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상
정점
절정
천정
천정점
최고부
수석
뉴스
"
꼭대기
"(으)로 총 162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과학이 밝혀낸 선덕여왕의 착각
동아사이언스
l
2013.10.27
1927년 11월 군위에 살고 있던 최두한이라는 사람에 의해 발견되었다. 그는 마을 앞 돌산
꼭대기
절벽에 틀림없이 부처가 계실 것이라고 여겨 밧줄을 매고 절벽을 내려갔다. 그리고 예상대로 수직으로 뻗은 절벽 50미터 아래, 지상에서 6~7미터 정도의 높이에 있는 석굴 속에서 부처 삼존을 발견했다. ... ...
유난히 아름다운 올 단풍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0.22
함량도 늘어나 단풍이 선명해지는 것이다. 김 연구사는 “햇빛을 강하게 받는 나무
꼭대기
부터 단풍이 드는 이유도 안토시아닌 때문”이라며 “햇빛에 의해 활성산소가 발생하는 데, 안토시아닌은 이 활성산소를 억제하기도 한다”고 밝혔다. ● 지난해보다 3.6일 늦어진 단풍 절정기…왜? ... ...
[채널A] 백두산도 안심할 수 없다…만년설 감소-마그마 통로 발견
채널A
l
2013.08.20
이영혜 기잡니다. [리포트] 1000년 전 강력한 폭발 이후 휴면 상태에 들어간 백두산. 그
꼭대기
엔 한여름에도 녹지 않는 신비로운 만년설이 쌓여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10여년 간 이 만년설이 급격히 줄었습니다. 강수량의 차이를 고려해도 변화가 뚜렷합니다. 백두산 아래 150km에 걸쳐 분포하는 ... ...
동그란 눈 '귀요미'의 정체,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07.31
남부의 작은 숲 세 군데에서 발견됐다"며 "야행성이고 몇 달동안 잠만자며 나무
꼭대기
에서 우기에만 활동해 과학자들도 쉽게 보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그는 "이 영장류는 현재 총 50개체 정도 있을 것으로 보이며, 보호할 필요가 있는 멸종 위기종"이라고 강조했다 ... ...
핏빛으로 물든 '괴물 기둥'의 정체는?
동아사이언스
l
2013.07.30
놀랍게도 자외선은 수백만 년 동안 천천히 성운을 침식해 왔다고 한다. 한편 성운
꼭대기
에 파랗고 흰 빛은 주변 별빛이 먼지에 반사된 결과다. 미국 애리조나대에서 촬영한 사진 중앙에 원뿔성운이 보인다. 성운 바로 위쪽에 파란 별이 자리잡고 있는데, 이 별에서 나온 자외선이 성운의 ... ...
역사·문화에 첨단과학 더해 매력적 국제도시로 거듭나다
동아일보
l
2013.05.28
달리던 관광객들이 차를 세워두고 아름다운 풍경을 즐길 만큼 명소가 됐다. 산
꼭대기
전망대에 오르면 시내가 한눈에 들어온다. 많은 문인들이 이곳을 찾아 시를 읊었다는 기록이 있다. 경주 출신 소설가 김동리(1913∼1995)의 소설 ‘무녀도’의 배경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더 유명해졌다. 새로운 ... ...
[Home&Dream]아파트 속 테라스 하우스
동아일보
l
2013.05.24
설치해 단독주택의 마당처럼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아파트 형태다. 업계에서는 흔히
꼭대기
층을 의미하는 ‘펜트하우스’와 대비되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으며, 전체 층을 테라스하우스로 구성한 타운하우스도 등장한 바 있다. 처음에는 입주자 관심이 떨어지는 1층 주택의 ‘처분용’으로 ... ...
‘창조의 기둥’ 속에 생명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23
차이 때문에 동시에 빠져나가지 않는다. 어머니의 자궁 같은 ‘알’ 가장 큰 기둥
꼭대기
를 보자. 가스가 증발되지 않고 남은 밀집된 영역이 독수리 발톱처럼 뻗어 있다. 바로 발톱 끝부분에 성운 곳곳에서 잉태된 별을 품은 ‘알’들이 들어 있을 것이라고 과학자들은 예상했다. ... ...
자연을 품은 건축, 하늘과 인공의 빛이 빚은 예술
동아일보
l
2013.05.21
설계―제임스 터렐 작품 상설전시… 원주 한솔뮤지엄 개관 동서남북 사방이 활짝 트인 산
꼭대기
에 일본 건축가 안도 다다오(72)가 설계한 야트막한 건물이 자리 잡고 있다. 정원으로 이어진 건물은 막힌 듯 열려 있고 자신을 감추면서 다시 드러낸다. 스스로 뽐내기보다 자연 앞에 몸을 낮춘 공간이 ... ...
그녀가 발견한 거대한 흑마 이야기
동아사이언스
l
2013.05.09
은하들뿐 아니라 성운 내부에서 태어난 별들도 보인다. 새로 탄생한 아기별은 성운의
꼭대기
에서 수줍게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말머리성운은 아기별이 태어나고 자라는 요람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앞으로 말머리성운의 모습은 어떻게 바뀔까. 주변에 있는 밝은 별들은 강력한 자외선을 ... ...
이전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