낸 것이 ‘그래핀’입니다. 그래핀은 지금까지 발견된 소재 중 가장 얇으면서도 전기 전도성이 뛰어나고 잘 휘어져 ‘꿈의 신소재’로 불리며 2010년에는 이를 발견한 학자가 노벨 물리학상까지 ... ...
회식 1순위 메뉴 삼
겹
살, 홀가분하게 먹으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8.27
남아 있다"면서 "지질 섭취를 줄이려면 삶아 먹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질은 삼
겹
살의 부드러운 맛을 결정하는 요소"라면서 "삶아 먹으면 지질 섭취는 줄겠지만 다소 퍽퍽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 ...
그래핀 반도체 코 앞으로 다가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07
통상적인 모습. 부분적으로 구불구불하게 휘어진 불안정성을 지니며 이 불완전성이 두
겹
층 그래핀에서 미세한 비틀림을 만든다. - 한국연구재단 제공 김근수 박사는 “이번 연구로 지난 수년간 그래핀 전자소자의 상용화를 방해하던 핵심난제의 원인을 규명했다”며 “현재 비틀림을 제거하거나 ... ...
도굴을 막은 과학적 조선왕릉
동아사이언스
l
2013.07.28
두 석재를 고정시켜 석실 전체를 하나로 엮었다. 입구에는 61센티미터 두께의 돌을 두
겹
으로 세워 외부의 접근을 막았다. 석실 주변에는 시멘트와 비슷한 삼물을 1.2미터 두께로 둘러쌌다. 삼물은 석회에 가는 모래와 황토를 섞은 뒤 느릅나무 삶은 물에 이겨 만든 것이다. 삼물은 시간이 지나면서 ... ...
그래핀, 질소와 손잡으니 놀라운 '능력' 보이네
동아사이언스
l
2013.07.24
흑연 한
겹
두께의 '꿈의 물질' 그래핀과 질소가 만나면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백금촉매보다 더 우수한 성질을 가진 촉매물질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울산과기대(UNIST) 친환경에너지공학부 백종범 교수와 박노정 교수 공동연구진은 그래핀에 질소를 끼워 넣는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 ...
“가장 정확한 연구를 한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30
의미다. 인터뷰 내내 ‘정확한 연구’를 강조한 김 교수는 2주 전 ‘네이처’에 두
겹
의 그래핀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밝힌 논문을 발표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가임과 노보셀로프 교수팀도 같은 결과를 발표해 두 논문이 나란히 실렸다. 운명의 장난이라는 생각이 들만도 하지만 그는 “서로 다른 ... ...
비행기 충돌에도 견디는 ‘아이언맨 원전’
동아일보
l
2013.05.07
설계됐다. 기존 원전의 안전기준은 리히터 규모 6.5였다. 돔 형태의 원자로 내부에는 다섯
겹
의 방어벽이 마련됐다. 원전 연료와 연료봉을 감싼 두 개의 방벽은 기본이다. 이어 25cm 두께의 원자로 용기, 6mm 철판의 원자로 건물 내벽, 120cm 두께의 철근 콘크리트 등이 안전성을 높여준다. 현대건설 ... ...
이전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