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실
분실
loss
roast
ross
rosse
뉴스
"
로스
"(으)로 총 32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금도 핵실험은 계속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7
필요성이 대두됐기 때문이다. 미국 국가핵안보국(NNSA) 소속 로렌스리버모어국립연구소,
로스
앨러모스국립연구소, 샌디아국립연구소는 미국의 핵실험을 이끄는 핵심 연구기관이다. 이들 연구소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탄탄한 지원을 받고 있다. 지난해 대비 예산이 약 20%가 늘어난 198억 ... ...
WHO “코로나19 특효약 없을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0.08.04
19·코로나19)에 대한 ‘특효약(Silver Bullet)’이 없을 수도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테워드
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3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WHO본부에서 열린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여러 백신이 현재 임상 3단 단계를 거치고 있고 우리는 이 백신들이 코로나19 감염을 막는데 ... ...
WHO "지금은 가장 심각한 보건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가장 심각한 보건위기’라 규정하며 이번주 긴급위원회를 재소집한다고 밝혔다. 테워드
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27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열린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오는 30일이면 코로나19에 대해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한 지 6개월이 된다"며 ... ...
남극 찬 바다서도 메탄 유출…흰색 매트 '침출지' 첫 확인
연합뉴스
l
2020.07.24
이 대학 지구·대양·대기과학과 조교수인 앤드루 서버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남극
로스
해 북서안 맥머도 만(灣)에서 발견된 메탄 침출지에 관한 연구 결과를 영국 '왕립학회보 B'(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최신호에 발표했다. 이 메탄 침출지는 과학자들이 60여년 이상 연구를 해온 수심 10m ... ...
"코로나19 감염력 더 강해진다" vs "근거 없다" …'변이' 논란 오리무중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화면 캡쳐 G614가 세포 침투력이 더 높다는 주장은 처음이 아니다. 4월 말에도
로스
알라모스연구소팀은 비슷한 주장을 펼쳤다. 지난달 12일 최혜련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교수팀은 이 변이가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를 5배 증가시키고, 이 단백질이 ACE2와 결합할 때 관여하는 부위(S1)의 이탈을 줄여 인체 ... ...
코로나19 발열 확인에 얼굴인식 AI가 결합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너무 많은 사람이 감지되면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켜지지 않는다는 경고를 내린다. 알토
로스
사는 최대 30명까지 동시에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AI 기반 발열 확인 및 얼굴 인식 시스템을 완성했다. 커피컵 등 다른 뜨거운 물체와 구분해 얼굴에서 열이 나는 경우만을 구분해 인식할 수 있다. 마스크를 ... ...
"10년 안에 급변할 우주산업...선도 도약 기회 놓지지 말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6.29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한 가운데 파란색 셔츠를 입은 사람이 박종원 스타버스트에어
로스
페이스 부사장. 박종원 제공 박 부사장은 “스타버스트는 일본에 지사를 내겠다고 했지만, 한국의 스타트업 활력이 더 높은 만큼 우주산업 생태계를 이끌 잠재력이 있다고 설득해 한국에 지사를 개설했다”고 ... ...
美해군, 마스크 부족 겪는 주한미군 공급할 3D프린팅 마스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18
대신 NUWC의 산업용 3D프린터를 활용해 일일 500개 이상 마스크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로스
윌렘 NUWC 유지 및 산업 운영 부서 수석기술자는 “이는 비상시 함대의 요구에 우리가 어떻게 반응할지를 보여주는 좋은 시험”이라며 “이 모델이 국방부의 모델로 적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인터뷰] 코로나19 변종 초강력 전염성 첫 연구한 재미 최혜련 교수
연합뉴스
l
2020.06.16
있는 것을 발견했다. -- 그렇다면 D614G 연구를 처음 시작한 것은 아닌 셈인데. ▲
로스
앨러모스연구소는 D614G가 급속도로 퍼진 것까지만 발견했다. 이 발견을 놓고 학계 의견은 둘로 나뉘었다. 하나는 이 변이 때문에 급속도로 확산했다는 것이고, 또다른 쪽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었다. 이번 ... ...
코로나19 세포 침투력 강해졌다지만 실제 감염력 차이 아직 모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결과를 바탕으로 G유형이 더 감염력이 좋다는 주장을 주기적으로 해왔다. 4월 말 미국
로스
앨러모스국립연구소팀 등이 대표적이다. 국제인플루엔자데이터공유이니셔티브(GISAID)의 자체적 분류에 따른 바이러스 계통 분포다. 특정 변이를 '마커'로 사용해 분류를 해나가고 있다. 초기에 S와 L이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