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난세포"(으)로 총 25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2018.07.10
- 우리는 누구나 하나의 세포에서 출발하고 수많은 종류의 세포로 끝난다. 하지만 세포 안에 들어있는 유전자의 종류는 언제나 처음과 같다. 어떤 의미에서 세포는 모든 것을 알고 있지만 극히 일부분만을 표현한다. - 조너던 와이너, ‘초파리의 기억’에서 GIB 제공 카이스트 김대식 교수는 4년 전 ... ...
- [카드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로봇이 말하는 당신의 건강은?2018.07.05
- [In-depth] 세상에서 가장 작은 로봇이 말하는 당신의 건강은? 권성훈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나노미터(nm, 1nm는 10억 분의 1m) 단위의 초미세 기계인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 멤스) 분야의 전문가지만, 그의 기술은 의학 분야 기술에 더 많이 응용되고 있다. ... ...
- 초소형 로봇 몸 속 주입, 세포 원하는 곳 보낸다동아사이언스 l2018.07.02
- 홍콩 연구팀이 3D 프린터로 만든 마이크로로봇으로 중간엽줄기세포(녹색)을 운반하는 데 성공했다. -사진 제공 사이언스 로보틱스 홍콩 연구팀이 3차원(3D) 프린터로 만든 초소형 로봇(마이크로로봇)을 동물 몸속에 주입하고, 이를 외부에서 조종해 몸속 세포를 원하는 곳으로 안전하게 운반하는 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2018.05.14
- 장미는 어떻게 꽃의 여왕이 되었나 - 사진 GIB 제공 여름의 마지막 장미(The Last Rose of Summer) 여기 홀로 피어있는 건 여름의 마지막 장미 다정한 친구들은 모두 시들어 사라졌네 얼굴의 홍조를 비춰주거나 탄식을 나눌 동족의 꽃이 보이지 않고 가까이에 장 ... ...
- 불치 면역질환 루프스 병 발병 원인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8.05.08
- 국내 연구진이 동맥경화 환자의 ‘고지혈’ 증상이 루푸스를 유도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 사진 GIB 제공 난치병으로 알려진 ‘루푸스’ 병의 발병 원인을 국내 연구진이 규명했다. 루프스병은 몸의 면역체계가 자신의 몸을 스스로 공격하는 만성 자가면역질환으로, 피부, 관절, 신장, 폐, 신경 등 ... ...
- 아이유는 왜 속삭였을까...ASMR 효과, 직접 실험해 보니과학동아 l2018.05.06
- 처음엔 방송 사고인 줄 알았다. 진통제 광고인데, 가수 아이유가 시종일관 작게 속삭이기만 하는 게 아닌가. 찾아보니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자율감각 쾌락반응)’을 유도하는 광고라고 한다. ‘사각사각’ 연필로 글씨를 쓰는 소리, 바스락거리는 소리 등의 자극으로 기분을 좋게 만들 ... ...
- [과학사진관] 난 G-dragon. 남들이 뭐라 건동아사이언스 l2018.05.06
- 난 G-dragon. 남들이 뭐라 건 – '소년이여' 中, 가수 지드래곤- 작품명 | Z-드래곤 Center for Molecular Spectroscopy and Dynamics 작가 | 홍진희 연구원(jhhong@korea.ac.kr) 소속 |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작가의 말 인간을 비롯한 척추동물의 신경계는 수초(Myelin sheath, 신경섬유 주위를 둘러싼 피 ... ...
- [과학사진관]생명의 뿌리에 거름 주기 전에, 나는 노래하네동아사이언스 l2018.05.02
- 시샘하는 운명이 그대를 한 줌 재로 만들어 생명의 뿌리에 거름 주기 전에, 나는 노래하네. – 검은 여인, 상고르 작품명 | 생명의 뿌리, 혈관 The root of being, vessels 작가 | 김유형 연구원 (yoohyungk@gmail.com) 소속 | 혈관 연구단 작가의 말 혈관의 발달은 기관의 발달과 성숙에 필수 요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2018.05.01
- GIB 제공 “앞으로 더 많은 감염사례가 나올 것이다. 이번 시즌은 이제 막 시작했다.” - 하세가와 히데키, 일본 국립감염질환연구소 병리학자 지난주 질병관리본부는 4월 20일 충남 청양군에서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62세 여성으로 13일 발열과 ... ...
- [과학사진관] 난 수수께끼, 뭐게요, 맞춰봐요동아사이언스 l2018.04.30
- 난 수수께끼, 뭐게요, 맞춰봐요. -아이유, '스물셋' 中- 작품명 | 나노-잔디 위에 핀 세포 꽃 Cell Flower blooming in the nano-grass 작가 | 허채정, 허찬호,김태일 (neuroheo@gmail.com) 소속 |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작가의 말 잔디 위 꽃봉오리가 연상되는 위 이미지는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촬영한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