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식
폭음 폭식
폭식
다식
대식가
포식
음식물
뉴스
"
대식
"(으)로 총 160건 검색되었습니다.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레트로바이러스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힌 내용이다. 즉 몸에 침입한 병원체를 잡아먹은
대식
세포나 수지상세포가 병원체 세포 표면의 일부인 탄수화물 조각을 항원으로 뱉어내면 이 항원이 B세포 표면의 수용체에 달라붙는다. 그러면 일련의 과정을 거쳐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의 전사가 일어나고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존재하는 원시적인 면역계로 병균이 침입했을 때 즉각적으로 대응하는 시스템이다.
대식
세포가 병균을 잡아먹거나 감염된 세포가 자살해 병균의 확산을 막는다. 우리는 면역계 하면 항체를 떠올리지만 이 시스템이 작동하려면 감염 뒤 수주가 걸리는 적응면역계(adaptive immunity)다(물론 재감염시에는 ... ...
당뇨에 비만에 암까지 잡는 이 열매는?
2014.11.05
염증과 관련된 지표들이 급격하게 증가하는데, 대장염을 유발하는 물질과 유자추출물을
대식
세포에 동시에 처리하자 염증 지표가 빠르게 감소했다. 이 같은 효과는 유자추출물의 농도를 높일수록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구팀은 사람의 대장암 세포를 쥐의 피부에 이식한 뒤 암세포에 ... ...
세포 스스로 목숨 끊어 결핵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4.05.28
연구 결과는 자가포식분야 국제학술지 ‘오토파지’ 5월호에 실렸다. 생쥐의
대식
세포에 결핵균(빨간색)을 감염시키고 자가포식을 활성화(Mtb+AICAR)시키면 결핵균은 자가포식낭(녹색)에 포획돼 제거된다. - 한국연구재단 ... ...
암도 전염된다고? 전립샘암은 그럴 수도
과학동아
l
2014.05.20
몸에 있는 단백질인 ‘HuMIF’와 구조가 비슷하다는 것도 알아냈다. HuMIF는 면역세포인
대식
세포의 이동을 억제하는 단백질로 전립샘암을 발생시키며 암의 전이에도 관여한다. 연구팀은 트리코모나스의 TvMIF가 사람의 HuMIF와 구조가 비슷할 뿐만 아니라 역할도 같다는 점을 확인했다. ... ...
내성 걱정없이 슈퍼박테리아 없애는 방법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3.27
생존율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흥식 교수는 “세균 감염과 증식에 필요한
대식
세포의 철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슈퍼박테리아 같은 내성균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메디슨’ 23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살모넬라 감염 ... ...
청국장, 건강에 '진짜로' 좋다!
과학동아
l
2014.03.25
있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이와 함께 청국장 다당체가 외부세균, 암세포 등을 제거하는
대식
세포의 활성을 높이는 것도 확인했다. 또 일부러 면역기능을 떨어뜨린 실험용 쥐에게 청국장 다당체를 투여한 결과, 선천성 면역기능에 관여하는 NK세포 등을 정상화시켜 면역기능을 회복하는 효과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특정 B세포 클론이 특정 항체를 만든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뒤이어 또 다른 백혈구인
대식
세포가 항원을 잡아먹고 분해해 일부를 세포 표면에 내놓아(항원 제시) B세포가 항체를 만들게 유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다들 면역학 교과서에서 볼 수 있는 근본적인 발견이다. 1976년 면역학 분과 ... ...
마야 문명, 타 문명과의 교류 속에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3.05.03
이번 주 ‘사이언스’는 남미 과데말라 세이발의 마야 유적지에서 발굴된 머리모양 조각 사진을 표지에 담았다. 길이가 6.8cm인 조각은 멕시코 일대 ... 연구될 전망이다. 이번주 네이처 리뷰에서는 생리학적, 병리생기학적 측면에서
대식
세포의 다양한 기능을 소개하는 내용을 게재했다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생물학저널 ‘셀’에 실렸다. 즉 오메가3지방산의 항염증 효과는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대식
세포나 성숙한 지방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GRP120이라는 수용체에 달라붙어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경로를 활성화하기 때문이라는 것. 또 인슐린 민감성도 올라가 당뇨병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과학저널 ... ...
이전
12
13
14
15
16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